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첨가량

검색결과 7,016건 처리시간 0.029초

홍삼분말 첨가량에 따른 스펀지케이크의 품질특성 (Research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Red Ginseng Powder)

  • 서은옥;고승혜;정현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0-140
    • /
    • 2015
  • 홍삼분말을 0%, 2%, 4%, 6% 첨가량에 의한 스펀지케이크를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홍삼 스펀지케이크 반죽의 비중은 대조군이 0.3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높이는 대조군이 높게 나타났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비용적은 대조군이 높게 나타났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수분은 대조군이 높게 나타났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SEM) 측정 결과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글루텐 함량이 감소하여 두꺼운 세포벽과 거친 기공을 보여 반죽의 가스 보유력을 감소시켰다. L값은 대조군이 높게 나타났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a값은 대조군이 낮게 나타났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b값은 대조군이 높게 나타났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경도는 대조군이 낮게 나타났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부착성은 대조군이 높게 나타났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탄력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응집성은 대조군이 높게 나타났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씹힙성은 대조군이 낮게 나타났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색은 2%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고, 향은 대조군이 높게 나타났으며, 맛은 2%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고, 질감은 2%, 4%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2%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흑미를 첨가한 인절미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 조진아;조후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10.3-211
    • /
    • 2003
  • 흑미가루를 0%, 10%, 15%, 20%, 25%로 첨가량을 다르게 하여 제조한 흑미를 첨가한 인절미의 관능적 특성, 수분 함량, 색도, 기계적인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관능검사에서 전체적인 조화도는 흑미가루 15%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흑미가루 10% 첨가군이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유색인절미로서 흑미가루의 첨가량이 15%가 이하일 때 가장 적당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단단한 정도, 조직의 거친 정도, 씹힘성, 향미는 흑미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수분함량은 각 시료간의 큰 차이는 없었으나 흑미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 보유량이 증가하는 것은 흑미의 식이섬유소 때문으로 추정한다. 색도는 흑미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낮아지고, 적색도와 청색도가 증가함을 알았다. 기계적 검사에서는 경도, 씹힘성, 껌성은 흑미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 값이 높아졌고, 응집성과 탄력성은 모든 시료가 거의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부착성은 흑미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 값이 높아졌다. 즉, 흑미가루 비첨가군에 비해 흑미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더 단단해지고, 탄력성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관능적 특성에서 단단한 정도, 조지의 거친정도, 씹힘성은 기계적인 특성에서 경도, 응집성, 씹힘성과 비교해 볼 수 있는데, 두 가지의 검사의 결과 모두 흑미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 값이 커져 그 결과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생강을 첨가한 사과잼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Apple Jam Added with Ginger)

  • 이승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9-88
    • /
    • 2014
  • 이 연구는 생강을 사과잼에 첨가함으로서 생강의 최적 첨가량을 결정하고 생강 첨가 사과잼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생강의 첨가량을 달리하여(0, 2, 4, 6, 8%) 사과잼을 제조한 후 품질특성으로 기계적 특성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생강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사과잼의 수분 함량과 당도는 생강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pH는 생강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색도에서 L값과 b값은 생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각 첨가군 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고(p<0.05), a값은 생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4% 첨가군까지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텍스처 특성에서 경도(hardness)는 생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고, 부착성(adhesiveness)은 생강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다. 응집성(cohesiveness)은 생강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으며, 생강의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탄력성(springiness)과 씹힘성(chewiness)은 생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호도 검사에서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는 생강 4% 첨가군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부터 생강을 첨가하여 사과잼을 제조시 생강을 4% 정도의 수준에서 첨가한다면 사과잼의 기호도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취를 첨가한 찹쌀떡의 관능적 및 이화학적 특성 (Sensory and Physicochemical Attributes of Glutinous Rice Dduk added Cham-Chwi)

  • 박윤정;이승민;이종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0-186
    • /
    • 2001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여러 가지 산채류 중에서 식이섬유와 flavonoid 함량이 높은 참취를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건조 분말 형태로 찹쌀떡에 이용하였다. 참취와 소금의 첨가수준에 따른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고 노인에게 적합한 건강식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참취와 소금의 첨가량에 따른 찹쌀떡의 관능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관능적 특성 중 쓴맛과 참취향은 참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소금첨가량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짠맛은 소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참취 첨가량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경도는 참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촉촉한 정도는 참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덜 촉촉하였으며 쫄깃한 정도는 참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는데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수분함량은 참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소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색도 측정 결과 백색도는 참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소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녹색의 정도(a)는 참취 첨가량과 소금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되었다. 황색도(b)는 참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소금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했다. flavonoid 함량은 참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소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참취 찹쌀떡을 제조하기 위한 요인들의 최적수준은 참취향이 최대이면서 쓴맛은 최소인 수준에서 경도가 가장 낮은 처리 조합으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최적 수준은 3.1%, 소금 0.6% 첨가로 결정되었다.

  • PDF

표고버섯가루와 지방대체제를 첨가한 저지방 소시지의 품질특성

  • 방주화;전순실;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제34차 추계 국제 학술대회
    • /
    • pp.204-208
    • /
    • 2004
  • 표고버섯가루 첨가량과 지방대체제의 첨가 유무에 따른 저지방 소시지의 이화학적 및 조직학적인 성상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기존의 유화형 소시지와 유사한 성상을 갖는 저지방 처리구를 선별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지방대체제를 첨가한 경우 수분함량이 높았으나 적색도는 낮았다. 표고버섯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는 낮았으나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경도의 경우 지방대체제 첨가와 표고버섯 첨가량에 따라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각각의 표고버섯 첨가량에서 지방대체제의 첨가는 저지방 소시지의 경도를 낮추었다. 한편 지방대체제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경도는 표고버섯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지방대체제를 첨가한 경우 표고버섯 첨가량이 1% 이하에서는 감소하였으나 그 이상 첨가시 변화가 없었다. 관능검사결과 지방대체제와 표고버섯가루 1% 이상 첨가 시 비 선호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지방대체제를 첨가하지 않을 경우 표고버섯 1% 첨가는 기존의 유화형 소시지와 유사한 경도를 보였으나, 지방대체제를 첨가한 경우 표고버섯가루 1% 이상 첨가는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프락토 올리고당을 첨가한 토마토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mato Jam Added with Fructo-oligosaccharide)

  • 나연미;이영주;전순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27-23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설탕의 역기능을 줄이고 프락토올리고당의 순기능을 이용한 건강 지향형 잼을 개발하고자 프락토올리고당을 첨가한 토마토잼을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프락토올리고당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당도와 pH는 프락토올리고당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산도는 프락토올리고당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색도의 명도($L^*$)는 프락토올리고당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적색도($a^*$)는 프락토올리고당 첨가량 증가에 따라 $a^*$가 유의적으로 상승하였으며, 황색도($b^*$)는 프락토올리고당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b^*$가 증가하였다. 퍼짐성은 프락토올리고당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퍼짐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감에서 견고성은 프락토올리고당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첨가군 간의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며, 부착성과 복원성은 프락토올리고당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소비자 기호도 평가에서 특성강도는 토마토향과 신맛은 프락토올리고당 첨가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맛은 프락토올리고당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끈적이는 정도는 대조군과 첨가군들 간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부적합한 향미는 프락토올리고당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색은 프락토올리고당 첨가량이 증가해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미는 프락토올리고당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투명한 정도는 프락토올리고당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잼의 투명한 정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는 프락토올리고당 25%~35% 첨가한 잼이 전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막걸리 첨가량을 달리한 증편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with different amount of Makgeolli)

  • 김진성;최진희;최해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96-20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증편의 발효효모의 급원인 막걸리의 첨가량을 달리하여(50, 100, 150, 200 mL) 증편의 품질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고 증편제조 표준화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막걸리 첨가량을 달리한 증편의 수분함량은 막걸리의 첨가량에 따른 수분함량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죽과 증편의 pH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다가 증숙 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막걸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증편의 L값은 막걸리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a값은 막걸리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b값은 막걸리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증편의 비체적은 막걸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다가 M-150에서 최대치를 나타내었으며, 증편의 팽창률은 M-200이 가장 낮게 측정되었고 M-200을 제외한 다른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기공수는 막걸리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기공의 크기는 막걸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증편의 경도는 막걸리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부착성(Adhesiveness)은 M-50의 부착성이 가장 크게 측정되었다. 증편의 탄력성(Springness)과 응집성(Cohesiveness)은 막걸리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씹힘성은 막걸리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검성은 막걸리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증편의 관능평가 결과 M-150이 검사를 실시한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M-150군의 배합 비율로 증편을 제조하면 증편 내부의 기공형성이 가장 잘 이루어지고 특유의 식감과 향미를 부여하며, 이는 품질 특성 및 기호도에도 가장 바람직한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는 향후 쌀 소비 촉진을 위한 다양한 증편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수리취 첨가량을 달리한 수리취 절편의 특성 (Effect of the Addition of Surichwi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richwijulpyurn)

  • 김명희;박미원;박용곤;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4-98
    • /
    • 1994
  • 수리취 첨가량(0~40%)을 달리하여 제조한 절편의 색도 중 L값은 수리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한 반면 적색도는 높은 음의 값을 나타내었고 각 첨가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경도와 탄력성은 수리취 첨가량이 많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각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내었고 탄력성 또한 경도와 같은 경향을 보였으나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부착성과 응집성은 수리취의 첨가량에 따른 일정한 증감의 경향은 나타내지 않았으며 점착성과 씹힘성은 무첨가군이 가장 높고40% 첨가군이 가장 낮아 수리취의 첨가량이 낮을수록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절편의 색, 향기 및 쫄깃한 정도는 수리취 20%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어 선호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달라붙는 정도는 수리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손에 더 잘 달라붙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리취 절편을 2$0^{\circ}C$에 저장하면서 시간별 절편의 텍스쳐 변화를 조사한 결과 수리취를 20, 30% 첨가하여 제조한 절편은 무첨가 및 10% 첨가군에 비해 저장 전기간 동안의 경도 증가의 변화폭이 적어 저장 72시간 이후에도 초기에 비해 2.4~3.0배의 경도 증가를 나타내었다. 점착성 및 씹힘성은 경도와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여 씹힘성은 저장시간에 따른 높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으며 점착성은 0, 10, 20 및 30% 첨가군에 서는 높은 유의차를 보이나 40% 첨가군에서는 유의차가 뚜렷하지 않았고, 수리취 첨가량에 대해서는 점착성, 씹힘성 모두 각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다. 응집성은 저장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부착성은 저장시간 및 수리취 첨가량에 따른 유의차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볼 때 1% 중조용액에서 삶은 수리취와 8시간 수침한 쌀을 이용차여 수리취의 첨가량이 각기 다른 절편을 제조할 경우 경도와 탄력성은 수리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20% 첨가 절편이 색, 향 및 종합적 기호도에 있어서 가장 선호도가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이들 절편을 2$0^{\circ}C$에 저장할 경우 수리취가 첨가된 절편은 무첨가군에 비해 저장 중 절편이 굳어지는 것이 훨씬 지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모시잎 첨가량에 따른 절편의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Quality in Jeolpyun with Different Amounts of Ramie)

  • 장명숙;윤숙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5호통권95호
    • /
    • pp.636-641
    • /
    • 2006
  • 모시잎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절편의 색도 중 L 값은 모시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한 반면 적색도는 높은 음의 값을 나타내어 저장별로는 2일부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한편 모시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황색도가 낮아져 절편의 색이 녹색을 강하게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며 40${\sim}$60%를 첨가한 모시잎 절편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견고성, 점착성과 씸힘성은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응집성은 절편의 저장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탄력성은 모시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탄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착성은 모시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모시잎 첨가 비율이 높을수록 총 미생물수의 증가폭이 작은 것으로 나타나 모시잎이 떡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 품질의 경우 색과 향은 60%첨가 시료와 80%첨가 시료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첨가군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색은 저장에 의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부드러운 정도는 모시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모시잎의 첨가량이 각기 다른 절편을 제조할 경우 경도와 탄력성은 모시잎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총 미생물수의 증가폭도 낮아 모시잎이 첨가된 절편은 무첨가군에 비해 저장성이 연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청동호박과 단호박을 첨가한 크림수프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Cream Soup Added with Chungdong Pumpkin and Sweet Pumpkin)

  • 김정미;노용환;유양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028-1033
    • /
    • 2004
  • 본 연구는 각종 영양적, 식품 기능적 특성이 우수한 청동호박과 단호박을 이용한 크림수프를 제조하기 위해 재료의 첨가량에 따른 품질 특성을 비교하여 최적의 크림수프의 제조 조건을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 그 결과 호박을 이용한 크림수프의 제조 시 주재료인 호박과 화이트 루의 첨가량에 따라 품질 특성에 있어 전반적인 유의성이 평가되어, 호박의 첨가량은 색상과 외관에 대한 선호도에 영향을 주었고, 화이트 루는 점도와 맛에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되었다. 호박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점도, 색상, 외관, 전체 선호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고 첨가량 38%의 경우에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증가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소폭으로 감소하였다. 색상, 맛, 외관, 전체 선호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고 첨가량 1.5%인 경우에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닭 육수의 첨가량이 증가하고 우유의 첨가량이 감소할수록 명도는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감소하였다. 점도, 색상, 맛, 외관, 전체 선호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고 닭 육수 37.5% : 우유 12.5%의 첨가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점도 특성으로 호박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도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닭 육수도 점도 증가의 요인이 되었다. 또한 화이트 루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점도가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온도 증가에 따라 점도도 전반적으로 증가하여 온도차에 따라 큰 변화를 나타내었다. 단호박을 첨가하여 제조한 크림수프의 최적 품질 조건으로 호박 첨가량은 단호박과 청동호박을 1 : 1의 비율로 하여 37.5% 첨가하고, 닭 육수는 호박과 동량을 첨가한 후 닭 육수의 30%에 해당하는 양의 우유를 부가했을 때 색도, 점도와 전반적인 기호성이 높았다. 또한 화이트 루는 1.5% 첨가 시 최적 품질의 크림수프 제조를 위한 배합비율로 산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