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청각아이콘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velopment of Auditory Icon in Ship Bridge Alarm Management System (선교알람관리시스템의 청각아이콘 개발을 위한 연구)

  • Oh, Seung-Bin;Jang, Jun-Hyuk;Kim, H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5-7
    • /
    • 2012
  • 선교에는 항해사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다양한 신호가 존재한다. 항해 및 통신 장비로부터 나오는 음향 신호 등 다양한 청각 신호들이 존재하지만 이러한 청각 신호, 청각 경고음에 대한 인간의 인지능력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청각 경고음은 크게 음성(speech), 함축적 소리(abstract sound), 청각 아이콘(auditory icon)으로 구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각 경고음 중 청각아이콘을 활용하여 5가지의 경보상황(엔진, 화재, 조타, 전기, 충돌)에서 청각아이콘에 대한 감성평가를 통해 각 상황에 적합한 청각아이콘을 선별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선교 내 청각표시장치와 통합선교알람관리시스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nformation Display of Wearable Devices through Sound Feedback of Wearable Computing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 청각 피드백을 통한 웨어러블 기기의 정보 디스플레이)

  • Park, Young-Hyun;Han, Kwa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591-597
    • /
    • 2007
  • 웨어러블 컴퓨팅의 지속적인 발전과 함께, 이들이 지원하는 기능은 점점 다양화되고 전문화되었다. 하지만 기기의 종류와 기능이 늘어나면서 각 기기의 상태를 확인하는 작업 자체가 복잡하고 불필요한 시간을 소요하기도 한다. 또한 이를 시각 디스플레이에만 의존하면, 디스플레이 크기의 한계와 더불어 시각적인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웨어러블 각 기기의 상태정보 피드백으로서 소리를 이용하였다. 실험의 순서는 먼저 시각정보에 더하여 청각정보를 추가적으로 제시하는 방식의 유용성을 검증한 다음, 기기 특정적인 청각 아이콘(Auditory Icon)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청각정보의 유용성을 확인하는 단계에서는 참가자에게 특정 기기의 위치와 그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각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시하면서,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청각 디스플레이를 제시하고 기기 및 상태정보 확인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시각디스플레이의 방식은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사람의 몸을 나타내는 그림 위에 기기가 장착된 위치를 붉은 점으로 표시하고, 그 상태를 텍스트로 표시하는 방식(실험 1)과 텍스트를 통해 기기의 종류와 상태를 알려주는 방식(실험 2)을 적용하였다. 기기 확인에 소요되는 반응시간을 기록한 실험결과는 시각디스플레이를 통해서만 제시하는 조건보다 시각디스플레이와 청각디스플레이를 동시에 제시하는 조건에서 나은 수행을 보여주며, 정보의 내용이 일정 범위 내에서 구체적으로 제시될 수록 수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어지는 기기 특정적인 청각 아이콘의 효과를 확인하는 단계에서는, 소리의 높낮이를 통해 기기의 위치를 표현하는 대신, 소리만 듣고 기기가 무엇인가를 알려줄 수 있도록, 참가자 평정을 통해 기기 특정적인 청각 아이콘을 선정하고, 이를 상태정보 디스플레이에 추가하였다. 기기의 수와 제시조건은 앞선 실험과 동일하였으며, 역시 기기 및 상태정보 확인에 소요되는 반응시간을 체크하였다. 실험결과는 이전의 실험과 비슷하게 시각과 청각 디스플레이의 중복제시 조건에서 높은 수행을 보였으며, 청각 아이콘의 사용으로 인한 수행의 증가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2에서는 추가적으로 청각 디스플레이의 내용에 대한 주관적인 평정을 실시 하였는데, 기기 특정적인 청각 아이콘은 참가자에게 편의성, 효용성, 적합성, 확신도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각 피드백을 이용한 정보의 디스플레이는 착용자의 시선을 자유롭게 함으로써 일상생활의 수행을 높이고, 웨어러블 컴퓨터 디스플레이 크기의 제약을 해결하는 방법이 될 수 있는 동시에 주관적인 사용성 측면에서 발전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 PDF

Selection of Auditory Icons in Ship Bridge Alarm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ensibility Evaluation (감성평가를 이용한 선교알람관리시스템의 청각아이콘 평가)

  • Oh, Seungbin;Jang, Jun-Hyuk;Park, Jin Hyoung;Kim, Hongtae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7 no.4
    • /
    • pp.401-407
    • /
    • 2013
  • In parallel with the development of ship equipment, bridge systems have been improved, but marine accidents due to human error have not been reduced. Recently, research in nautical bridge equipment has focused on suitable ergonomic designs in order to reduce these errors due to human factors. In a bridge of a ship, there are numerous auditory signals that deliver important information clearly to the sailors.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lated to the human recognition of these auditory signals. There are three types of auditory signals: voice alarms, abstract sounds, and auditory icon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sign more appropriate auditory icons using a sensibility evaluation method. The auditory icons were rated to have five warning situations (engine failure, fire, steering failure, low power, and collision) using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auditory displays inside bridges and for integrated bridge alarm systems.

A Study on Development Ship Alarm Sound and Ship Bridge Alarm Management System (선교경보관리시스템의 제작 및 선박 경보음 개발을 위한 연구)

  • Ha, Wook-Hyun;Jang, Jun-Hyuk;Kim, Hong-Te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452-454
    • /
    • 2012
  • 현대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항해 장비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인적 오류에 의한 해양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인적 오류에 의한 해양사고는 항해사의 상황 인지오류 또는 현상 착각 등 많은 상황에서 일어나고 있다. 선교에는 각종 항해 장비로부터 나오는 많은 물리적 음향 신호들이 존재하며, 위험을 전파하는 경보음은 항해사에게 위험상황을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보음을 항해사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선교경보관리시스템의 경보음 개발을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기존에 선교에서 사용하는 경보음에 대해 음향학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음성 경보음과 청각아이콘을 활용한 경보음 개발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현재 해양연구원에서 제작한 선교경보관리시스템(BAMS)을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 PDF

Cognitive Experiment on Auditory Sounds for Integrated Ship Bridge Alarm System (통합 선교 알람 시스템을 위한 알람 인지에 대한 기초 실험)

  • Lee, Bong-Wang;Kim, Hong-Tae;Yang, Chan-Su;Yang, You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1 no.1 s.22
    • /
    • pp.11-16
    • /
    • 2005
  • A ship can be considered as a large human-machine system and the interaction between worker and system affects the work performance and its efficiency. In the bridge if a ship, there exist many auditory signals as well as visual signals.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performed related to human recognition to alarm systems in the bridge. In this study, auditory icons and abstract sounds are compared to find more effective means if alarm systems. The study result shows that auditory icons are recognized faster than n abstract sounds. The result is expected to be use as a basic data for developing performance criteria q auditory display inside bridge and for designing integrated ship bridge alarm system.

  • PDF

Development of a Wearable computer interface for aurally impaired persons (청각 장애인을 위한 웨어러블 단말 인터페이스 기술)

  • Park, Jin-Young;Ahn, Chong-Keun;Kim, Lae-Hyun;Ha, Sung-Do;Park, Se-Hy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57-62
    • /
    • 2006
  • 최근 들어 IT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시키는 웨어러블 컴퓨팅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일반인 뿐만 아니라 장애인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고, 현재 관련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청각장애인을 위해 개발된 웨어러블 단말 인터페이스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웨어러블 단말장치는 소형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주변의 소리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요한 소리를 실시간 감지하여, 시각과 촉각 정보로 변환하여 소리의 종류 및 방향을 청각장애인에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시각정보는 안경식 소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황에 맞는 그래픽아이콘을 보여주고 동시에 소형 진동자들이 부착된 햅틱 슈트를 통해 촉각 정보가 전달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웨어러블 단말장치를 통해 청각장애인이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위험상황 또는 긴급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자 한다.

  • PDF

The Development of Image Caption Generating Software for Auditory Disabled (청각장애인을 위한 동영상 이미지캡션 생성 소프트웨어 개발)

  • Lim, Kyung-Ho;Yoon, Joon-S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1069-1074
    • /
    • 2007
  • 청각장애인이 PC환경에서 영화, 방송, 애니메이션 등의 동영상 콘텐츠를 이용할 때 장애의 정도에 따라 콘텐츠의 접근성에 있어서 시각적 수용 이외의 부분적 장애가 발생한다. 이러한 장애의 극복을 위해 수화 애니메이션이나 독화 교육과 같은 청각장애인의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한 콘텐츠와 기술이 개발된 사례가 있었으나 다소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대 뉴미디어 예술 작품의 예술적 표현 방법을 구성요소로서 추출하여, 기술과 감성의 조화가 어우러진 독창적인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PC환경에서 청각장애인의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접근성 향상 방법을 추출하고, 실질적으로 청각적 효과의 시각적 변환 인터페이스 개발 및 이미지 캡션 생성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해 청각장애인의 동영상 콘텐츠 사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청각장애인의 동영상 콘텐츠 접근성 분석, 둘째, 미디어아트 작품의 선별적 분석 및 유동요소 추출, 셋째, 인터페이스 및 콘텐츠 제작의 순서로 단계별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 세번 째 단계에서 이미지 캡션 생성 소프트웨어가 개발되고, 비트맵 아이콘 형태의 이미지 캡션 콘텐츠가 생성된다. 개발한 이미지 캡션 생성 소프트웨어는 사용성에 입각한 일상의 언어적 요소와 예술 작품으로부터 추출한 청각 요소의 시각적요소로의 전환을 위한 인터페이스인 것이다. 이러한 기술의 개발은 기술적 측면으로는 청각장애인의 다양한 웹콘텐츠 접근 장애를 개선하는 독창적인 인터페이스 추출 환경을 확립하여 응용영역을 확대하고, 공학적으로 단언된 기술 영역을 콘텐츠 개발 기술이라는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함으로써 간학제적 시도를 통한 기술영역을 유기적으로 확대하며, 문자와 오디오를 이미지와 시각적 효과로 전환하여 다각적인 미디어의 교차 활용 방안을 제시하여 콘텐츠를 형상화시키는 기술을 활성화 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청각장애인의 접근성 개선이라는 한정된 영역을 뛰어넘어 국가간 언어적인 장벽을 초월할 수 있는 다각적인 부가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시도, 접근, 생산을 통해 글로벌 시대에 부응하는 새로운 방법론으로 발전 할 수 있다.

  • PDF

Design of Auditory Icons in Mobile Applications (모바일제품을 위한 청각 아이콘 설계에 관한 연구)

  • Park, Dong-Hyun;Myung, Ro-Hae
    •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 /
    • v.24 no.3
    • /
    • pp.29-34
    • /
    • 2005
  • Little research has been performed regarding auditory icons even though auditory icons have great potentials as a strategy for creating informative, intuitively accessible, and unobtrusive interface.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ign new auditory icons through the iconic mapping for ten most frequently used mobile phone menus, and to show the usability of auditory icons. Two most familiar auditory sounds for each menu were collected and compared to the current button-pressing sound. The results show that the newly designed auditory icons had shorter recognition times, better satisfaction than the current icons. In other words, auditory icons could be an effective interface to provide a redundant feedback along with visual feedbacks in navigating mobile devices.

Study of GUI design convergence guideline for the users of aged generation (고령화 세대의 스마트폰 사용자를 위한 GUI 디자인 융복합 가이드라인 연구)

  • Jeon, In-Kyu;Chung, Jean-H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7
    • /
    • pp.323-331
    • /
    • 2015
  • 21st Century is getting into Super aging society worldwide basis. Among those population, silver(aged) generation users' physical condition, such as sight, hearing and body, is getting older, especially sight ability which processes 80% of input data, it requires us studying new smartphone GUI designs convergence for the elderly. In light of this social phenomenon, this study suggests smartphone GUI designs convergence guideline for the silver generation through the research of text, icon which are basic elements of smartphone GUI with proper visual attributes. I had inferred UX designs, expert group and evaluation categories from existing papers, related books and designed some displays for the survey. I also offered this guideline with the deep survey of 101 people over 65 years o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