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첨단곡률반경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컨테이너 내부 화재진압을 위한 물분무창 설계에 관한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Design of Water Mist Lance for Fire Suppression in Container)

  • 한상구;최재혁;이원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941-947
    • /
    • 2017
  • 컨테이너를 이용한 위험물의 해상운송이 증가함에 따라 적재불량으로 인한 위험물의 누설 등으로 선박에서 화재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IMO(MSC.93)에서는 2016년 1월 1일 이후 건조되는 개방갑판상에 컨테이너를 5단 이상 적재하도록 된 모든 선박은 물분무창(Water Mist Lance, WML)이라는 소화장치를 선박에 의무적으로 비치하도록 규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LS-DYNA를 이용하여 최적의 첨단곡률반경을 가지는 WML을 설계하기 위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첨단부분의 길이가 10 mm, 15 mm, 20 mm인 3가지 모델에 대한 해석결과 길이가 15 mm인 경우만 컨테이너 벽면을 관통하고, WML의 첨단부분에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테스트용 WML를 제작하여 성능실험을 할 계획이며, 문제점은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이다.

압입자 첨단마모에 따른 나노압입곡선의 변화 및 이의 보정기법 (Variation of Nanoindentation Curve due to Wear of Indenter Apex and Its Correction Method)

  • 이윤희;김용일;박종서;김광호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9-137
    • /
    • 2013
  • 나노압입시험기의 힘교정과 압입자에 대한 3차원 형상 관찰 및 분석이 본 연구에서 진행되었다. 표준분동으로 교정한 마이크로밸런스로 나노압입시험기에서 발생시킨 하중을 측정하여 측정치와 발생치의 비로 압입하중을 교정하였고, 나노압입시험의 시작점인 초기 접촉 하중도 확인할 수 있었다. 삼각뿔 압입자를 원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분석한 결과 비교적 사용이력이 없는 압입자 A와 마모된 압입자 B의 첨단곡률반경은 각각 $19.71{\pm}3.03$ nm와 $1043.94{\pm}50.91$ nm로 결정되었다. 완벽한 삼각뿔 압입자 형상과 중첩하여 압입자 A와 B의 첨단무딘깊이(bluntness depth)를 1.22 nm와 64.56 nm로 결정하였고, 용해실리카 기준시편에 수행한 나노압입시험 결과를 살펴본 결과 두 압입자의 압입하중-변위곡선들이 무딘깊이 차이만큼 수평축으로 서로 어긋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평 이동을 통해 보정된 압입곡선의 분석을 통해 개별 압입자 면적함수에 대한 고려없이 1.11 % 이내에서 동일한 용해실리카의 나노경도를 결정할 수 있었다.

그물감의 강도에 관한 연구 (1) 그물실의 강도가 매듭에서 감소하는 기구 (Studies on Strength of Netting (1) The Decrease in Strength of Netting Twines by Knotting)

  • 김대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7
    • /
    • 1976
  • 그물실의 강도가 매듭에서 감소하는 기구를 명백히 하기위해, 매듭에서의 그물실의 파단현상울 관찰하고 강도 감소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을 조사하여 매듭의 강도를 나타내는 식을 유도하고, mono-filament, multi-filament, 및 spun 그물실로 구분된 11종류의 그물실에 대해 매듭의 강도를 측정하여 상기 식에 의한 계산치와 비교했다. 실험의 결과, 매듭이 파만을 일으키는 부분은 매듭의 첨단, 즉 매듭과 다리와의 경계이었으며, 강도감소의 원인은 이 첨단에 마찰력이 작용함으로 인해, 첨단에 위치한 섬유들이 자신에 걸리는 장력에 의해서 재분포하는데 마찰력만큼 저항을 받게 되기 때문이라고 간주되었다. 매듭의 강도 T는 $$T=\frac{T_0}{1+{\mu}\frac{s}{\rho}\varrho^{\mu\theta}$$ 로 표시되었고, 이 식에 의한 계산치는 실험치와 거의 일치했다. 단, $T_0$는 그물실의 항장력, $\mu$는 그물실간의 마찰계수, S는 매듭의 첨단과 그 첨단을 압축하는 그물실과의 접촉길이, $\rho$는 그 첨단을 압축하는 그물실의 곡률반경, $\theta$는 그 첨단을 압축하는 그물실이 반대편 첨단에서 다른 그물실과 마찰되는 각도이다.

  • PDF

전기적 특성 변화를 통한 고분자 유연메타 전자소자의 곡률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the Curvature Reliability of Polymer Flexible Meta Electronic Devices based on Variations of the Electrical Properties)

  • 곽지윤;정지영;주정아;권예필;김시훈;최두선;제태진;한준세;전은채
    • 공업화학
    • /
    • 제32권3호
    • /
    • pp.268-276
    • /
    • 2021
  • 최근 무선통신 기기가 보편화됨에 따라 이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자기파 제어 물질로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은 자성 물질이지만 제품에 적용 시 제품이 무겁고 두꺼워지는 특징 때문에 일반 전자기기에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볍고 두께가 얇은 고분자 유연메타 전자소자가 제시되었다. 또한 고분자 유연메타 전자소자는 단일 제품을 다양한 곡률에 적용할 수 있어 곡면 형상이 많은 전자기기에 사용하기에도 적합하다. 그러나 이러한 고분자 유연메타 전자소자를 곡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곡률변화에 따른 전자기파 제어 특성의 안정성 평가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선 면적이 일정할 때 도선 길이에 따른 저항 변화율이 전자기파 제어 특성과 역의 관계라는 점을 활용하여 고분자 유연메타 전자소자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통해 전자기파 제어 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고분자 유연메타 전자소자의 곡률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곡률 반경이 감소할수록 도선 길이에 따른 저항 변화율이 증가하였고, 곡률 유지 시간에 의한 변화는 없었다. 또한 곡면 적용 시 도선에 영구적인 변화와 곡면 제거 시 회복 가능한 변화가 복합적으로 발생하였고, 이러한 변화의 원인이 곡면 적용 시 가해진 인장응력에 의해 생성된 도선 내 수직방향 크랙이라는 사실도 밝혀냈다.

응력확대계수 측정용 고정 슬랩상사 장치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Fixed Slab Analogy Device for the Measurement of Stress Intensity Factor)

  • 정진석;최선호;황재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11호
    • /
    • pp.1999-2010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1)의 방법의 문제점.즉, 두꺼운 판에 강체 균열을 열매립하는 과정에서 균열 첨단에 열변형이 일어나, 변위측정시 측정 오차가 발생하는 점을 해결 하기 위해, 매유 얇은 P.V.C.판(t=0.15mm)에 강체 균열을 열매립 하는 대신 접착제로 부착하는 방법을 채택하여 강체균열 경계상의 곡률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2)의 방법 의 해결책으로서, 강체균열에서 충분히 먼곳의 곡률은 얇은 합금공구강판(alloy tool steel plate`t=1mm)으로 제작한 프레임(Frame)으로 원방곡률을 미리 슬랩 경계조건과 일치하도록 하였고, 또한 변위도 고정(동결)할수있는 새로운 고정 하중장치를 개발하 여 실험 측정치의 정도를 높였다.

이중 정합법을 이용한 볼록비구면 반사경의 형상 오차 측정 (Surface-error Measurement for a Convex Aspheric Mirror Using a Double-stitching Method)

  • 김고은;이윤우;양호순
    • 한국광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314-322
    • /
    • 2021
  • 일반적인 반사식 망원경은 오목 형태의 주경과 볼록 형태의 부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경은 크기가 크지만 빛을 모아주는 특성으로 반사경의 파면오차 측정이 비교적 용이하다. 반면에 부경은 빛을 퍼트리기 때문에 주경보다 크기는 작지만 측정의 난이도는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코시(Korsch) 형태의 망원경에서는 부경의 가운데 영역도 사용하는데 기존의 힌들(Hindle) 측정법으로는 가운데 부분을 측정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크기가 큰 볼록비구면을 측정하기 위해 힌들 정합법(힌들 측정법과 정합법의 결합)을 적용하여 측정하고 이 측정에서 빠지는 가운데 영역은 일반간섭계의 구면파를 이용해 측정하여 두 결과를 합쳐 전체 형상 오차를 획득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한 방법으로 직경 202 mm, 곡률 반경 499 mm, 비구면상수 -4.613의 볼록 비구면의 형상 오차를 측정한 결과 19.5±1.3 nm rms로 측정되었다. 이 결과는 상용 정합 측정 장비로 측정한 결과와 0.7 nm rms의 근소한 차이를 보였고 반사경의 형상 오차가 45도 방향 비점수차를 가지는 것것도 일치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이 볼록 비구면의 전체 영역을 정밀하게 측정하는데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