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철근 배근

Search Result 30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3D Rebar Placing and Drawing System (3차원 배근 설계 및 배근시공도 작성 시스템)

  • Lee, Byeong-Kwun;Kim, Chee-Kyeo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529-53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철근가격 급등과 배근시공도 작성 인력 부족에 대비하여 SDM# 제품군을 사용하여 이음/정착을 고려한 3차원 철근 배근 자동화 기술(RAP)로 철근 배근 자동생성 및 배근시공도 작성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최근 철근가격 급등으로 인한 공사원가상승/인건비 상승/배근시공도 작성 인력 부족 등의 기존현황의 문제점 등을 SDM# 제품군의 철근 배근 자동화 기술(RAP)을 이용하여 자동 철근배근/배근시공도 작성/정밀 골조물량 산출/인력절감/시공 정밀도 향상/골조 공사비 절감 등의 효과와 기존의 현장가공으로 인한 철근 손실률 8%를 공장가공을 적용함으로써 3% 수준으로 낮출 수 있어 5% 내외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철근현장가공에서 공장가공 전환으로 골조물량 절감을 기대할 수 있고, 이음/정착/응력분포가 고려된 3차원 철근 배근 자동화 기술(RAP)을 이용하여 자동배근 알고리즘에 의한 배근시공도/가공도 작성 효율을 높이고, 기술 자립을 통해 건설시공 분야의 기술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Automation in Reinforcing-bar Configurations for Frame Members based on the Case-study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사례분석 기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프레임부재 자동배근 생성에 관한 연구)

  • Lee, Je-Hyuk;Jang, Ja-Wang;Cho, Young-Sa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383-38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프레임부재 철근을 대상으로 배근 설계 및 철근 형상화 알고리즘을 구축하여 자동배근을 생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철근 콘크리트의 BIM 통합 설계 시스템은 철근 배근정보의 생성과 호환이 원활하지 않아 표준 정보 호환 체계가 구축되지 않은 실정이다. 기존 2차원 기반 프로세스에서는 철근 배근 설계에 있어 표준화된 기준에 따른 배근이 아닌 관행이나 일률적인 배근 지침에 따라 배근 상세를 정하고 있고, 2차원 배근 설계 결과만 제시하고 있어 상호 호환 가능한 철근 배근 정보데이터가 생성되지 않는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서의 철근 배근 정보를 생성하고 BIM 통합 구조 설계시스템에서의 정보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해, 프레임부재 철근을 대상으로 구조 해석 데이터베이스와 통합 설계 플랫폼 간의 호환 시스템을 생성하고, 콘크리트학회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에 따른 배근 설계 및 철근 형상화 알고리즘을 구축하여 자동배근시스템(Integrated Reinforcement for Frame Members, 이하 IRFM)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The Study on Development of Automatic Main Placing Macro of Beams for RC Structures based on BIM (BIM기반 철근콘크리트 보의 주철근 자동배근 매크로 생성 및 구현에 관한 연구)

  • Cho, Young-Sang;Shin, Tae-Song;Hong, Sung-Uk;Lee, Je-Hyuk;Jang, Hyun-Suk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537-54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보의 주철근을 대상으로 건물정보모델링(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통합 설계 시스템 상에서 배근 설계 및 철근 형상화 알고리즘을 구축하여 자동배근 시스템(ARPM, Automatic Reinforcement Placing Module)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조분야에서의 BIM 프로세스는 정보호환체계를 구축하는 과정에 있으며, 철골 구조 프로세스의 경우 표준 호환 포맷을 이용하여 원활한 정보 호환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철근 콘크리트의 BIM 통합 설계 시스템은 철근 배근정보의 생성과 호환이 원활하지 않아 표준 정보 호환 체계가 구축되지 않은 실정이다. 기존 2차원 기반 프로세스에서는 철근 배근 설계에 있어 표준화된 기준에 따른 배근이 아닌 관행이나 일률적인 배근 지침에 따라 배근 상세를 정하고 있고, 2차원 배근 설계 결과만 제시하고 있어 상호 호환 가능한 철근 배근 정보데이터가 생성되지 않는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서의 철근 배근 정보를 생성하고 BIM 통합 구조 설계시스템에서의 정보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의 주철근을 대상으로 구조 해석 데이터베이스와 통합 설계 플랫폼 간의 호환 시스템을 생성하고, 콘크리트학회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에 따른 배근 설계 및 철근 형상화 알고리즘을 구축하여 자동배근시스템(ARPM)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The Study on Development of Automatic Main Reinforcement Placing System of Columns for RC Structures based on Parametric Technology (파라메트릭 기술기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둥부재 주철근 자동배근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Cho, Young-Sang;Hong, Seong-Uk;Kim, Yu-Ri;Lee, Je-Hyuk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484-48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핵심기술인 파라메트릭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둥부재 주철근 자동배근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기존 프로그램에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해야하는 변수의 수를 최소화하고 사용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철근배근 형상 자동 모델링에서 기둥철근의 자동 모델링은 기둥단면이 변하는 부분에서의 철근 배근과 정착 및 이음길이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만약 고려하더라도 이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규모가 큰 건물일 경우 방대한 정보의 처리 미숙으로 인해 정확한 모델링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둥 부재에 대하여 대상 건물을 선정하고 구조해석 모델링을 구축한 후 구조해석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추출하여 얻은 정보와 건축구조설계기준에 따른 정착 및 이음 길이 산정에 관한 알고리즘을 구축하여 철근배근 형상 자동화 모듈에 적용하여 배근 자동 설계 및 자동 형상화 모듈을 생성하였다.

  • PDF

Influence of Concrete Strength and Lateral Ties on Behavior of High-Strength Concrete Columns Subjected to Eccentric Compressive Load (편심 압축력을 받는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거동에 미치는 띠철근 및 콘크리트 강도의 영향)

  • Lee, Young Ho;Chung, Heon S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1 no.3
    • /
    • pp.95-104
    • /
    • 2007
  •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effect of concrete strength and lateral ties of concrete columns subjected to eccentric compressive loads. The twenty-four concrete columns with $200mm{\times}200mm$ square cross-section were tested. The main variables were concrete strength, spacing and configuration of lateral ties, and eccentricity ratios. From the experiment, the followings were investigated ; 1) In all cases, it was observed that the increase of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led to the decrease of ductility. Also, as the eccentricity ratios increased, the effect of ductility enhancement by lateral ties decreased. 2) As the ties spacing decreased from 100mm to 30mm, the magnitude of axial load acting on the concrete column showed an enhancement of 1.1~1.2 times and the descending curve after a peak moment presented a smooth decline. 3) The high-strength concrete columns required a design of lateral ties to increase the volumetric ratios and density of tie spacing to sustain a proper strength and ductility. Accordingly, regardless of concrete strength, the current AIK design code to specify the maximum tie spacing of concrete columns was proven to lead to the poor strength and ductility for seismic desig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seismic design code that connects volumetric ratios and tie spacing of concrete columns with concrete strength.

Measurment of Horizontal rebar Spacing in Concrete Specimens Using Radar (레이더를 이용한 콘크리트 시편 내 수평 배근 간격 탐사)

  • 임홍철;김우석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4 no.2
    • /
    • pp.65-72
    • /
    • 2000
  • 콘크리트 구조물이 지진 등으로 손상을 입었을 때 그 내부 상태를 파악하는 일은 구조물의 안전성 판단에 필요한 중요 과정중 하나이다 손상도 파악에 사용되는 비파괴 검사 방법 중 레이더법은 현재 콘크리트 부재의 두께와 매립된 철근 및 공동 탐사에 적용되고 있다 레이더법은 다른 비파괴 검사 방법에서와 마찬가지로 측정된 신호의 처리와 해석에 따라 그 결과가 좌우된다 . 이논문에서는 상용 레이더 시스템에서 얻어지는 화상 데이트터를 개선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철근이 매립된 콘크리트 시편에 적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기편의 크기는 1,000mm(길이)$\times$600mm (폭) $\times$140mm(두께) 이고 철근의 매립깊이는 표면으로부터 철근 중심까지 60mm 이다 레이더 실측 실험에서 철근의 수평배근 간격을 60 90, 120, 150 mm 로 변화시켜 간격탐사가능성을 시험하였다 결과적으로 상용 시스템에 비해 샹상된 판별효과를 나타냈으며 배근 간격이 90, 120, 150mm 인 시편에서 그 간격을 정확히 찾아내었다.

  • PDF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Having Different Steel Arrangements (철근의 배근 위치가 다른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거동 분석)

  • Lee, Jung-Yoon;Kim, Ji-Hyun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9 no.6
    • /
    • pp.685-692
    • /
    • 2007
  • When the shear force governs the response of an RC element, as in the case of a low-rise shear wall, the effect of shear on the element's response is thought to be responsible for the 'pinching effect' in the hysteretic loops. However, it was recently shown that this undesirable pinching effect can be eliminated in the hysteretic load-deformation curves of a shear-dominant element if the steel grid orientation is properly aligned in the direction of the applied principal stresses. In this paper, the presence and absence of the pinching mechanism in the hysteretic loops of the shear stress-strain curves of RC elements was explained rationally using a compatibility aided truss model. The analyt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pinching effect of the RC elements is strongly related to the direction of the steel arrangement. The area of the energy dissertation does not increase proportionally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rection of the principal compressive stress and the direction of the steel arrangement.

Development of the Rebar Auto Placing System Using 3D Structural Information Model (3차원 골조정보모델을 이용한 철근배근 자동생성 시스템)

  • Lee, Byeong-Kwun;Kim, Chee-Kyeong;Kim, Gye-Joo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72-7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구축되어 있지 않은 3차원 BIM 기반 설계 및 시공 환경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에 대비하여 3차원 BIM 지향적 구조설계 프로그램인 SDP 제품군을 사용하여 BIM 프로그램들을 연동한 3차원 BIM 철근배근 자동생성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현재 국내 건설업계의 치열한 수주경쟁으로 수익률저하/철근 등 자제가 폭등/인건비 상승/배근시공도 작성 인력 부족 및 신뢰성 저하 및 납기 지연 등의 기존 현황의 문제점 등을 SDP 제품군을 이용하여 구조설계/배근시공도 작성/정밀 골조물량 산출을 통합 지원하는 엔지니어링 컨설팅 환경을 구축하여 구조설계 시 V/E 동시 수행, 골조공사비 10% 절감, 배근시공도 및 물량산출 납기 최소로 단축, 배근시공도 정확성 향상/설계 및 시공 변경에 신속 대응, 공정 대비 발주 물량 관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고수익, 고효율, 고품질 의 엔지니어링 컨설팅 수행이 가능하다. 3차원 BIM 을 기반으로 철근현장가공에서 공장가공 전환 가속화로 국가적 물량 절감을 기대할 수 있고, 3차원 BIM 구조설계 및 골조공사 환경 구축 및 기술 자립을 통해 건설시공 분야의 기술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Examination of Construction Site Using 3D Laser scanner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한 공사현장의 시공검측)

  • Han, Su-Hee;Sohn, Hong-Gyoo;Kim, Jong-Suk;Woo, Su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525-528
    • /
    • 2008
  • 3차원 레이저 스캐너는 고해상도 3차원 영상을 제공하고 레이저 빔을 현장이나 대상물에 발사하여 짧은 시간에 수백만점의 3차원좌표를 기록할 수 있는 최신 측량장비로서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공사현장에서 슬래브 시공 시 철근배근 경계를 추출 철근배근 상태를 검측 하였다. 실험측량결과 지상라이다로 철근배근 경계를 신속하게 추출이 가능하였으며, 추출된 자료와 슬래브 도면과의 비교를 통하여 철근배근에 대한 검측이 가능하였다. 이에 따라 공사현장에서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빠르고 정확한 시공검측과 자료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Field Applicability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by Marker Mapping for Construction Project (Focused on Measurement Process of Rebar Work) (마커방식 증강현실기법의 건설현장 적용성 연구 (철근배근 검측업무 사례적용))

  • Kim, SunYoung;Kim, HyeonSeung;Moon, HyounSeok;Kang, LeenSe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6
    • /
    • pp.2509-2518
    • /
    • 2013
  •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visualizes a real type object that cannot simulate in virtual reality technology by overlapping a virtual object and real object in a computer system. This study suggests a methodology and prototype system for applying AR system to rebar distribution work in a civil engineering project. Rebar work in civil engineering project is a representative activity that is progressed by empirical approach of skilled labor rather than formalized manual. AR technology improves the constructability of rebar work because AR tool can identify missing rebars and different rebars comparing with the drawings. AR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rebar work using 3D modeling with real image of construction site and save construction cost by reducing reconstruction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