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청계천

Search Result 17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Flood and River Maintenance of Cheonggye-cheon Stream in the Josun Dynasty (조선시대 청계천의 홍수와 하천정비 연구)

  • Kim, Hyeo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209-213
    • /
    • 2006
  • 청계천이 복원되었다. 서울시에 의하여 지난 2003년 7월부터 시작된 복원공사가 2005년 10월 준공되었다. 원래부터 청계천은 인공의 하천이었다. 조선왕조 520년의 기틀을 다지면서, 도성에 있는 자연하천을 직강화하고 양안에 석축을 쌓아 개천으로 만들었던 것이다. 하천에 인위적인 요소를 더한 것은 전적으로 홍수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였다. 조선왕조실록에는 태종부터 헌종까지 도성에서 발생한 큰 홍수기록이 10건 소개되어 있다. 특히, 순조 32년(1832)과 헌종 12년(1846)의 피해가 컸었다. 순조 32년 6월부터 7월초까지 비가 오지 않은 날이 없다고 하였으며, 도성내 5부의 민가가 파괴된 것은 3,166호였고 죽은 자는 64명이었다. 헌종 12년 9월에도 큰 피해가 있었는데, 5부에 무너진 민가가 3,900여호나 되었다. 4대문 안의 서울은 북악산과 남산으로부터 가파르게 흐른 물이 고이기 쉬운 저지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침수 피해가 자주 발생하였다. 개국 초기에 여러차례의 홍수피해를 당한 후에, 태종의 본격적인 하천정비 사업은 세종 때에 완성되어 오늘날 청계천의 기본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임진왜란이후 개천은 상류에서 쓸려내여온 토사가 쌓여 하천으로서의 구실을 다하지 못하였다. 영조 때에는 매립된 토사로 인하여 하천 바닥이 높아졌고, 양안의 도로와 거의 같은 높이가 되었다고도 한다. 이에 영조는 대대적인 준설 사업을 펼쳤고 조선이 폐망할 때까지 주기적으로 준설을 하였다. 준설만을 한 것은 아니었다. 세종은 측우기의 발명과 함께 한강과 개천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수표(水標)를 제작하였고, 역대 왕들은 큰 비가 오면 강우량과 함께 하천의 수위를 점검하였었다. 청계천을 중심으로 자연의 거친 손길에 대응하여 안정된 사회를 만들고자 조선의 왕들과 관리 그리고 백성들은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선조들의 발자취를 따라서 그 흔적들을 소개하고자 한다.없는 토양들이 있었는데 반해 남계통을 비롯한 학곡통, 회곡통, 백산통, 상주통, 석천통, 예산통 등 7개의 토양은 3kPa에서도 약간의 물의 이동이 있었다. 이는 모암이 화강 편마암인 관계로 토양 내에 물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자갈의 함량이 높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되고 추후의 연구에서는 이 부분에 대한 내용도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1kPa에서 물의 이동은 삼각통에서 35.21 cm/day로 이동 속도가 가장 컸으며 그 뒤로 예산통, 화봉통, 학곡통, 백산통 등이 토양에서 빠른 속도로 이동하였다. 가천통이나 석천통 및 우곡통은 1kPa에서의 이동 속도가 아주 느린 토양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포화되지 않은 상태인 1kPa에서 물의 이동 속도를 VGM 모형에 의해 예측된 값과 측정된 값으로 비교하였을 때 불포화 수리 전도도가 예측되지 않은 토양(석천통, 지곡통, 풍천통)이 존재하여 불포화 수리 전도도 특성평가에 대한 VGM 모형의 적용성에 문제를 보였다. 이는 결과적으로 논이라는 영농형태가 존재하는 우리나라에서 토양의 수리적 특성해석을 위한 VGM 모형의 적용성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략을 개발 및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한국주식시장에 적합한 거래전략은 반전거래전략이고, 이 전략의 유용성은 투자자가 설정한 투자기간보다 더욱 긴 분석기간의 주식가격정보에 의하여 최대한

  • PDF

A study on the Narrative Effect of Insulated Locale like a Island focusing on the Cheonggye Industrial Tools Center of <Pieta> (고립된 장소의 서사적 기능에 대한 연구 -영화 <피에타>의 청계천 공구 상가를 중심으로-)

  • Yoo, Suy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5
    • /
    • pp.74-84
    • /
    • 2014
  • The places of the movie are not a just backdrop, are discribed by the character. Imagetelling movie is a character movie by itself. One of the famous korean director which made a imagetelling movie is a Kim-kiduk. Most of his movies are the lonely people who lives a insulated locale like a island. The is also lonely people who lives in insulated area in Seoul, Korea. The is the best movie of all his film life. This Thesis will explain how to make a narrative using a chunggye industrial tools center more effectively and define the power of the locale in the movie.

Analysis of prioritizing area for runoff reduction using permeable pavement and green roof (청계천 유역의 유출 저감을 위한 투수성 포장재와 옥상녹화의 우선순위 지역 분석)

  • Kim, Il Hwan;Yang, Jeong Seok;Nam, Jae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49-449
    • /
    • 2015
  • 최근 비정상성을 띄는 강우 사상으로 인해 도심지에서는 유출량이 증가하여 많은 피해를 보이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투수성 포장재, 옥상 녹화, 침투 트렌치, 빗물 정원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를 유역에 속해 있는 전체 도심지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자원이 소비된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의 청계천 유역을 대상으로 강우유출 모형인 SWMM을 이용하여 소유역 별로 투수성 포장재와 옥상 녹화 사업을 적용하여 유출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적용된 강우는 강우강도에 따라 각 시설들이 갖는 한계점을 분석하기 위해 서울(108) 지점을 기준으로 재현기간 80년, 지속기간 24시간에 대해 초과확률 50%에 해당하는 Huff 3분위를 채택하였고, 투수성 포장재와 옥상녹화는 서로 적용 위치가 달라 두 가지 사업의 조합을 통해 각각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사업 우선순위를 위해 소유역별 사회, 환경적인 자료를 취합하여 우선순위화 하였다. 이를 통해 한정된 자원 내에서 최적의 개발 지역을 선정하여 최대한의 효과를 도모하고자 한다.

  • PDF

A Water Quality Modeling Study of Chunggye Stream during Combined Sewer OverFlow Period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 유입 기간 동안에 나타나는 청계천 수질 변화 모델 연구)

  • Yi, Hye-Suk;Park, Seok-S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7 no.12
    • /
    • pp.1340-1346
    • /
    • 2005
  • A water quality modeling study was performed for Chunggye stream during combined sewer overflow(CSO) period, utilizing the diagnostic system for water management in small watershed, CREEK-1(Cyber River for Environment and Economy in Korea). This system integrated geogaphic information system, data base, landscape ecological model(FRAGSTATS), watershed model(SWMM), water quality model (WASP5), and computer graphic. In this study, the watershed model and water quality model were extensively utilized so as to simulate water qualities and flow in Chunggye stream during wet periods. The Chunggye stream watershed was divided into 18 sub-basins in the watershed model and the stream reach into 11 segments in the water quality model. The watershed model was validated against field measurements of BOD, TN, TP, and flow at the downstream location, where the model results showed a reasonable agreement with the field measurements at all parameters. From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the stream water quality would change along with elapsed time from rainfall start as well as rainfall intensity. The model results indicated that the water quality would significantly upgrade due to the first flush and high sewage ratio of CSO at the beginning of rainfall event, but become degraded along with the runoff increase due to dilution effect.

Application of Beta Diversity to Analysis the Fish Community Structure in Stream (베타다양성 개념의 적용을 통한 청계천 어류 군집 특성 분석)

  • Kim, Dong-Hwan;Lee, Wan-Ok;Hong, Yang-Ki;Jeon, Hyoung-Joo;Kim, Kyung-Hwan;Kang, Hyejin;Song, Mi-Young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2 no.3
    • /
    • pp.274-283
    • /
    • 2019
  • Beta diversity is an efficient means of assessing the spatial variation in community composition among sites. To present fish community variation and LCBD (Local Contribution to Beta Diversity) among sites in stream, 6 sampling sites were selected in Cheonggye stream. Fish communities, environmental and habitat variables were collected at sites from April 2014 to October 2015. We used the total variance of the fish community data table (site-by-species community table) based on different forms, presence-absence, abundance, and Hellinger transformation, to estimate and compare beta diversity and LCBD. Fish community data table transformed by Hellinger distance showed the higher values of beta diversity than presence-absence and abundance data table. A similar patterns of LCBD were observed with presence-absence and Hellinger transformed data table. Low value of beta diversity calculated by community data table with abundance was due to the non-normality of fish assemblage data. Additionally,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among LCBD, community indices and physicochemical variables. LCBD showed nega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hannon diversity. Overall, application of beta diversity analysis is an efficient method of addressing spatial variation of fish communities and ecological uniqueness of the sites in stream.

A Study on Environmental Cognition Patterns through Discourse Analysis Regarding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청계천복원관련 담론분석을 통한 환경인식 지형연구)

  • Lee, Mi-Kyung;Kim, Han-Ba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6
    • /
    • pp.102-114
    • /
    • 2009
  • Urban discourse can be used to create a better living environment through open thinking, understanding and discussion. It raises both physical and social issues surrounding the urban environment. It can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citizen groups and lead the way to develop a community-oriented urban environment through inter-discourse agreement. The urban space of Cheonggye Stream has produced a wide range of urban discourse from 2003 to the present. Discourse regarding the Cheonggye Stream restoration project has been approached by fields including landscape architecture, ecology, urbanism, architecture, politics, and economics, among others. This discourse has reduced a variety of issues and ranges of debate. This study has classified these discussions into related fields and ideological attitudes, analysed their content, and interpreted their meaning. In order to examine the mutual relationships existing among these discourses by different ideological groups, an analytical framework was established byputting classified versions of discourses into a coordinate diagram. The overall topography showing the present status of Korea public awareness regarding the urban environment could therefore be determin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disciplines of landscape architecture took a middle ground between groups with practical and radical ideologies regarding the Cheonggye Stream project and was a mediator for both poles to find a point of contact. However, participatory discourse requires the disciplines of landscape architecture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he discourses on urban environment and take a more active stand corresponding to the zeitgeist and people's sense of public jus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