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청소년주의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3초

고령운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 이순철;오주석;박선진;이순열;김인석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2권1호
    • /
    • pp.81-102
    • /
    • 2006
  • 본 연구는 운전자의 조심성에 초점을 두고 고령운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수준과 운전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우선, 운전확신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자들의 운전경력, 주행거리, 위반경험, 사고경험을 함께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만 25세 이하 청소년운전자와 만 65세 이상 고령운전자 325명이었으며, 고령운전자의 자료는 1:1 인터뷰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먼저, 운전확신수준의 구조를 알아보고자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고령운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수준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고령운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수준과 운전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운전확신수준은 '운전상황', '안전운전', '운전능력', '주의'의 네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고령운전자의 운전확신수준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운전자 집단에서는 운전확신수준과 운전경력, 위반경험이 강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고,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수준은 운전경력, 주행거리, 위반경험, 사고경험과 강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ADHD) 아동의 진단도구로서 부모용 행동 평가지의 타당도 연구 - 한국아동인성검사와 아동 ${\cdot}$ 청소년 행동평가척도를 중심으로 - (A VALIDITY STUDY OF PARENT BEHAVIORAL RATING SCALES AS DIAGNOSTIC TOOLS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김지혜;소유경;정유숙;이임순;홍성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1권2호
    • /
    • pp.282-289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주의력-결핍 및 과잉운동장애(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이하 ADHD)의 주요한 평가척도 중의 하나로서 이용되고 있는 한국아동인성검사(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K-PIC)와 아동 ${\cdot}$ 청소년 행동평가척도(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의 임상적 타당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피검자들은 ADHD의 하위 유형 중 주의력-결핍 우세형(ADHD-I)으로 진단된 환아 11명과 과잉 행동-충동 우세형 및 복합형(ADHD-H)로 진단된 환아 23명, 우울, 불안 등 정서적 문제로 진단(신경증 집단;N) 받은 정신과 외래 환아 16명, 정상아동 15명 등 총 65명이었다. 먼저 각 집단별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각각 행동 평정 척도의 변별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집단들의 K-PIC와 K-CBCL 결과들에 대한 전체(omnibus) F-검증 결과, K-PIC의 과잉행동(HPR) 척도와 K-CBCL의 주의집중문제(Attention Problems, 이하 AP) 척도들은 분산분석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사후검증 결과, ADHD-I 집단과 ADHD-H 집단 그리고 신경증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반면, 그 세 집단은 모두 정상집단과 .05 유의도 수준 하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K-PIC의 과잉행동(HPR) 척도와 K-CBCL의 주의집중문제(Attention Problems) 척도의 경우, 기본적으로 임상군과 정상군을 구별하는데는 유용하지만 임상군내에서의 세부 진단을 위해 사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시사해준다. 또한 본 연구 결과 상대적으로 HPR 척도는 ADHD-H type을 감별하는 데 더 유용한 반면, K-CBCL의 AP 척도는 ADHD-I type을 감별하는 데 더 큰 강점을 갖는 것으로 보이나, HPR척도와 AP 척도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cut-off score 면에서 두 척도 중 어느 하나에서 T 점수 65점 이상 상승할 때 ADHD로 진단내리는 경우, 가장 효과적으로 정분류율(true positive rate;sensitivity)과 정배제율(true negative rate;specificity)을 조화시킬 수 있는 결정규칙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가정 폭력 경험이 남자 범죄 청소년의 남성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경호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
    • pp.282-309
    • /
    • 2003
  • 본 질적 연구는 가정 폭력을 경영하는 것이 남자 청소년의 성정체성, 특별히 남성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조사한다. 지금까지의 이론적 문헌들은 폭력 가정의 부정적인 남성 모델이 남자 청소년의 성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갈등을 야기한다고 지적하고 나아가 남자 청소년은 종종 남성적 유능감을 입증하기 위안 방편으로 범죄를 저지른다고 제시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가정 폭력을 경험한 남자 청소년들의 범죄가 그들의 남성성과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남자 청소년들이 어떻게 가정폭력을 경험 하는지, 그 경험이 어떻게 그들의 성정체성 형성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들의 남성성이 어떻게 범죄와 연관되는지에 관해 연구했다. 본 연구는 미국 미네소타 주의 안 청소년 교정 기관에 입소했던 남자 범죄 청소년 12명에 대해 행해진 최소 3회 이상의 인종학적 심층 면접 자료, 주당 1-2회 참여 관찰 후의 현장 기록, 그리고 교정기관의 공식 문서로 구성된 2차 자료를 사용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분석은 열린 부호화, 표를 이용한 자료 축소, 주제별 분석을 위한 재부호화, 주요 범주와 하위 범주들의 발견, 표를 이용한 자료 재축소화, 그리고 집단 간과 집단 내 유사점과 차이점 발견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분석은 아동기 가정 폭력 경험이 사춘기 동안의 성정체성 형성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정 폭력에 노출된 남자 범죄 청소년은 폭력 가정에서 무기력감을 경험했고 폭력의 피해자로서 억압된 어머니와 애착 관계를 형성했다. 다음으로 가정 폭력물 경험한 남자 범죄 청소년과 가정 폭력을 경험하지 않은 남자 범죄 청소년은 전반적인 성정체성의 표현에 있어 공통점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가정 폭력을 경험한 남자 범죄 청소년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은 관계적 성정체성의 형성과 연관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정 폭력을 경험한 남자 범죄 청소년은 그들의 관계적 성정체성에도 불구하고, 기정 폭력을 경험하지 않은 남자 범죄 청소년처럼 남성적 유능감을 보여 주기 위해 폭력과 범죄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

  • PDF

한국 직업청소년(職業靑少年)과 일반청소년(一般靑少年)의 노동관(勞動觀), 미래관(未來觀) 및 독단주의(獨斷主義)와의 관계 연구 (Attitudes toward Work and Time Perspective and Their Relationship to Dogmatism in Korean Adolescent Vocational and Non-Vocational Trainees)

  • 김경희
    • 아동학회지
    • /
    • 제5권
    • /
    • pp.81-105
    • /
    • 1984
  • The intention of this study was: 1) to standardize the Korean version of the Dogmatism Scale, 2) to examine whether environmental structure affects value systems such as attitudes toward work, time perspective and the personality dimension of dogmatism in adolescent vocational and non-vocational trainees, 3)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those value systems and group differences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and non-vocational trainees, 4) to observ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high-dogmatism and low-dogmatism subjects with regard to attitudes toward work and future time perspective. The subjects for the study included 841 adolescent vocational (226) and nonvocational (615) from vocational training centers, schools and universities in Seoul.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1) a questionnaire for attitudes toward work, 2) the Future Time Perspective (FTP) developed by Christiansen and 3) the Dogmatism Scal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behavior settings or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organization type affect the formation of attitudes and of dogmatism in adolescent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dogmatism relates to future time perspectives. This differs from Rokeach's theoretical statements. Dogmatism in this study was related to time perspective, the relationships were optimistic in emotional areas, long-term in direction and concrete in structure.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nd Rokeach's suggests further study. A "Psycho-Environmental Model" for the formation of value syst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d earlier research of the author were discussed.

  • PDF

정신분열증 여아환자에서 Fluoxetine 투여후 발생한 조증 증례보고 및 문헌고찰 (CASE STUDY : FLUOXETINE INDUCED MANIA IN A SCHIZOPHRENIC PATIENCT AND REVIEW OF LITERATURES)

  • 김붕년;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6권1호
    • /
    • pp.116-122
    • /
    • 1995
  • 목적 : 다음과 같은 fluoxetine으로 유발된 조증 증례를 보고한다. 이와 함께 fluoxetine사용이후 보고된 조증 증례보고를 모아서 정리하고 함께 문헌고찰을 하였다. 증례요약 : 가족력상 기분장애의 병력이 없었으며, 다른 주요 정신과적 질환의 병력은 없었다. 환아는 개인력상 5세경에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의 양상을 보였던 병력이 있었고, 13세때에 피해 망상, 환청이 지속되어 haloperidol로 치료받기 시작하였다. 이후 피해 망상의 내용을 언급하거나 환청에 영향받는 행동은 없어졌고 간혹 우울감을 호소하였다. 이후 정신분열증의 진단 하에 haloperidol만으로 3년간 유지하였다. 1994년 환아는 18세때 고3이 되면서 대입에 대한 걱정과 신체적인 허약감을 자주 호소하며, 우울증상이 두드려져 fluoxetine 20mg를 3일간 투여하던 중 갑자기 조증의 임상적 양상을 보이기 시작하여 본원의 입원치료를 받게 되었는데, 입원당시 보인 임상양상은 앙양된 기분, 이자극성(irritability), 사고의 비약, 연상의 이완과 지리멸렬, 과대망상, 피해망상, 관계망상, 환청 등이었고 사람, 장소, 시간에 대한 지남력까지 일시적으로 상실되는 심헌 정신병적 조증상태였다. 토의 : fluoxetine 사용이후 현재까지 세계적으로 문헌상 보고된 14개의 증례보고를 모아서 정리하였다. fluoxetine-induced mania의 병태생리학적인 기전은 명확하지 않지만 가능한 기전에 대해 토론하였다. 이 약물의 중대한 부작용중의 하나인 조증을 예방하기 위해, 이 약물을 다루는 의사는 가능한 조증 발병의 위험인자들에 대하여 인식하고, 약물의 용량조절시에도 주의를 하여야 한다. 가능한 발병 위험인자들에 관해서도 검토하였다.

  • PDF

아동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 (Ecological Systems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hood Depression)

  • 강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326-335
    • /
    • 2015
  •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접근에 기반을 두고 아동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생태체계 변인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분석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조사 초등학교 1학년 4차년도 자료 2,119사례였다. 유기체변인(아동의 성별, 공격성, 주의집중), 미시체계변인(부모의 방임과 학대, 친구관계, 교사관계), 외체계변인(지역사회인식), 거시체계변인(공동체의식) 순서로 4가지 모델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관계와 공동체의식을 제외한 모든 생태체계변인들이 아동기 우울에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영향력을 갖는 변인은 아동의 공격성이었으며, 다음으로는 부모의 학대, 친구관계와 지역사회인식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아동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의 영향력을 검증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갖는 실천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과 반응양식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 The Moderating Role of Response Styles)

  • 김빛나;박주희
    • 아동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13-128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cademic stress and response styles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responses sty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mprised 419 high school students (185 boys and 234 girls) in two high schools.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depression, the CES-D Scale (Radloff, 1977) was used. Academic stress and response styles were assessed by the Academic Stress Scale for adolescents (Lee & Kim, 2000) and the Response Styles Questionnaire (Kim, 1991) respectively.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or both boys and girls, the levels of academic stress and rumination response style increased the level of depression, whereas the distraction response style decreased the level of depression. Second, both the rumination and distraction styles for girls moderated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their depression. On the contrary,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the response styles for boys.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고등학생의 역기능적 완벽주의 및 자의식 정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Dysfunctional Perfectionism, and Self-Conscious Emotions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 김혜인;도현심;지연경
    • 아동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5-36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dysfunctional perfectionism, and self-conscious emotions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The sample consisted of 471 adolescents (212 boys, 259 girls) attending high schools in Seoul. The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dysfunctional perfectionism and self-conscious emotions mediated the impa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depression only in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such that with mothers' greater psychological control, girls experienced higher levels of dysfunctional perfectionism and self-conscious emotions, and reported higher depression scores. Similarly, dysfunctional perfectionism functioned as a mediator i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 depression. This tends to support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ame sex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s. Dysfunctional perfectionism also had the largest direct effect of all variables analyzed on depressio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self-conscious emotions for either boys or gir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terventions designed to promote adolescents' mental well-being should focus on parenting of the same sex parent as well as adolescent cognitive characteristics.

준거집단이 청소년의 패션브랜드 동조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Reference Group on the Adolescents' Behavior of Fashion Brand Conformity)

  • 전대근;이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9_10호
    • /
    • pp.1434-144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reference group on the adolescents' behavior of fashion brand conformity. As for the method of the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672 student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between disposition of general conformity and behavior of fashion brand conformity were found to be meaningful in the dimensions of reference groups and their influences. Second, the classification between stage of brand consideration and stage of brand choi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two-stage model of brand choice. Finally, the subjective individualism and the behavior of brand conformi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and the mass media stars & the identificational influence were the most powerful factors to explain the behavior of fashion brand conformity for the adolescents.

청소년의 자율성 및 관계성 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개인 주의-집합주의 가치관에 따른 차이 (Autonomy and Relatedness Satisfaction Predi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Focusing on Individualism-Collectivism Cultural Values)

  • 홍승빈;박성연
    • 아동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5-16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cultural values in the associations between autonomy and relatedness satisfaction of adolescents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Methods: A total of 506 high school students(M age = 16.2) in Korea completed self-reported measures of needs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ultural values, an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autonomy and relatedness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adolescents' well-being. Second, Collectivistic-Individualistic value moderated the associations. Especially, only for collectivism oriented adolescents, the positive effect of autonomy satisfac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ignificant when their relatedness satisfaction was high.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both autonomy and relatedness satisfaction in predi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and underscore the moderating role of cultural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