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철도안전프로젝트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1초

철도종합안전프로젝트를 위한 시스템엔지니어링 적용 체계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System of the Systems Engineering for the Railway Total Safety Project)

  • 최요철;조연옥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487-492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the Case of Systems Engineering Application for the Railway Total-Safety Project. Key points to consider for project are: 1) Establish the SE Based-Project organization system, 2) Define the SE Activities, 3) Manage technically the SE Based-Project, etc. They were of much help that the Railway Total-Safety Project which were efficiently implemented and managed. As I take it, the Systems Engineering is very reasonable approach for the systematical and technical conduct of a project.

국가연구개발프로젝트의 성과물 검증 프로세스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 the Product Verification Process for the National R&D Project)

  • 최요철;이재천;조연옥;김상암;윤혁진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382-387
    • /
    • 2009
  • 일반적으로 고객의 요구사항을 시스템이나 서비스로 구현하는 과정에서 구현된 시스템이나 서비스들이 요구사항을 만족하여 개발 되었는지를 검증하게 된다. 그러나 철도분야의 안전체계나 안전기준을 개발하는 국가연구개발프로젝트의 경우 일반적인 검증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이러한 성과물을 검증하는데 많은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연구개발프로젝트를 통해서 산출되는 안전체계, 안전기준, 프로세스 등의 성과물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검증 프로세스를 제시하였으며, 성과물 검증 프로세스의 결과물을 전산 관리할 수 있는 방안 또한 제시하였다.

철도분야에 적합한 SIL 4 자동화 솔루션, 필츠 PSS 4000-R

  • 고설린
    • 철도저널
    • /
    • 제18권5호
    • /
    • pp.29-32
    • /
    • 2015
  • PSS 4000과 같이 표준화된, 또한 사용이 쉬운 자동화 시스템은 사용자들의 초기 투자 비용은 물론 운영 비용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PSS 4000-R은 철도 분야 관련 승인이 된 제품이기 때문에 인증 작업량도 상당 부분 줄일 수 있습니다. PSS 4000-R은 같은 제품을 다양한 아키텍처로 구성하여 원하는 안전 무결성 등급(SIL 2, 3, 및 4)을 만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철도 건설 장비는 물론 레벨 크로싱 신호 감시와 같은 신호 제어 부분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각 프로젝트에 적용될 다양한 조건들을 손쉽게 적용 가능함 물론 복잡한 인증 업무도 파격적으로 줄여 줄 수 있는 PSS 4000-R 솔루션은 사용자에게 엄청난 비용절감 효과를 안겨 줄 것입니다.

IEC 62279 요구사항 충족을 위한 열차제어시스템의 소프트웨어 품질보증 활동에 관한 연구 (Software Quality Assurance Activities of Automatic Train Control System to meet Requirements of the IEC 62279 Standard)

  • 심규돈;이종우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412-41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최근 들어 철도신호시스템분야에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측면에서의 신뢰성과 안전성 수준을 국제규격(IEC 62279)에 부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접근방법을 모색하며, 실제 적용사례(국토해양부 및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이 주관하는 국가 대형연구개발 실용화 사업인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실용화사업 시범노선 건설 열차제어시스템 구매/설치")를 통하여 현실적이고 접근가능한 구체적인 활동 사항들을 프로젝트 수행과 연관하여 기술한다. 또한 열차제어시스템의 안전성 인증 획득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시스템 보증활동 및 시스템 보증을 위한 조직체계를 확립하고, 요구사항 관리 및 프로젝트 공정에 따른 절차적 시스템 보증 활동과 안전성평가 활동과의 연관관계, 시스템 전반에 걸친 RAMS 및 소프트웨어 품질보증 활동과 안전성 평가를 통한 인증활동에 대한 부분을 상세 제시하고자 한다. 본 활동을 통하여 지금까지 국제규격에 따른 활동기준에 대해서 모호하거나,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은 사항들이 체계적으로 정리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타 사업 및 국내 철도신호시스템 적용을 위한 소프트웨어 품질 및 안전 무결성 수준 확보에 따른 안전성 확보방안의 구체적인 케이스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스템엔지니어링을 적용한 철도안전프로젝트의 시스템엔지니어링 능력성숙도 평가 (An assessment of the Systems Engineering Capability Maturity of the Railway Safety Project applied the Systems Engineering)

  • 최요철;이재천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4권2호
    • /
    • pp.55-61
    • /
    • 2008
  • In this paper, there is the case study which assesses the systems engineering capability maturity of the safety organization that performs the Railway Safety project using systems engineering method. To In ore effective and efficient a research and development to railway safety domain, a new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 can be progressively needed such as systems engineering. To assess quantitatively research of systems engineering efforts in the railway safety project, SECM(EIA/IS 731) Standard is utilized in the paper. It is by questionnaire that the capability maturity assessment is executed wit h the safety organization and staffs who performs the systems engineering activities; requirement analysis and management, interface control management. product verification and validation, and so on. As a result, the systems engineering capability level of the safety organization rises from 0 level at the initial project to 2 level after two years and all staffs give an affirmative answer about the importance and effectiveness of the systems engineering approach.

  • PDF

철도안전프로젝트에 적용한 시스템엔지니어링 관리계획서 작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stems Engineering Management Plan for the Railway Safety Project)

  • 최요철;조연옥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482-486
    • /
    • 2006
  • The Systems Engineering Management Plan (SEMP) is the primary, top level technical management document for the integration of all engineering activities at the project plan phase. This document defined the activities to plan, control, and perform overall engineering integration. To develop the SEMP for Railway Safety System, several standards are reviewed and analyzed. And then a common requirement for SEMP preparation i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Also, the SEMP example available practically applies to Railway Safety System. In particular, The SEMP focused on controling technical program management has been organized so far, but in this study the detailed contents of SEMP put stress on project management is derived. And it is related to each other between project management and technical engineering management. At the end, to continuously manage the items and contents of the SEMP, a database management and an automatic document generation system is presented using Computer-Aided Systems Engineering (CASE) tool.

차상신호시스템(ERTMS/ETCS Level 1) 적용에 따른 위험분석 및 평가활동 연구 (A Study of RAMS Analysis and Assessment Activities for Automatic Train Protection System based on ERTMS/ETCS Level 1)

  • 심규돈;이종우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21-12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철도신호시스템분야에서 중요한 신뢰성과 안전성 수준을 국제규격에 부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접근방법을 모색하며, 국철 구간의 차상신호시스템 (ERTMS/ETCS Level 1)도입에 따라 현실적이고 접근 가능한 구체적인 활동 사항들을 프로젝트 수행과 연관하여 기술한다. 이에 따라 시스템 전반에 걸친 RAMS 및 안전성 평가를 통한 인증활동에 대한 부분을 제시하며, 국내 철도 신호시스템 적용을 위한 차상신호 시스템(ERTMS/ETCS Level 1)에 있어 차상장치(On-Board)를 중심으로 품질 및 안전 무결성(SIL) 수준 확보에 따른 안전성 확보방안의 구체적인 위험도분석 및 평가 활동을 제시 하고자 한다

철도시스템 개발에서 프로젝트관리 데이터를 반영하는 시스템공학관리계획서 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reating the SEMP with Project Management Data for the Railway System Development)

  • 김웅;윤재한;이재천;조연옥;김상암;윤혁진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393-397
    • /
    • 2007
  • During the complex systems development, a great deal of data are generated from both the systems engineering process and project management process, and also some data are required to be prepared for the system engineering management plan (SEMP). For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project,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manage all the data in order to maintain data consistency and traceability. To fulfill the necessity, this paper introduces the concept of an integrated data architecture and discusses its realization with $Cradle^{(R)}$(a computer aided systems engineering tool). Also, it was described how to automate the production of the SEMP in that working environment. The result of the approach, managing complex data efficiently in the systems engineering view,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in the Railway Safety Development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