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철도 진동

Search Result 1,43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Railroad Noise and Vibration Propagation (철도소음진동의 전파특성에 관한 연구)

  • 김석홍;이성춘;김준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10a
    • /
    • pp.36-41
    • /
    • 1992
  • 철도주변의 쾌적한 생활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철도차량이나 선로에서 발생하는 공기전파음과 지반을 통하여 전파되는 지반진동을 일정수준 이하 로 제어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철도 소음진동 대책에는 기존철도에 대한 기초적인 소음진동 크기 및 특성에 대한 자료가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이제 까지 철도소음진동에 대한 특별한 자료수집이나 대책에 큰 관심을 기울여 오지 않고 단지 철로주변에서는 어쩔수 없이 철도소음진동의 피해를 감수할 수 밖에 없다는 소극적인 태도를 취해왔으며 최근에 들어서야 환경의식 증 가로 철로변 거주자들의 민원에 대한 대책으로서 일부 구간에서 방음벽을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우기 경부고속철도 건설이 이미 시작된 현시점에 서 철도 소음진동 실태나 기준등이 정립되어 있지 못하여 추후 철도주변의 소음진동문제를 어떻게 대책을 수립해 나가야 할지에 대한 기본적인 자료수 집 및 관련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 철도의 소음진동 시간 변동특성, 거리감쇠특성, 주파수특성 및 철도진 동의 진동방향 특성을 측정 분석하여 추후 철도소음진동 관련 대책이나 기 준수립에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Railway Vibration Evaluation System Using Actual Railway Vibration Database (실측 철도 진동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철도진동 평가 시스템 개발)

  • Lee, Hyunjun;Seo, Eun Seong;Hwang, Young Sup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8 no.4
    • /
    • pp.153-162
    • /
    • 2019
  • Recent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for quantitatively evaluating railway vibration to prevent civil complaints about orbital structures caused by railway noise and normal operation of ultra-precise equipment of orbital industrial complexes. The existing analytical method requires a very complicated dynamic response model,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 due to the inaccuracy of the demand model.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railway vibration evaluation algorithm and system that deduce the vibration value generated from railway operation by using Linear Regression and Gradient Descent technique based on actual measurement railway vibration database that classifies factors affecting railway vibration. The prediction results obtained by the proposed algorithm show higher efficiency and accuracy than the existing analytical methods.

The Design of Realtime Management System to support the Railway Multi-View Detection based on Vibration and Noise Sensor Data (진동 및 소음 센서 데이터 기반의 다중 철도 주변감지 실시간 관리 및 운용시스템 설계)

  • Oh, Ryumdu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583-584
    • /
    • 2020
  • 철도의 고속화 및 수송력 증대로 인하여 철도 터널 및 주변 환경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 공해는 커다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도시의 고층화로 인해 차단벽을 이용한 방음 기술의 한계와 철도 차량의 고속, 경량화 추세로 인한 소음. 진동, 위험상황으로 인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oT 기술을 결합한 안정성을 보장하는 IT 기반기술의 위험상황 감지, 철도 소음진동 분석,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철도 인근지역 주민 또는 유관기관에 소음진동 수치에 따른 적합한 대응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IoT 기술 제어 분석 및 안정화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고속철도에서의 진동 및 그 대책

  • 신종서;이희현;양신추
    • Journal of KSNVE
    • /
    • v.3 no.2
    • /
    • pp.103-111
    • /
    • 1993
  • 본 글에서는 건설기술자의 입장에서, 고속철도에서 발생하는 진동현상 및 그 대책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불행히도 현재까지 고속철도 진동에 관한 국내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어서, 여기서 제시된 대부분의 자료는 현재 고속 철도가 운행되고 있는 선진외국에서 수행한 연구결과를 인용한 것이다. 그러나 진동 문제는 열차 고속화를 추진함에 있어서 반드시 해결해야 될 주요과제의 한 분임을 감안하여, 공단에서는 열차가 350 km/h까지 주행시 고속철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기 위한 연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진동문제외에 소음, 승차감, 탈선계수, 공기동력학 등 고속철도 및 일반철도의 고속 화와 관련된 제반연구를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기회를 통하여 독자들에 게 고속철도에 관한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다방면에서의 기술협조 및 정보교환을 간곡히 요청하는 바이다.

  • PDF

Diminution of birdge vibration for high-speed trains (고속철도 교량의 진동저감)

  • Choi Eun-Suk;Chin Won-Jong;Lee Jung-Woo;Kwark Jong-Won;Kang Jae-Yoon;Kim Byung-S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9 no.1 s.32
    • /
    • pp.125-130
    • /
    • 2006
  • 고속철도 교량구간에 차량(KTS)이 주행할 경우 교량 바닥판에서는 큰 가속도 응답이 계측된다. 이러한 가속도의 원인으로는 큰 단면의 국부 진동, 일정한 간격의 침목의 충격 그리고 차량 자체의 진동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 BRDM(Bridge Design manual)에서는 이러한 동적 특성치들에 대한 제한치를 규정하고 있는데, 가속도인 경우는 0.35G이하고 규정하고 있다. 실교량 실험에 의해 계측된 가속도 응답은 규정한 제한치인 0.35G 보다는 작지만, 이러한 가속도 응답치들은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 경우 안전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큰 단면에서 과도한 국부 진동을 지배하는 가속도 응답을 줄이기 위해서 진동저감 방법을 연구하였다. 비록 휨이나 비틀림 같은 전체 진동모드에는 효과가 작지만 일반적으로 매우 큰 단면을 가진 고속철도 프리스트레스트 상자형 교량의 국부진동인 날개짓 모드를 감소시키는데 진동저감 장치는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실교량에서 진동저감장치의 실험은 추후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Estimation of Stiffness Limit for Railway Bridge Vibration Serviceability (진동사용성을 고려한 철도교량구조물의 강성한계 분석)

  • Jeon, Bub-Gyu;Kim, Nam-Sik;Kim, Sung-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1 no.5
    • /
    • pp.489-498
    • /
    • 2008
  • In general, deflection limit criteria of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have been considered based on static serviceability and structural stability. Dynamic serviceability induced from bridge vibration actually has not been included in the criteria. Thus, it is necessary for deflection limit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check dynamic service- ability on bridge vibration. In this study, The allowable displacement of Korea Railway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is compared to the frequency domain comfort limit and analyzed france code and japanese code. Korea Railway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is regulated based on the train speed. Such is because the vibration time duration is partly considered. but this criteria is not satisfied with comfort limit. and, it is estimated to be capable to provide deflection limit considering dynamic serviceability. In order to evaluate the dynamic serviceability of various types of railway bridges in current public were selected and their dynamic signals were measured. and the result of the bridge-train interac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bridge stiffness was compared to the comfort limit to suggest the stiff-ness limit to the dynamic serviceability, which should conveniently be applied at the field.

A Study on Rail Vibration and Its Reduction Plan in Central Daejeon Area (대전 도심지역의 철도진동의 영향과 대책)

  • Ryu, Myoung-Ik;Suh, Man-Cheol;Lee, Won-Kook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3 no.4
    • /
    • pp.269-280
    • /
    • 2000
  • Rail vibration in city zone is becoming a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 In order to make a reduction plan for rail vibra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which many experiments to measure actual rail vibration along the railroad through the central Deajeon area. A digital vibration level meter was used to measure rail vibration. Vibration levels of Z-axis were measured at every second for the duration of the train passing. The measuring station was placed at every 5m for the distance of 55m. A total of 353 different sets of vibration level were obtained. The signals were processed to get $L_{10}$ value and analyzed in terms of distance, train velocity, and number of trains.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rail vibration exceed the allowable vibraton limit of 60 dB, at the point of 25 m far from the railroad center, which is regulated by the las of vibration and noise. Train velocity was found to affect a little for vibration level within the zone. It was also found that a trench installed along a railroad could reduce vibration level up to approximately 10 percent. A model tes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location and size of trench, on the transfer of vibration. A heavy steel ball was used to generate vibrations. On the basis obtained from this study,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application of distance-attenuation and the installment of a trench along railroad could be applied as a reduction plan for rail vibration. Because limitions might exist to depend on the effect of distance attenuation, trenchs excavated along a railroad might be suggested as the most efficient solution to reduce railroad vibration.

  • PDF

Deflection Limit on Vibration Serviceability of High-speed Railway Bridges Considering the Effect of Train Speed (열차주행속도를 고려한 고속철도교량의 수직변위에 대한 진동사용성 한계(기준) 연구)

  • Jeon, Bub-Gyu;Kim, Nam-Sik;Kim, Sung-Il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473-47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열차와 교량의 상호작용과 주행속도에 의해 결정되어지는 진동지속시간과 차체연직가속도 증폭효과를 고려하여 철도교량의 진동사용성 허용처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열차가 교량을 통과할 때의 처짐 형상을 사인파로 가정하고 열차와 교량의 상호작용을 진동전달함수로 표현하여 철도교량의 진동 사용성 허용처짐을 유도하였다. 그리고 진동지속시간을 고려하기 위해 연직가속도 허용기준으로서 진동지속시간을 고려한 교량구조물의 진동사용성기준을 사용하였다. 매개변수연구를 통하여 열차 주행속도의 증가에 비례하여 차체연직가속도는 증가하지만 교량최대변위의 변화는 미미함이 확인됨으로 인하여 차체연직가속도 증가와 동반하여 연직가속도 허용기준역시 증가하는 것을 보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전개된 철도교량의 진동사용성 허용처짐식에 매개변수연구를 통하여 가정한 가속도 증폭계수를 적용하여 열차의 증속에 의한 가속도증폭효과를 고려하였다.

  • PDF

진동.소음이 구조물 및 근무환경에 미치는 영향

  • 이정수
    • Journal of the KSME
    • /
    • v.27 no.2
    • /
    • pp.109-112
    • /
    • 1987
  • 산업이 고도화 되면서 기계장비의 중량화와 고속화가 가속되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과다한 진동과 소음을 유발시키고 있다. 특히 교통량이 많은 도로변의 건물 및 주택가에 소음공해가 심하며, 고속도로 및 철도연변의 건물 및 주택가는 비록 차음벽을 설치하여 많은 소음을 차단해 주지만 미흡한 상태다. 또한 철도 진동이 주위 건물 기초로 전파하여 건물의 진동을 유발하여 건물벽체가 갈라짐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교통 소음이 심한 장소에서는 차음율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여 공기음을 차단하며, 건물의 유리창은 가능한 한 2겹유리(pair glass)를 사용한다. 또한 철도 연변의 건물기초는 베어링 페드를 사용하여 지반으로 전파되는 진동을 차단하여 줌으로써 안락한 주거환경 및 근무환경을 조성하리라 생각한다.

  • PDF

Vibration Reduction for a Railway Depot Building (I): Vibration/Noise Evaluation (철도인공대지에 건설된 아파트의 방진대책(I): 진동소음 평가)

  • Kim, Jeung T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6 no.5
    • /
    • pp.353-357
    • /
    • 2013
  • Property development along railway lines is a critical issue at present. Because various railway lines exist in most large cities, there are numerous properties and open spaces to be developed for communities associated with these lines. The active development of railway properties can be a means to resolve housing shortage problems in cities. In this first part of this paper, noise and vibration levels of an artificial area of land and apartment complex are measured and evaluated to derive a design strategy for vibration reduction purpo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