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철도 도상 자갈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7초

선로 내 소규모 유류오염도상자갈 정화를 위한 펜톤산화법의 적용성 연구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Fenton Oxidation Method for Remediation of Small-scale Oil-contaminated Ballasts on Railroad Track)

  • 권태순;이재영;김희만;정우성;김종흔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466-47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선로상의 소규모 유류오염 도상자갈을 대상으로 펜톤산화를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의 오염도상자갈을 채취하여 실험실에서 주요인자들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 후 소규모로 오염된 역사 내 선로에서 원위치 펜톤산화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실험실 조건에서는 0.1 mol Fe/L $H_2O_2$의 조건으로 도상자갈 잔류 TPH 농도를 약 1,000 mg/kg-ballast 수준으로 낮출 수 있었다. 그러나 원위치 현장적용에서는 자갈궤도의 배수특성으로 인해 $H_2O_2$의 상당량이 충분히 반응하지 못하고 하부로 배출되어 펜톤반응의 현장적용성 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2차원 개별요소법을 이용한 도상자갈 생성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2-D DEM (Discrete Element Method) algorithm to model ballast and sleeper)

  • 김대상;황선근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174-178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of 2-dimensional discrete element algorithm to generate circle and line elements for the simulation of the ballast and sleeper in railway. An example of randomly distributed circle elements show a good applicability of this algorithm for the modeling of the behaviors of ballast. The output about unbalaned force, particle velocity, and total energy conservation from the code is evaluated to check if the calculation is conducted properly.

2차원 개별요소법을 이용한 도상자갈 생성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2-D DEM (Discrete Element Method) algorithm to create ballast)

  • 김대상;이성혁;이진욱;황선근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1-33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원형요소를 자동적으로 생성시킬 수 있는 2차원 개별요소법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반지름을 갖는 원형요소를 구현할 수 있었고 이를 이용하여 침목하부의 도상자갈을 모델링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중복과 겹침이 없는 원형요소의 자동생성 예제를 개발하였다.

  • PDF

고속철도 터널에서의 궤도 형식에 따른 궤도와 차체의 진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Vibration of Track and Vehicle Body According to Type of Track in Tunnel of High-Speed Railway Lines)

  • 김만철;장승엽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1D호
    • /
    • pp.125-13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터널 내에서 자갈도상궤도와 콘크리트 슬래브궤도 등 궤도 형식에 따른 궤도와 차량의 진동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자갈도상궤도와 콘크리트 슬래브궤도가 부설된 경부고속철도 터널 내에서 궤도와 KTX 차체의 진동가속도를 측정하여 주파수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궤도 형식에 따른 레일, 침목, 자갈도상, 슬래브 등 궤도 구성품과 터널 라이닝 등 궤도의 진동과 차체의 진동 특성을 분석하고,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측정결과에 따르면 터널 내에서는 80Hz 대역의 주파수에서 레일과 차량의 진동이 크게 증가하였고, 특히 콘크리트 슬래브궤도가 부설된 터널에서 진동이 더욱 크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레일 지지 스프링의 동적특성의 변화에 따라 차량을 포함한 전체 시스템의 진동특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따라서 콘크리트 슬래브궤도의 지지강성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시스템 측면에서 차량의 진동과의 상호관계를 고려해야 한다.

도상자갈 비산에 의한 경량 대차프레임 적용 유리/에폭시 적층 복합재의 충격손상 및 충격 후 잔류압축강도 평가 (Evaluation of Impact Damage and Residual Compression Strength after Impact of Glass/Epoxy Laminate Composites for Lightweight Bogie Frame induced by Ballast-Flying Phenomena)

  • 구준성;신광복;김정석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09-115
    • /
    • 2012
  • 허본 논문에서는 도상자갈 비산에 의한 GFRP 복합재 대차프레임의 구조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대차프레임의 스킨부를 구성하는 유리섬유/에폭시 적층 복합재의 충격시험과 충격 후 잔류압축시험을 수행하였다. 충격시험은 충격시험장비를 사용하여 5J, 10J, 그리고 20J의 충격에너지에 대해 수행하였고, 선로상의 도상자갈 비산을 모사하기 위해 구형, 육면체형, 그리고 원뿔형의 충격체를 설계하여 충격시험을 수행하였다. 충격손상을 갖는 적층 복합재의 잔류압축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충격 후 압축시험을 수행하여 충격에 의한 재료의 물성저하 여부를 판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충격에너지가 증가함에 따라 적층 복합재의 충격손상영역과 압축강도저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원뿔형 형상의 도상자갈이 다른 형상에 비해 재료의 손상을 가중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층 분리주입을 이용한 도상자갈 무교환방식 급속경화궤도의 적용성 평가 (Applicability Estimation of Ballast Non-exchange-type Quick-hardening Track Using a Layer Separation Pouring Method)

  • 이일화;정영호;이민수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543-551
    • /
    • 2015
  • 급속경화궤도는 자갈궤도를 콘크리트궤도로 개량하는 공법으로서 야간 차단시간에 공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공속도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공시간의 대부분은 자갈을 철거하고 재포설하는 과정에 소요되는데 도상자갈을 교체하지 않는 무교환방식이 적용 가능하다면, 시공시간 및 공사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상자갈 무교환방식의 급속경화궤도공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침투성이 매우 높은 대체 충전재를 제시하고 재료의 공극조건을 고려하여 층별로 분리주입하는 시공방식을 도입하였다. 분리주입은 공극률이 높은 상부도상층과 공극률이 낮은 하부 혼입층에 최적화된 재료를 분리 주입하여 필요한 소요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도상자갈의 크기, 분포도, 형상에 따른 공극률, 공극의 크기, 유효길이, 비틀림도, 침투성에 따른 충전재의 유동학적 해석을 통하여 최적의 충전재를 설계하고자 하였다. 하부 혼입층에 충전되는 1차 충전재료는 세립화 도상의 충전성과 부착력을 확보할 수 있는 폴리머계 재료를 도입하였으며, 상부 도상층에 충전되는 2차 충전재는 상온 반응성 마그네시아-포스페이트(MPC, Magnesium-Phosphate Ceramic)를 도입하였다. 선정재료 및 구조에 대한 역학시험 결과, 기존 급속경화궤도에 준하는 성능을 확인하였다.

침하가능성 확인을 위한 자갈도상 철도노반의 탄성계수 단층영상화 (Cross-Sectional Imaging of Elastic Modulus for Railway Trackbed under Ballast for Identification of Potential Settlement)

  • 조성호;황선근;라자 하사눌;노리나 라만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256-261
    • /
    • 2011
  • 최근 경부고속철도 자갈도상 구간의 일부에서 침하가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열차의 안전 및 운행속도와 승차감 저하라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고 KTX 열차 운행을 정상화하기 위한 긴급대책이 요구된 적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장의 요구에 대처하기 위해 철도노반 단층영상화 기법을 도입하게 되었다. 철도노반 단층영상화 기법은 철도노반의 지반강성을 단층영상의 형태로 가시화함으로써, 잠재적으로 과도한 침하를 유발할 수 있는 철도노반의 연약부위를 찾는데 있어서 현장기술자의 신속한 판단을 가능하게 하는 기법이다. 제안된 기법의 타당성과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제 자갈도상 철도노반과 신설 철도노반 등 두 현장에 적용하여 보았고, SASW, PBT, DCP, FWD 시험결과와 비교하였다.

DEM을 이용한 자갈도상의 응력분포에 관한 연구 (Stress transfer mechanism of ballast bed using DEM (Discrete Element Method))

  • 김대상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7-11
    • /
    • 2006
  • Ballast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railway track structures. The granular ballast can be modelled using [mite or discrete element methods. The DE method has advantages to enable us to analyze the microstructure of granular materials and to exhibit information which cannot be assessed using FE methods. In this paper, sleeper, the ballast, and ballast mat in the high-speed railroad line are modelled using two-dimensional discrete circle and line elements. The stress transferred from the sleeper via the ballast to the subgrade is analyzed. In addition, the shape and angle of stress distribution of ballast bed is evaluated with different boundary conditions for the high-speed railroad line.

경부고속선 자갈궤도의 진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the Vibration of the Ballast Track in Kyeong-Bu High Speed Line)

  • 김만철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463-47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궤도 각 부의 가속도 특성과 가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경부고속철도 자갈궤도에 대해서 레일, 침묵, 자갈도상의 진동가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가속도에 대해서 실효치(RMS)를 분석하였으며 궤도의 진동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요소로 패드강성, 고저틀림, 주행속도 및 요철을 고려하였다. 진동가속도와 매개요소들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서 선형회귀식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상관계수를 도출하였다. 또한 가속도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1/3 옥타브 해석을 실시하였다.

도시철도 궤도구조별 궤도충격계수 평가 (The Evaluation of Track Impact Factor on the Various Track Type in Urban Transit)

  • 최정열;박용걸;이상민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248-255
    • /
    • 2011
  • 현재 한국에서 궤도설계 시 사용하고 있는 궤도충격계수는 미국철도기술협회(AREA)의 식(1+0.513V/100)을 사용하고 있다. 이 식은 자갈 및 콘크리트궤도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단일수치로서의 충격계수는 다양한 궤도구조의 역학적 거동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여 경우에 따라 과다설계가 될 소지가 있다. 또한 자갈궤도의 경우 도상자갈의 상태변화에 따라, 콘크리트궤도는 궤도탄성층의 구성과 탄성범위에 따라 궤도에 작용하는 동적윤하중의 효과, 즉 충격의 효과가 상이하게 발생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갈궤도(도상 상태 양호 및 불량개소)와 콘크리트궤도(일반적인 침목매입식 궤도, 레일플로팅궤도, 침목플로팅궤도)에서의 현장측정을 통해 도상별, 궤도구조별 열차 주행시 발생하는 윤중의 동적효과를 분석하여 궤도의 상태 및 구조적 특성과 궤도 충격의 효과와의 상관관계 및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궤도구조의 특성을 감안하여 궤도충격의 영향을 합리적으로 산정 할 수 있는 제안식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