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청년세대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4초

공대생의 '진정'한 즐거움: 과학기술특성화 대학 학생들의 서사적 정체성과 가치 체계에 관한 연구 (The 'Authentic' Pleasures of Engineering Students)

  • 김효민;조희수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113-171
    • /
    • 2017
  • 이공계 대학생, 이른바 공대생은 한국 대학생의 절반에 가까운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청년 세대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외환위기 이후 청년 세대를 '평범한 안정'을 추구하기 위해 '열정노동'을 수행하는 '진정'한 생존주의자로서 문제화하였다. 이들은 '자신을 초월한 더 큰 존재와 관련 속에서 자신의 삶의 행로를 위치지우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진단된다. 그런데 오늘날 한국의 청년 세대, 특히 공대생들이 수행하고 서사화하는 것이 가능한, 당장 눈앞의 생존 가치를 대체할 만한 가치란 있는 것인가? 생존 가치에 붙잡히지 않는 가치는 (만약 있다면), 어떤 기제와 과정을 통해 공대생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없는 것이 되는가? 우리는 한 지방광역시의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의 학부생을 대상으로 수행한 인터뷰들을 소개하겠다. 이들은 아직 본격적인 과학기술 연구자로서의 삶을 시작한 것은 아니지만, 모두 연구자로서의 미래를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기대, 두려움, 혼란, 욕구, 선(the good)에 대한 지향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2017년 한국이라는 특정한 시공간에서 역사적으로 형성된 '가용한 재고 지식'을 활용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우리는 인터뷰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세 가지 주제-그다지 나쁘지 않은 삶, '진정'한 즐거움, 개발민족주의에 대한 반감-에 관해 분석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자신이 '진정'으로 하고 싶어 하는 연구를 행하고 그러한 연구의 비의도적 부산물을 통해 국가의 발전에 기여하는 변형된 개발민족주의가, 공대생의 자기답게 되기와 선(selfhood and the good)을 연결 짓는 서사 형성에 강력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동아시아 청년층 정보이용자의 도서관불안에 관한 연구 (The Library Anxiety of Information Users in their 20s in East-Asia)

  • 박미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53-272
    • /
    • 2015
  • 본 연구는 동아시아 지역 성인층의 평생학습 확산을 대비한 국가간 도서관 협력의제를 고찰하기 위해 해당 지역 주요국가인 한국, 중국, 일본의 20대 청년층 정보이용자의 도서관인식과 불안을 국가간 비교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에 청년층 정보이용자의 상황적 맥락(선호정보원, 이용빈도, 학력, 성별)에 따른 도서관이용 의 요인별 인식차이를 조사하여 청년층 이용자의 선호정보원과 이용빈도에 따라 도서관불안에 명백한 차이가 있음을 통계적으로 입증하였다. 특히 중국의 정보이용자층이 다른 나라 이용자층에 비해 도서관이용시 각 요소에 대한 불안정도가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한국의 정보이용자들의 디지털정보에 관한 불안요소가 다른 나라 청년층 이용자에 비해 낮은 분포로 측정되었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이용자들의 환경변화에 따른 정보서비스요구에 대한 도서관의 수용 및 새로운 차원의 도서관 장소 모색 등 성인층을 위한 동아시아지역 도서관운영의 개선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이름다운 노후 건강한 노년 - 행복한 노후 생활의 필수 아이템 '자원봉사'

  • 김정운
    • 건강소식
    • /
    • 제37권4호
    • /
    • pp.26-28
    • /
    • 2013
  • 주로 학생과 청년층에서 많이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 현실인 자원봉사. 그러나 최근 인생에서 체득한 양질의 경험과 지식을 사회에 환원하는 어르신들의 자원봉사활동이 주목을 받고 있다. 미용사, 공예 강사, 문화해설사, 하모니카 강사 등 활동 내용도 다양하다. 이러한 어르신들의 봉사활동은 다음 세대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있다.

  • PDF

유신세대의 청년기 독서편력

  • 손호철
    • 출판저널
    • /
    • 통권104호
    • /
    • pp.8-9
    • /
    • 1992
  • 이 시기에 빼놓을 수 없는 것은 70년대 지식인 모두에게 충격을 준 이영희교수의 저서들이다. 그의 "전한시대의 논리"와 "이성과 우상"은 70년대의 지적 편력에 있어서 가장 의미있는 저서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야학운동과 관련하여 급진적 교육론의 교과서였던 프레리의 "페다고지"를 읽은 것도 이 시기였다.

  • PDF

세대와 성별에 따른 신체적 매력과 호감 지각의 집단 차이에 대한 검증 (Generation and Gender Differences in Physical Attractiveness and Likability Perception)

  • 백인해;정태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1호
    • /
    • pp.73-93
    • /
    • 2021
  • 본 연구는 신체적 매력과 호감 지각이 한국인의 세대(청년과 중년) × 평가자 성별(남과 여) × 타겟 성별(남과 여)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또한, 평가자들이 같은 타겟을 평가할 때 평가자가 동성이 만든 타겟을 이성이 만든 타겟보다 더 신체적 매력과 호감을 높게 평가하는지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120명의 대학생을 참여시켜 3D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상적인 외모와 신체를 가진 타겟을 만들었다. 그다음, 또 다른 240명(청년 남녀 각 60명, 중년 남녀 각 60명)이 타겟의 신체적 매력, 호감도를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신체적 매력과 호감도는 정적 상관이 있었지만, 집단 간 차이의 패턴은 달랐다. 즉, 신체적 매력은 타겟의 성별과 평가자 성별에서 성차가 나타났지만 세대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호감도의 경우 타겟의 성별에 따른 차이와 세대 차이가 나타났지만, 평가자의 성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평가자들의 성별에 따라 같은 타겟에 대한 호감 지각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신체적 매력에 대한 진화론적 관점과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코미디언 김희갑, 구봉서, 서영춘의 웃음 의미작용 분석 : 1960년대 후반기 한국 코미디영화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Meaning of Laughter by Comedians Hee-Gap Kim, Bong-Seo Koo and Young-Chun Seo : focusing on Korean Comedy Movies in the late 1960s)

  • 서곡숙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75-89
    • /
    • 2021
  • 본고에서 코미디언 김희갑, 구봉서, 서영춘을 중심으로 1960년대 후반기 코미디영화에 나타나는 웃음의 의미작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미디언의 내러티브적 웃음은 기성세대/청년세대의 세대 갈등, 하층계급/상층계급의 계층 갈등, 남성/여성의 젠더 갈등과 현실의 좌절을 나타낸다. 둘째, 코미디언의 웃음 창출 기제는 보수적인 기성세대에 대한 조롱, 부도덕한 상층계급에 대한 폭로, 좌절하는 하층계급에 대한 희화화를 보여준다. 셋째, 코미디언 웃음의 실천적 양상은 전통/근대의 균열, 경제적 불평등의 간극, 금지된 욕망의 표출을 드러낸다. 그래서 코미디언 김희갑, 구봉서, 서영춘은 비공식문화의 폐쇄적 개방, 캐릭터/퍼포머의 충돌을 통해 내부/외부의 경계자와 낙관적 세계관이라는 웃음의 의미작용을 보여준다.

국민연금기금의 대체투자를 통한 청년층 공공임대주택 공급 후보지 분석: 2011-2016년 수도권 아파트 거래 자료를 토대로 (A Study on Public Rental Housing for Young Generation Utilizing an Alternative Investment of National Pension Fund: Using Apartment Trading Data on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2011 to 2016)

  • 조성아;홍예륜;이성민;신휴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6-172
    • /
    • 2018
  • 한국의 지속적인 인구 고령화는 다양한 사회 갈등을 야기하고 있는데, 국민연금기금 고갈에 대한 위기감은 청년층과 기성세대 간의 첨예한 갈등의 한 양상이 되고 있다. 특히 청년층의 주거복지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국민연금기금의 대체투자를 통한 공공임대주택 공급 방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민연금기금을 통한 청년층 공공임대주택 공급의 당위성을 검증한다. 그 후 공간통계기법에 기반한 탐색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임대주택의 수도권 내 후보지를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결과 세 가지 세부 청년층 분류에 따른 공공주택 공급방안이 도출되었으며, 각 지역과 대상 계층에 적합한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사회의 세대 갈등을 완화하고, 국민연금기금의 수익성과 공공성을 모두 충족함을 목표로 한다.

세대통합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령집단 간 비교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Focused on the Comparisons of Age Group Differences)

  • 정순둘;임정숙;홍영란;박난숙;최성문
    • 한국노년학
    • /
    • 제38권1호
    • /
    • pp.125-142
    • /
    • 2018
  • 본 연구는 효의식, 가족교류 및 사회교류와 세대통합인식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 관계에서 연령집단간 차이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역량강화지원사업에서 진행된 '2017 연령통합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전체 1017명 중에서 청년 300명, 중년 300명, 노인 300명을 각각 무작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연구대상자에서는 효의식, 가족교류, 사회교류가 세대통합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효의식, 가족교류, 사회교류와 세대통합인식의 관계는 연령집단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청년층은 가족교류와 사회교류, 중년층은 효의식, 가족교류, 사회교류, 노년층은 효의식과 사회교류가 세대통합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세대통합인식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의 필요성과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초고령화 시대를 대비한 영상 스토리텔링 연구 - 영상자서전 교육 프로그램 모델과 미디어 라이프 서비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Visual Storytelling for Super-aged Society - Focusing on Visual Autobiography Education Program Model and Media Life Service -)

  • 조병철;최승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859-869
    • /
    • 2019
  • 우리는 한편에서는 초고령화 시대를, 다른 편에서는 인공지능 초기단계의 자동화 시대를 동시에 마주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미디어 기술의 적용을 통해 초고령화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목적으로 세대 통합형 영상 스토리텔링과 연계한 영상자서전 제작을 수행하였다. 영상자서전 제작 프로그램은 조부모와 손자, 손녀가 함께 영상 속 주인공이 되어 지나간 기억과 삶을 되돌아보고 그들의 삶의 의미를 인식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으며, 이는 다양한 미디어로 확장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가졌다고 고찰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스토리텔링 교육 프로그램 모델과 미디어 라이프 서비스는 청년세대와 노인세대가 함께 공유하며 사회 통합 프로그램으로서의 '공감문화'에 기여할 것이다.

한국판 세대 간 심리적 양가성 척도 타당화: 청년자녀를 중심으로 (Psychometrics of a Korean intergenerational psychological ambivalence scale for young adult children)

  • 이진경;이재림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05-130
    • /
    • 2018
  • Objectiv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Intergenerational Psychological Ambivalence Scale (KIPAS) for young adult children. Method: Data came from 1,140 Korean young adults aged 19-34, who were never married and had at least one living parent. We translated the individual-subjective dimension of Zygowicz's (2006) Intergenerational Ambivalence Scale from English to Korean. The individual-subjective dimension had eight items that directly measured intergenerational psychological ambivalence (D-KIPAS) and 10 items that indirectly measured intergenerational psychological ambivalence (I-KIPAS). Results: The D-KIPAS and I-KIPAS items showed good internal consistency both for the mother and the fath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D-KIPAS items loaded on one factor after controlling for method effects, which allowed error variances among the four non-reversed items to covary.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items of I-KIPAS had good reliability and loaded on the same factor. The mean score of D-KIPAS and the calculated score of I-KIPAS were significantly but moderately correlated, which indicates that the D-KIPAS and I-KIPAS assess correlated but distinct aspects of intergenerational ambivalence. Correlations among D-KIPAS, I-KIPAS, and the proxy variables of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and conflict supported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KIPA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oth D-KIPAS and I-KIPAS are reliable and valid tools to measure intergenerational psychological ambivalence among Korean young ad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