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철도진동소음

Search Result 44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Comparison of Track Vibration Characteristics for Domestic Railway Tracks in the Aspect of Rolling Noise (철도 전동 소음의 관점에서 해석한 국내 철도의 진동 특성 비교)

  • Ryue, Jungsoo;Jang, Seu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6 no.2
    • /
    • pp.85-92
    • /
    • 2013
  • An important source of noise from railways is rolling noise caused by wheel and rail vibrations induced by acoustic roughness at the wheel-rail contact. The main contributors to rolling noise are the sleepers, rail, and wheels. In order to analyze and predict rolling nois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vibrating behaviors of railway tracks, as well as of the wheels. In the present paper, theoretical modeling methods for railway track are reviewed in terms of rolling noise; these methods are applied for the three representative types of domestic railway tracks operated: the conventional ballasted track, KTX ballasted track and KTX concrete track. The characteristics of waves propagating along rails are investigated and compared among the types of tracks. The tracks are modeled as discretely supported Timoshenko beams and are compared in terms of the averaged squared amplitude of velocity,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he sound radiation from the rails.

A Study on Survey of Rail Road Noise and its Evaluation (철도 소음의 실태 및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이성춘;김준호;김형기;김두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10a
    • /
    • pp.86-91
    • /
    • 1994
  • 본고에서는 상기 평가량 고안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철도 소음의 실태와 특성을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하고 아울러 외국의 사례 및 기타 참고 평가량을 소개하여 합리적인 철도소음 평가량을 도출하는데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고속철도의 소음발생과 그 대책

  • 박진모;최강윤
    • Journal of KSNVE
    • /
    • v.3 no.2
    • /
    • pp.95-102
    • /
    • 1993
  • 고속철도를 포함한 철도운행에 있어서 소음문제는 중요한 환경문제의 하나 이다. 지금까지 철도소음에 관한 국내에서의 연구는 철도소음 기준과 관련된 일부 연구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앞으로 고속철도의 성공적인 운행을 위하 여는 선로변에서의 소음저감 대책으로 지형과 궤도조건에 따른 소음피해 예측과 소음원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방음설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경부고속 철도 노선에 터널이 많으므로 터널 미기압파의 발생과 그대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더불어 국산화 차량 개발을 위하여 차체와 판토그래프에서의 공력소음감소를 위한 공력해석, 전동소음과 구조물 소음 감소를 위한 차륜과 쾌도의 개선, 추진장치와 보조장치의 소음제어설계 등 각각의 소음발생원에 대한 이해와 소음저감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

Prediction of train noise propagation from a embanked rail road (성토 선로구조에서 철도소음의 전파예측)

  • ;;Tachibana, 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7.10a
    • /
    • pp.302-307
    • /
    • 1997
  • 철도는 평탄부, 고가부 및 성토부.절토부 등의 다양한 지형구조에 걸쳐서 뻗어 있으며, 지금까지는 평탄부와 고가부를 대상으로 하여 철도소음의 전파예측에 대한 검토를 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 임피던스의 흡음성 Wedge 구조를 갖는 성토부 선로의 주행열차를 대상으로 소음전파 예측모델의 작성 및 소음전파 측정을 통하여 성토 선로구조에서의 철도소음 전파예측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PDF

Prediction of train noise propagation(II) Study for elevatred railway (철도소음의 전파예측에 관하여 II (고가철도를 대상으로))

  • ;橘 秀樹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10a
    • /
    • pp.408-413
    • /
    • 1996
  • 도시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철도에 대한 수송능력의 증대, 고속화등의 사회적 요구에 의하여 철도선로의 고가화가 충분히 예상된다. 그러나 소음문제를 생각할 경우, 고가선로에 있어서는 다른 선로와 달리 열차주행에 의한 전동음(rolling noise)과 더불어 주행열차에 의하여 가진된 고가구조체의 진동소음(이하 고가 구조물음)을 함께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가철도에서의 소음전파를 예측하기 위하여, 고가구조체로부터의 소음방사를 고려하는 실험적 검토를 하였다. 또한 실험결과를 근거로 하여 고가 구조 물음에 대한 음원모델을 설정하고, 전동음을 포함하는 소음전파 예측의 계산모델을 작성하여, 계산결과와 실측결과와의 대응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PDF

Nois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for Highspeed Train in Outdoors (고속철도소음의 전파특성)

  • 김정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04a
    • /
    • pp.73-79
    • /
    • 1996
  • 우리나라와 같이 철도의 운행위치와 소음 피해를 받는 수음자 간의 거리가 인접되어 있는 경우, 소음의 전파특성은 과도형상을 나타내는 구간에 속하게 되어 전파중에 나타나는 지표면의 다양한 물리적, 현상과 경계면 등의 이피던스 값등이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소음의 소음원 자체에 대한 모델링 기법과, 자유공간을 전파할 때 나타나는 거리감쇠 효과 등을 고려한 음향학적인 연속선음원 및 유한 불연속 선음원 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고, 특히, 소음원의 크기에 비교하여 수음자의 위치에 따라 저감되는 음향전파특성을 설명하였다. 또한, 유한한 길이를 가지고 있는 철도차량의 소음원 모델을 이용하여 향후 국내에서 운행되리라 예상되는 고속철도의 음향파워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음향파워로부터 철도변의 소음분포를 도출하였으며 고속철도의 경우 운행시 소음피해가 어느 정도인지를 예상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ailway noise and vibration data acquisition system considering noise source (소음 발생원을 고려한 철도 소음진동 데이터 수집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Lee, Hyun-Jun;Son, Sung-Wan;Lee, Kyo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33-36
    • /
    • 2014
  • 철도로 인한 소음 문제는 최근 국민의 정온한 환경에 대한 권리의식 증대와 삶의 질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철도 소음에 대한 민원이 급증하여 지역 갈등을 초래하고 막대한 사회적 비용 부담으로 철도 산업을 저해하는 요소이다. 이에 따라, 철로 부근의 진동 및 소음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나, 레일의 조도상태 및 방진재 사양 등 철도진동소음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충분히 포함하지 못하고 있으며, 측정 및 분석 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 축적 구조를 갖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연구기관의 인위적인 데이터 양식의 사용으로 실용적이고 개방적인 구조를 갖추지 못해 실제 엔지니어링 현장에서 활용하기 어렵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실제 엔지니어들이 현장에서 취득하는 정보를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형태로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일체의 시스템 구축에 대해 논한다.

철도차량 소음사양의 변화와 저소음화의 역할분담

  • 김종년
    • Journal of KSNVE
    • /
    • v.14 no.2
    • /
    • pp.21-25
    • /
    • 2004
  • 신속하고 정확한 대중교통수단의 하나로써 도심의 교통난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철도차량은 여러 가지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차량 주행 시 발생한 소음ㆍ진동이 철로 변 주민들에게는 하나의 환경문제를 야기시키며, 터널 주행 시에는 차량에 탑승한 승객들의 안락성을 해칠 수 있는 요소로써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중략)

Design of railway noise and vibration Database considering noise source of railway noise complaints focused area (철도 소음 민원 집중 지역의 소음 발생원을 고려한 철도 소음진동 데이터베이스 설계)

  • Lee, Hong-gi;Lee, Hyun-jun;Son, Su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0a
    • /
    • pp.812-816
    • /
    • 2014
  • Recently,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on railway noise and vibration.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that can assess the vibration and structural noise caused due to the railway operation is increasing. Additionally, the need to construct a railway noise and vibration database which is a basic data for a reliable railway noise and vibration assessment as well is increasing.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 currently constructed database fails to includ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occurrence of noise and vibration sufficiently. Therefore, In this paper, design a railway noise and vibration database that includes those factors sufficiently and which enables the continuous data management and accumul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