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청미천 유역

Search Result 7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vapotranspiration Measurements using an Eddy Covariance Technique in a Mixed Forest and a rice paddy in Korea (에디 공분산으로 관측된 혼효림과 논에서의 증발산)

  • Kwon, Hyou-Jung;Kang, Min-Seok;Kim, Joon;Lee, Jung-Hoo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565-570
    • /
    • 2010
  • Evapotranspriation (ET) was measured by eddy covariance method in two key ecosystems in Korea: the Seolmacheon site (a mixed forest in a complex terrain, SMK) and the Cheongmicheon site (a homogeneous rice paddy, CRK). By using the multi-year observations (SMK: Sep. 2007 - Dec. 2009, CRK: Aug. 2008 - Dec. 2009), we quantified ET and analyzed its temporal variations and control mechanisms based on the radiatively coupled combination equation. During the study period, the accumulated precipitation was about 3213 mm for the SMK site, of which about 30% (i.e., 990 mm), returned to the atmosphere as ET. At the CRK site from Jan. - Dec., 2009, the annual ET was 553 mm, which was about 40% of the annual rainfall (of 1401 mm). Both sites showed a characteristic seasonality with mid-season depression in ET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reduced amount of available energy during the monsoon season. The decoupling parameter (${\Omega}^*$), which indicates the measure of interaction between vegetation and the atmosphere, averaged about 0.4 for the SMK site and the CRK site during the growing season. The ET from both sites was more influenced by air saturation deficit and surface conductance than available energy.

  • PDF

Peak drought index analysis of cheongmicheon watershed using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 index (기상학적 및 수문학적 가뭄지수를 이용한 청미천 유역의 첨두가뭄지수 분석)

  • Kim, Soo Hyun;Chung, Eun-S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1
    • /
    • pp.65-73
    • /
    • 2017
  • This study analyzed the peak drought severity and drought duration of the Cheongmicheon watershed from 1985 to 2015 to assess the lag time of peak drought severity between several drought indices.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based on precipitation and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SPEI) based on precipitation and evapotranspiration were applied as meteorological drought indices. Streamflow Drought Index (SDI) based on runoff data was applied as hydrological drought index. In case of SDI, we used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model for simulation of daily runoff data. As a result, the time of peak drought severity of SDI occurred after the occurrence of SPI and SPEI. The lag time for the peak drought severity, on average, between SDI and SPI was 0.59 months while SDI and SPEI was 0.79 months. As compared with SDI, the maximum delay was 2 months for both SPI and SPEI. This study results also shows that even though the rainfall events were able to cope with meteorological droughts, they were not always available to solve the hydrological droughts in the same time.

Application of HEC-HMS Model using Weather Research Forecast(WRF) Model (기후예측모형(WRF)을 이용한 HEC-HMS 모형 적용)

  • Baek, Jong-Jin;Jung, Yong;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74-277
    • /
    • 2011
  • 기후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얻고 있으며 그로 인한 재산과 인명피해의 증가가 우려되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해 가장 취약한 부분은 수자원분야이며 수자원 활용의 극대화를 위하여 여러 예측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변화의 예측 및 모델링 기법 중 하나와 수문모델의 융합 기법을 활용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레이더 강우자료와 지상 우량계의 강우자료로 여유추정시간에 대한 단기 예측만이 가능하게 하였는데 이 방법은 조금 더 여유 추정시간을 증가 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여유추정시간의 증가에 대한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청미천 유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ArcGIS와 Arc-View을 사용하여 대상유역의 Curve Number (CN) 값을 추출하고, 강우예측모형인 Weather Research Forecast (WRF) - Advanced Research WRF (ARW) 결과자료와 과거 강우자료의 비교 검증을 통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두 자료는 HEC-HMS의 입력자료가 되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 유출량 산정 및 지표면 유출 모의를 통한 강우-유출현상을 검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청미천 유역 지표면에서의 강우-유출모의를 개선하여 대상유역의 현상을 보다 유사하게 나타내고자 하였으며, 이와 함께 WRF-ARW 모형을 통하여 여유추정시간의 증가를 모색하고 지역강우 모형이 대한민국 지형의 잘 어울리는 최적화된 매개변수들의 조합을 알아내고 그의 적용현실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

Evapotranspiration analysis of a Mixed Forest and a Rice Paddy (혼효림과 논에서의 증발산량 특성 분석)

  • Lee, Jung-Hoon;Lee, Yeon-Kil;Jung, Sung-Won;Kwon, Hyou-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02-302
    • /
    • 2011
  • 수문 순환 및 물 수지에 관한 연구는 강수량, 지표유출량, 지하수, 토양수분 및 증발산량에 대한 정량화가 이루어질 때 실제적으로 규명될 수 있다. 그러나, 수문 순환 및 물수지 평가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증발산량의 경우 관측값보다 단순한 가정이나 경험식에 의한 추정값을 사용하고 있어 그 자료의 신뢰성에 대해서도 꾸준히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또한 수문 순환과 관련하여 실제 관측되고 있는 성분은 대개 기상 변수에 국한되어, 모형 검증에 필요한 증발산량 관측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수문 순환 및 물수지의 정량적인 분석을 위해 수문 순환 과정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증발산량의 측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토해양부의 기초수문자료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에디공분산 기술을 사용하여 한반도의 대표적 식생 기능 형태인 혼효림(설마천 유역, 2007년 8월부터)과, 논경지(청미천 유역, 2008년 8월 부터)에서의 증발산량 측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두 지점에서의 증발산량의 계절 및 연 변동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혼효림(설마천 유역)에서 산정된 증발산량은 2008년 507mm, 2009년 440mm, 2010년 491mm이고, 논경지(청미천 유역)에서 산정된 증발산량은 2009년 554mm, 2010년 609mm의 값을 보였다.

  • PDF

Application of the Width Function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A Case Study of Cheongmi River (폭함수 단위도법을 이용한 청미천 수문곡선 산정)

  • Seo, Yongwon;Park, Junehyeong;Rhee, Dong Sop;Kim, Young-Oh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4
    • /
    • pp.1425-1432
    • /
    • 2013
  • This paper examines the applicability of the Width Function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WFIUH) with a case study of Cheongmi River in South Korea. The parameter values of WFIUH can be physically determined compared to the lumped hydrologic models, which are typically accompanied by parameter estimation procedures with gage records. Assuming uniformly distributed rainfall, the hydrographs obtained with the WFIUH show good agreement with observed data and also the results from HEC-1. A simple investigation of the effect from the rainstorm movement with the WFIUH demonstrates the ability of the proposed model and the need to consider the rainstorm movement effect on the resulting hydrographs for prediction purposes.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reduction method on water quality in Cheongmicheon watershed (기후 변화에 따른 청미천 유역의 수질 변화 및 저감 대책에 관한 연구)

  • Byun, Jisun;Son, Minw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7
    • /
    • pp.585-597
    • /
    • 2018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water quality and discharge under the condition of climate change and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 which is one of the reduction methods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model is applied to case in Cheongmicheon watershed. The coefficients required for SWAT model were calibrated using SWAT Calibration and Uncertainty Program. Climate change is considered by using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 scenarios, RCP 4.5 and RCP 8.5. It is known from simulation results that the non-point source pollutant increases under the climate change scenario assuming worse condition. It is also found in this study that an appropriate application of BMPs is able to reduce the quantity and temporal varia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effectively.

Application of SWAT model for simulating future runoff and water quaility under climate change in cheongmicheon watershed (청미천 유역의 미래 유출 및 수질모의를 위한 SWAT 모형의 적용)

  • Kim, Sang Ug;Bae, Hyeong;Bae, Hyeong;Bae, 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47-547
    • /
    • 2016
  •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우리 삶에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강수 또는 기온의 비정상성으로 대표되는 기후변화에 따라 수문순환의 변화 역시 자명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위험요소를 전망하기 위한 최우선 사항은 수문상황을 명확하게 진단하는 것이고 그 다음은 현재기후를 대비 미래의 변화를 전망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수문관측의 역사가 짧고 관측 자료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수문상황의 진단을 위해 수문모형의 모의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수문모형은 입력 자료와 지형자료를 구축하고 주요 매개변수를 선택하여, 매개변수를 변화시켜가며 관측에 가장 가까운 결과를 가져오는 상태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수문모형의 매개변수 보정이라 불리우며, 사용자의 직관에 따른 시행착오법에 따른 수동보정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고 특정 목적함수를 채택하여 수학적 알고리즘에 의해 매개변수를 보정하는 자동보정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미래 수문변화 전망은 특정 유역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수문자료를 모의하는 것이므로 수동보정보다는 자동보정이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미천 유역의 기후변화로 인한 미래 수문상황의 변화를 모의함에 있어 강우 유출모형 중 하나인 SWAT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신뢰도 있는 매개변수의 추정을 위하여 SWAT-CUP을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객관적으로 최적화하였다.

  • PDF

Estimation for Runoff based on the Regional-scale Weather Model Applications:Cheongmi Region (중소규모 (WRF-ARW) 기후모델을 이용한 지역유출 모의 평가:청미천 지역을 중심으로)

  • Baek, JongJin;Jung, Yong;Choi, Minha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1B
    • /
    • pp.29-39
    • /
    • 2012
  • Climate change has been obtained researchers' interest, especially in water resources engineering to adjust current conditions to the new circumstance influenced by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WRF-ARW will be evaluated the capability to estimate distributed precipitation using global weather information instead of the data from rainfall observatory or radar. Cheongmi watershed is selected and adopted to generate a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using ModClark. The results from the distributed model with precipitation data from WRF-ARW and the lumped model using observed precipitation data were compared to the observed discharge values. The final results showed that the distributed model, ModClark generated similar pattern of hydrograph to the observations in terms of the time and amount of peak discharge. In addition, the trend of hydrograph from the distributed model presented similar pattern to the observ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