• 제목/요약/키워드: 청소년 건강 행태 조사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19초

우리나라 소아.청소년 장애인의 치아우식증 실태와 관련요인 (DENTAL CARIES STATUS AND RELATED FACTORS AMONG DISABLED CHILDREN AND ADOLESCENT IN KOREA)

  • 정성화;김지영;박지혜;최연희;송근배;김영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02-109
    • /
    • 2008
  • 2004년 보건복지부에서 시행한 전국 장애인 구강보건실태조사 자료 중 만 6-17세 사이의 소아 청소년 장애인 677명을 대상으로 하여 장애유형을 신체장애, 정신지체 및 감각장애로 분류한 후 이들의 치아우식증 실태를 파악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소아 청소년 장애인들의 전체 평균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 우식경험영구치면지수는 각각 3.06개 및 5.24면이었고, 각 연령대별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 우식경험영구치면지수는 6-8세는 0.90개 및 1.45면, 9-11세는 2.32개 및 3.76면, 12-14세는 3.63개 및 6.33면 그리고 15-17세는 4.93개 및 8.35면이었다. 또한 소아.청소년 장애인들의 우식경험영구치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변수로는 연령, 잇솔질 횟수 및 잇솔질 의존도 그리고 저작 및 기능장애이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b=1.34, p<0.001), 잇솔질 횟수가 적을수록(b=-0.27, p=0.034), 잇솔질을 자력으로 하는 경우에(b=-1.43, p<0.001), 그리고 구강 내에 저작 및 기능장애가 있는 경우에(b=1.24, p=0.011) 우식 경험영구치지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우식경험영구치면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변수는 연령, 잇솔질 횟수 및 잇솔질 의존도로, 연령이 증가할수록(b=2.49, p<0.001), 잇솔질 횟수가 적을수록(b=-0.66, p=0.024) 그리고 잇솔질을 자력으로 하는 경우(b=-1.75, p=0.042)에 우식경험영구치면지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소아 청소년 장애인들의 치아우식증의 진행과 중증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각 연령대별로 보다 효과적인 잇솔질 교습을 포함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우리나라 청소년에서 수면시작시간과 우울감의 상관관계: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바탕으로 (Relationship between Sleep Timing and Depressive Mood in Korean Adolescents: Based on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고유라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90-97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timing and depressive mood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e study analyzed the data from the 2007~2015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A total of 541,693 students in grades 7~12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their sleep timing and depressive mood, adjusted for sex, grade, region, socioeconomic status, academic performance, alcohol, smoking and physical activity. Sleep duration and sleep quality were also included in our model to identify whether or not the effect of sleep timing on depression is mediated by sleep duration or sleep quality. Results: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mood was 32.7% and the mean sleep timing was 12:13 AM. After adjustment for eligible covariates,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timing and depressive mood showed a J-shaped curve. Adolescents who slept at 8 pm~10 pm were 39% more likely to be depressive (OR = 1.39, 95% CI 1.30~1.40) and at 3 am~ 4 am were 67% more likely to be depressive (OR=1.67, 95% CI 1.64~1.70) than adolescents who slept at 11 pm~12 am. These associations persisted after being adjusted for sleep duration and sleep quality. Conclusion: Sleep timing was related to depression in adolescents, independent of sleep duration and sleep quality. It appears that there is a certain sleep timing beneficial to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청소년의 음주, 흡연, 약물사용 경험이 성경험에 미치는 영향: 2010~2014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활용하여 (Effects of Drinking, Smoking and Drug Use Experience on Adolescents' Sexual Intercourse: Using the Data of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from 2010 to 2014)

  • 표은영;안지연;정진옥;이윤정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99-309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xual intercourse and experience of alcohol, tobacco, and drugs use amo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of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from 2010 through 2014.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7,562 students (Male 187,610, Female 179,952).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ir sexual experiences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intercourse and the use of alcohol, tobacco, and drugs was analyzed throug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he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18.0. Results: According to the study,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sexual intercourse were gender, grade, parents' educational level, residence type, economic status, and substance abuse. Adolescents who had used alcohol, tobacco, and drugs were more likely to have had sexual intercourse than their peers who hadn't use the substance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factors that increase the risk of having premature sex should be managed and prevented systematically. Among the factors, in particular, drinking, smoking, and drug use require intensive management.

2008~2014년까지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를 활용하여 흡연·음주·약물사용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moking, Drinking and Drug use on the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by using the Data of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rough from 2008 to 2014)

  • 전해성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9-110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uicidal thoughts and the co-occurrence of alcohol, tobacco, and drug use among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of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from 2008 through 2014.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7,866 students, in total (Male 266,500, Female 251,366).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about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ir experience of smoking, drinking, and drug use.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thoughts and the co-occurrence of alcohol, tobacco, and drug use was analyzed through ${\chi}^2-test$ and logistic regression. The analyses were done using SAS 9.4. Results: According to the study, adolescents who used alcohol, cigarettes, and drugs at the same time engaged in suicidal ideation 3.69 times more than their peers who didn't use such substances (95% CI: 3.40~4.00, p<.001). Also, adolescents who used only tobacco, only alcohol, and only drugs engaged in suicidal ideation 1.49 times (95% CI: 1.43~1.56, p<.001), 1.28 times (95% CI: 1.26~1.31, p<.001) and 2.34 times (95% CI: 2.04~2.69, p<.001) more than the students who didn't use any substances, respectively. Conclusi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nd the co-occurrence of alcohol, tobacco, and drug us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한국 고등학생의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과 일탈행동 요인을 중심으로 (Factors that Affect the Suicidal Thoughts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Focusing 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elinquent Behaviors)

  • 이홍직;김광선;김광회;남길우;민경원;이삼순;정찬희;이현숙;박지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1025-1032
    • /
    • 2013
  • 본 연구는 제 5차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를 통해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과 일탈행동 요인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해 제시하면,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 중에서는 여학생의 경우에, 양부모와 동거하지 않는 경우에, 가계의 경제수준이 낮을수록, 전문계 학생인 경우에, 저학년일수록, 학업성적이 좋지 않을수록, 일탈행동 요인 중에서는 인터넷 중독인 경우에, 문제음주 성향을 지닌 경우에, 흡연하는 경우에, 약물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경우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자살 생각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살예방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한국 청소년의 보건교육 실태분석: 2005년, 2010년 및 2015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The Status Analysis of Health Education for Adolescents: Using Data from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of 2005, 2010 and 2015)

  • 이재영;주현옥;박소연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9-69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health education conducted for adolescents in the past 10 years by 5-year cycl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200,008 students attending junior high school and high school, using the data of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in 2005, 2010 and 2015.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Rao-Scott $x^2$ test, using SPSS program. Results: The overall implementation of health education has increased over the past decade,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2005, 2010 and 2015 (p<.05). The type of health education given the most was sex education (68.9~74.5%) in 2005 and 2010 and safety education (83.8%) in 2015, whereas the least given health education was personal hygiene education (18.2%) in 2005 and oral health education (22.0~24.0%) in 2010 and 2015. In addition, the implementation rate of health educ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in high school than in middle school in all three years, 2005, 2010 and 2015. As the grades got higher, the implementation rate of health educa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p<.05). Conclusion: Health education for adolescents needs to be provided equal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education policy for students to benefit from adequate health.

한국 청소년의 패스트푸드 섭취실태 및 관련요인 - 제16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이용 - (Factors Influencing Fast Food Consumption in Korean Adolescents - Based on the 16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 홍승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67-177
    • /
    • 2022
  •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fast food consumption in Korean adolescent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ross sectional study data from the 16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in 2020. A total 54,94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in the analysis were 28,353 males and 26,595 females, 28,961 middle school and 25,987 high school students. In total, 56.6% Korean adolescents consumed fast food once or twice weekly and 25.4% consumed fast food more than three times weekl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fast food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etary behavior such as lower breakfast intake (OR: 0.930, 95%CI: 0.891~0.970, p<0.001), higher soda drinks consumption (OR: 2.563, 95%CI: 2.452~2.678, p<0.001), and higher sweet drinks consumption (OR: 1.898, 95%CI: 1.818~1.982, p<0.001). For psychological and health behavior factors, fast food consumption was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perceived stress (OR: 1.239, 95%CI: 1.163-1.321, p<0.001), higher smoking (OR: 1.300, 95%CI: 1.164~1.453, p<0.001), higher drinking (OR: 1.193, 95%CI: 1.112~1.280, p<0.001), higher depression experience, higher loneliness experience, and lower subjective health, In conclusion, fast food consumption in Korean adolescents was associated with undesirable dietary habits and psychological and health behavior, suggesting that appropriate education programs are necessary to reduce such behavior.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변화와 청소년 식습관의 연관성 - 제17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이용 - (The Association between Household Economic Changes by COVID-19 and Dietary Habits in Adolescents - Based on the 17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

  • 홍승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86-295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household economic changes by COVID-19 and dietary habits in Korean adolescents. The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17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in 2021. A total of 54,84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28,401 males and 26,447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VID-19 lead to deterioration of household economy in the lower level of household economic status (p<0.001). The deterioration of household economic status by COVID-19 was associated with dietary habits such as lower breakfast intake, and higher fast food, soda drinks, and sweet drinks consumption (p<0.001).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deterioration of household economic statu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frequency of breakfast intake (OR: 0.73, 95% CI: 0.67~0.80). The deterioration of household economic status by COVID-19 was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frequency of fast food (OR: 1.28, 95% CI: 1.16~1.41), soda drinks (OR: 1.42, 95% CI: 1.30~1.56) and sweet drinks (OR: 1.35, 95% CI: 1.24~1.46) consumption (p<0.001).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nge in household economy caused by COVID-19 was associated with dietary habits in adolescents. As the household economy deteriorated, there was an increase in undesirable dietary habits including skipping breakfast and fast food consumption.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수준이 식습관 및 구강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ress Perception Level on Dietary Habits and Oral Health Behaviors in Adolescents)

  • 박지영;김선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1-117
    • /
    • 2016
  • 이번 연구는 생애 과도기이자 입시 스트레스를 비롯한 여러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수준이 식습관과 구강보건행태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전라북도 일부 지역에 위치한 고등학교 1~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가장 높은 스트레스 유형은 학업 스트레스로 $3.09{\pm}0.89$를 보였고, 그 다음은 가정(가족) 스트레스가 $2.85{\pm}0.84$로 나타났다.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치과의료기관을 이용할 가능성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서는 본인의 구강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생각하거나 보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의 치과의료기관을 방문할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치과의료기관을 방문할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05), 성적이 상위권인 학생들이 규칙적인 식사를 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p<0.01).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식성 식품을 섭취할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성적이 중위권인 학생들이 우식성 식품을 섭취의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나(p<0.01), 상위권인 학생들은 우식성 식품의 섭취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스트레스 인지수준이 식습관과 구강보건행태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나타내므로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해 학교 내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하며,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해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구강보건교 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충남지역 일부 남자 고등학생들의 스트레스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 of Stress to Oral Health-Related of Life in Male High School Students of Chungnam)

  • 정유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8-166
    • /
    • 2014
  • 본 연구는 남자 고등학생들의 스트레스와 구강건강의 중요성 및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인식, 칫솔질 횟수에 따른 스트레스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연관성을 파악하여 고등학생들에 대한 실질적인 구강보건교육 필요성을 강조하며 청소년기의 구강위생관리가 올바르게 이루어져 성인 및 노인기까지 구강건강이 유지 증진되어 전반적인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013년 5월부터 7월까지 충남에 위치한 2개 고등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한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PASW Statistics 18.0과 AMOS 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잠재변수 스트레스가 하위 5가지 영역의 스트레스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분석결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p<0.001)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주는 영향력은 구강건강의 중요성 인식에 따라 구강건강이 중요하지 않다고 인식할 때보다(-0.38, p<0.001), 중요하다고 인식할 때(-0.32, p<0.001)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스트레스의 영향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주관적 구강건강 인식에서 또한 스스로 구강건강이 좋다고 인식할 때 스트레스의 영향력이-0.14 (p<0.05)로 낮게 나타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관리 행태와의 관련성에서는 하루 칫솔질 횟수가 1회로 낮을 때 스트레스가 구강건강의 삶의 질에 주는 영향력이 -0.69 (p<0.001)로 매우 높아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도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모델의 적합도 검정결과 GFI, AGFI, CFI, NFI에서 모두 0.9 이상을 보였으며, RMR과 RMSEA 값이 모두 0.1보다 작은 값이 추정되어 양호한 모형이다. 본 연구결과 스트레스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연관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의 구강건강 중요성 인식과 주관적 구강건강 인식도는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되었고, 구강위생 관리 행태 중 칫솔질 횟수와도 연관성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인의 구강건강을 스스로 책임져야 할 시기인 고등학생들이 구강건강을 위하여 바람직한 인식과 습관 형성을 위한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구강보건교육이 시행되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