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청각 유발 전위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haotic dynamics in EEG signals responding to auditory stimulus wi th various triggered frequencies (단속 주파수를 변화시킨 청각 자극에 반응하는 뇌전위신호의 카오스 분석)

  • Choi, J.M.;Bae, B.H.;Kim, S.Y.
    • Proceedings of the KOSOMBE Conference
    • /
    • v.1994 no.05
    • /
    • pp.69-71
    • /
    • 1994
  • 1Hz에서 20Hz까지의 단속 주파수를 지닌 청각자극을 가해 얻은 EEG신호에서 자극에 따른 신호의 정성적이고 정량적인 특성을 카오스 분석방법을 통해 밝혔다. 먼저, 뇌전위 신호에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일반적인 카오스 특징(fractal mechanism, 1/f frequency spectrum, positive lyapunov exponent등등)이 확인되어졌다. 유발전위에 대해서는 자극의 주파수에 따른 주기 배증을 경유한 카오스로 가는 길(route to chaos)과 2차원 pseudo-phase portrait의 뿌앙까레 단면에서의 기하학적 모양(topological property)의 변화가 관찰되어졌고, 자발전위가 포함된 유발전위에 대해서는 적절한 bases를 지닌 3차원 phase space에서 기이한 끌개(chaotic attractor)가, 유발전위의 정보를 지닌채 보여졌다. 끝으로 자극 주파수(단속 주파수와 반송 주파수) 변화와 측정이 이루어진 머리표면에서의 공간적 위치에 따른, lyapunov exponent값 변화가 의미있게 해석되어졌다. 이 결과는 무질서하게 보이는 뇌전위신호에서 주어진 청각자극에 대한 정보를 얻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게 된다.

  • PDF

Chaotic Dynamics in EEG Signal Responding to Auditory Stimulus with Various Sound-Cutting Frequencies. (단속 주파수를 변화시킨 청각자극에 반응하는 뇌전위신호의 카오스 분석)

  • Choe, Jeong-Mi;Bae, Byeong-Hun;Kim, Su-Yong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15 no.3
    • /
    • pp.237-244
    • /
    • 1994
  • We investigated the qualitive and quantitative properties in EEG signal which responds to auditory stimulus with increaing the sound-cutting frequency from 2 Hz to 20 Hz by 2 Hz step units, by chaotic dynamics. To bigin with, general chaotic properties such as fractal mechanism, 1 If frequency spectrum and positive Lyapunov exponent are discussed in EEG signal. For evoked potential with given auditory stimulus, the route to chaos by bifurcation diagram and the changes in geometrical property of Poincare sections of 2-dimensional psedophase space is observed. For that containing spontaneous potential, seen as the random background signal, the chaotic attractors in 3-dimensional phase space are found containing the same infomation as the above mentioned evoked potential. Finally the chinges of Lyapunov exponent by various sound-cutting frequencies of stimulus and by the various spatial positions (occipital region) in a brain surface to be measured, are illustrated meaningfully.

  • PDF

Brain Computer Interaction Based on Steady-State Visually Evoked Potential Evoked by High Frequencies (고주파수 시유발지속전위를 이용한 뇌-컴퓨터 인터랙션)

  • Mun, Sungchul;Park, Mi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765-1768
    • /
    • 2015
  • 3D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3 차원 공간에서의 뇌-컴퓨터 인터랙션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3D 디스플레이 기술은 사용자에게 실재감과 몰입감을 부여하여 특정 태스크를 수행할 때 사용자 태스크 퍼포먼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3D 입체감이 주는 긍정적 효과에 대한 연구는 교육, 주의력 향상, 엔터테인먼트를 목적으로 하는 뇌-컴퓨터 인터랙션 분야에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뇌-컴퓨터 인터랙션을 구성하는 뇌파성분에는 시각, 청각, 촉각 유발지속전위, 사건유발전위, 사건관련 동기/비동기화 성분, 느린 피질전위 등이 있다. 이 중 시유발 지속전위를 이용한 뇌-컴퓨터 인터랙션 기술은 오브젝트 콘트롤을 위한 사전훈련이 거의 요구되지 않으며 높은 정보전달율을 가지는 것을 특정으로 하기 때문에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저주파수 대역의 명멸자극이 유발하는 피로감으로 인해 사용시간이 제한적인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유발뇌파의 일종인 시유발지속전위를 이용한 뇌-컴퓨터 인터랙션 기술을 소개하고 3D 홀로그램 인터랙션 수행 시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 하고자 한다.

Bilateral Later-Onset Sensorineural Deafness Diagnosed by Brainstem Auditory Evoked Response in a Border Collie (뇌간 청각유발전위 검사에 의해 진단된 보더 콜리의 양측 후발성 감각신경성난청)

  • Kang, Byung-Jae;Kim, Yongsun;Lee, Seunghoon;Kim, Wan Hee;Kweon, Oh-Kyeong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31 no.2
    • /
    • pp.129-132
    • /
    • 2014
  • A 4-year-old, intact female Border Collie was presented for evaluation of hearing impairment. Clinical, neurological, otoscopic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examination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cause of hearing loss, but no remarkable change was found. Then, brainstem auditory-evoked response test was performed to assess hearing loss, and the dog had a bilateral sensorineural deafness was revealed. Since possible causes of acquired hearing loss were ruled out by several examinations and history taking, bilateral later-onset deafness was suspected to be genetic and not congenital. This report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dogs had inherited later-onset sensorineural deafness.

Recurrence Quantification Analysis of Auditory Evoked Related Potential in Inattention and Attention (비 집중.집중 상태에 따른 청각 유발 전위의 반복 정량 분석)

  • Kim, Hye-Jin;Yoo, Sun-Kook;Lee, Byung-Chae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6 no.4
    • /
    • pp.503-508
    • /
    • 2013
  • This study aims to analyze using RQA(Recurrence Quantification Analysis) about difference of electroencephalogram between inattention and attention among nonlinear methods for school age children who need attention.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21 healthy subjects(12 males and 9 females). Inattention state is 500msec before the beginning of the auditory stimuli, attention state is 500msec after the beginning of auditory stimuli. The results of RQA parameters are greater in attention state than inattention state. It showed a statistically difference(p < 0.05). According to two states, auditory evoked potentials are displayed RP and CRP in diagram form to confirm nonlinear characteristics and The brain dynamics in the attention is more complex than the inattention. It is feasible that the RQA can be useful for the analysis of complex brain dynamics associated during auditory attentional task.

Hearing Screening Test for High Risk Neonate (고위험군 신생아의 청각 스크린 검사)

  • Soh, Un-Ki;Na, Bak-Ju;Lee, Moo-Sik;Kim, Chul-Woung;Lim, Nam-Gu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599-602
    • /
    • 2009
  • 본 연구는 2006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일개 대학병원에서 출생한 고위험군 신생아 121명을 대상으로 청각선별검사인 자동화 유발이음향방사와 확진검사인 청성뇌유발전위검사를 실시하여 임상양상과 청각장애 발생률, 검사소요 시간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청각장애발생률은 전체 고위험군 신생아 121명 중 5명의 신생아가 난청으로 조기에 진단되었다. 2. 난청으로 확진 받은 신생아 5명의 관련 질병을 살펴보면 고빌리루빈혈증 2명, 저체중 1명, 구개열 1명, 다운증후군 1명이었다. 3. 난청으로 확진 받은 신생아 5명의 청력손실정도는 양측 고도난청 1명(70dB), 양측 중도난청 2명(55dB), 편측성 난청 2명으로 나타났다. 4. 검사소요 시간은 선별검사인 유발이음향방사 검사를 실시하는 데 소요된 총 시간의 평균은 $107.5{\pm}65.2$초였고, 확진검사인 청성뇌유발전위 검사를 실시하는 데 소요된 총 시간의 평균은 $1,500{\pm}90.1$초가 소요되었다. 5. 연구를 진행하는 도중 11명의 고위험군 신생아가 이사, 연락처 변경, 경제적 사정으로 추적검사에 참여하지 않았다. 신생아 난청은 다른 질병에 비해 발병률이 높은 선천성 질환으로서 모든 신생아를 대상으로 청각검사를 실시하여 난청의 조기진단에 대한 선별검사의 정착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P3 in the Auditory Event-Related Evoked Potential of Schizophrenia(I) -P3 in the Schizophrenics- (정신분열증의 사건관련유발전위에 대한 연구(I) -정신분열증 환자의 사건관련유발전위-)

  • Oh, Dong-Jae;Chang, Hwan-Il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 /
    • v.1 no.1
    • /
    • pp.87-98
    • /
    • 1994
  • Objectives: To examine a defect in inhibitory gating of auditory evoked response in schizophrenics, to compare P3 latency and amplitude in negative and positive schizophrenics, and to assess the association of P3 with family history of the psychiatric disorders, electroconvulsive therapy, and clinical features. Methods: 54 schizophrenics(male 31, female 23) and 75 controls(male 33, female 42) were tested with event-related potential paradigm designed to elicit P3 response and Frankfurter Beschwerde Fragebogen. Results: In schizophrenics, the latency of P3 was significantly more delayed and the amplitude of P3 was significantly more reduced than in the controls. Significant differences in P3 latency and amplitude between negative and positive schizophrenics were not found. An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3 latency and amplitude between schizophrenics with family histories of psychiatric disorder and those without family histories of psychiatric disorder was not found also. The P3 latency and amplitude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electroconvulsive therapy and other clinical features such as age, duration of illness, onset of inllness, number of admission, and doses of antipsychotics etc.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chizophrenics had a dysfunction in the process of selective attention and that P3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family history of the psychiatric disorders,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electro1convulsive therapy, and clinical features in schizophrenics.

  • PDF

Quantifica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by Single-Channel Brain Wave (단일 전극 뇌파에 의한 쾌, 불쾌 감성의 정량화)

  • 최정미;황민철;배병훈;유은경;오상훈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1
    • /
    • pp.59-67
    • /
    • 1998
  • 뇌전위에서 개인차가 없는 일반적인 규칙ㅇ르 지닌 두개의 정보 변수, 즉 ILF와 IHF를 발견하였다. 이러한 일반성을 지닌 정보 변수가 청각, 후각, 촉각 자극에 의해 유발된 쾌하거나 불쾌한 감성 상태를 구분할 수 있으며 전두엽에서 그 경향이 두드러짐을 확인하였다. 전두엽의 뇌전위에서 감성 자극이 주어지가 전과 자극이 주어지는 동안의 ILF, IHF값을 정규화함으로써 새로운 변수, Relative Quantified Emotional State(RQES)를 구현하였다. RQES는 쾌, 중립, 불쾌한 감성의 정도를 선형적으로 정량화하였다. 따라서 하나의 전극으로 측정한 전두엽부분의 뇌전위로부터 RQES값을 계산하면 인간의 쾌, 불쾌 감성을 신뢰도있게 정량화 할 수 있다.

  • PDF

An Analysi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Consciousness and LAEP during Anesthesia - Preliminary Study (마취에 의한 의식수준의 변화와 내인성 유발전위간의 상관성 분석에 관한 기초 연구)

  • Kim, Jung-Hwan;Im, Jae-Joong;Kim, Young-Jae;Kwon, Dae-Sung
    • Proceedings of the KOSOMBE Conference
    • /
    • v.1995 no.11
    • /
    • pp.147-150
    • /
    • 1995
  • 최근의 마취과학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의 주된 경향은 마취심도 및 의식수준의 결정을 신경생리학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마취와 의식에 관한 인간의 뇌가 가지고 있는 기능이나 약리학적인 반응을 대표할 수 있는 생체신호를 검출, 분석하여 정량화하고 이들을 이용하면 마취심도 및 의식수준과의 큰 상관관계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가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각유발전위 (LAEP, Long latency Auditory Evoked Potential)를 검출하여 추출된 변수들과 마취제 투여량간의 변화에 따른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술환자(17명)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마취제로서는 Midazolam과 Diazepam을 인체로 투여하고 1 KHz와 2 KHz의 청각자극을 제시하였을 때 피검자로부터 발생되는 LAEP를 검출하였다. 검출된 LAEP로부터 추출된 N100과 P300의 진폭은 마취량의 증가에 따라서 간소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는 진폭의 변화는 마취제의 투여에 따른 의식수준의 변화를 나타내는 지수(index)의 설정 및 알고리듬의 수립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Evoked Potentials before the Intractable Epilepsy Surgery (난치성 뇌전증 환자에서 수술 전 유발전위검사)

  • Lim, Sung Hyuk;Park, Sang Ku;Baek, Jae Seung;Kim, Kab Kyu;Kim, Ki Eob;Lee, Yu Ji
    •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
    • v.51 no.2
    • /
    • pp.198-204
    • /
    • 2019
  • Various treatments can be attempted in patients with intractable epilepsy, in whom the symptoms of seizures are not controlled by various drugs. On the other hand, in patients requiring a surgical method, a preoperative examination is needed to determine the portion of seizure site to be resected. Electrodes are inserted into the cerebral cortex for accurate lesion measurements and safe operation. The electrodes inserted in the cortex not only record the electroencephalography (EEG), but also allow various tests to confirm the function of the part. One of these methods is the evoked potential test. From January 2015 to December 2018, the trends of measured waveforms in were analyzed 70 patients. The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 (SSEP) recorded on the electrode inserted in the cerebral cortex can be searched for the pathway of the central sulcus to avoid the primary motor area and primary sensory area. In addition, using the middle latency auditory evoked potentials (MLAEP) and flash visual evoked potentials (FVEP), the functional cortex in the auditory cortex and the visual cortex were compared with the seizure focus point on the EEG to help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ablation and minimize functional impairment after surg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