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철근콘크리트 구조

검색결과 2,147건 처리시간 0.037초

강섬유를 혼입한 철근 콘크리트 부재의 전단거동 및 전단해석에 관한 연구 (Shear Behavior and Shear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Containing Steel Fibers)

  • 오병환;임동환;이형준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71-180
    • /
    • 1993
  • 본 논문에서는 강섬유를 혼입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전단거동에 관한 실험 및 이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강섬유가 혼입된 구조부재를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여 강섬유의 전단보강 효과를 규명하였으며, 부재의 연성, 극한전단강도 및 초기균열 전단강도 등을 모두 만족하는 최적의 강섬유 혼입량 및 전단 철근 배근량을 제안하였다. 본 실험으로부터 강섬유의 혼입으로 인하여 연성의 증가뿐 아니라, 초기균열강도는 크게 향상되었으며, 극한전단강도 역시 만족할만큼 증가함을 알수 있었다. 위의 실험결과로부터 강섬유 혼입량(체적비)1%,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전단철근 필요량의 75%가 가장 만족스러운 조합임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강섬유가 혼입된 철근 콘크리트부재가 극한 전단강도 예측기법이 제시되었으며, 앞으로 강섬유 콘크리트는 연성을 필요로 한는 내진구조물등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강섬유 보강 철근콘크리트 보의 재료적 에너지감쇠에 대한 실험 및 수치해석적 연구 (Experiment and Numerical Investigation on Material Damping for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Beams)

  • 강보순;정영수;이우현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139-149
    • /
    • 1998
  • 동적하중하에서 강섬유보강 콘크리트(SFRC)는 유연도 및 균열억제에서 우수한 재료로서 최근에 각종 구조물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특히 내진설계를 위한 강섬유보강 콘크리트 의 재료적 감쇠에 관한 규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강섬유보강 콘크리트(SFRC)보의 재료적 감쇠효과증진을 실험적 및 수치해석적 방법으로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강섬유 보강콘크리트(SFRC)보의 감쇠거동은 인장철근비, 강섬유의 혼입량과 형태, 콘크리트의 강도 그리고 응력의 크기에 좌우된다. 강섬유보강 콘크리트보의 감쇠비는 보의 균열상태 변화에따른 동적실험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강섬유보강 콘크리트는 증가된 에너지감쇠능력으로 인장철근이 소성전 상태에서 철근 콘크리트보의 경우보다 향상된 감쇠거동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들 결과의수치해석적인 입증을 위하여 curvature(곡률)와 감쇠값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유한요소프로그램 (TICAL)을 개발하였으며, 결론적으로 0.44%인장철근비을 갖고 있는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감쇠비는 하중상태에 따라 철근 콘크리트보의 경우보다 약 5%에서 35%정도 향상된 감쇠비를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나선철근으로 횡구속된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구조적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Structural Performance of Recycled Coarse Aggregate Concrete Confined by Steel Spirals)

  • 김상우;정창교;이선희;김길희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03-111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나선철근으로 횡구속된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구조적 거동을 평가하였다. 주요 실험변수는 골재의 종류와 나선철근의 철근비로 계획하였다. 총 18체의 실험체를 제작하였으며, 실험체의 직경과 높이는 각각 150mm와 300mm이었다. 실험체는 사용된 굵은 골재의 종류에 따라 2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나선철근의 철근비는 0%에서 1.75%까지 변화하도록 계획하였다. 실험체의 축방향 및 횡방향 변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6개의 LVDT를 실험체에 부착하였다. 또한 나선철근의 변형률을 측정하기 위하여 스트레인 게이지를 120도 간격으로 나선철근에 부착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나선철근으로 횡구속된 순환 골재 콘크리트의 구조 성능은 나선철근의 철근비와 관계없이 천연골재 콘크리트와 서로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방식재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의 철근부식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ies on the Corrosion of Reinforcement Steel in Reinforced Concrete with Corrosion Inhibitors)

  • Y.S Chung;G.H Han;Lee, G.G.;J.W. Jang;Park, E.K.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175-183
    • /
    • 1997
  • 경제성장에 따른 항만구조물의 건설 및 유지관리에 관한 관심이 급격히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항만구조물은 해양환경에 노출되어 콘크리트에 매입된 철근의 부식을 야기시키는 요인에 접해있다. 한편, 콘크리트 내부의 염분침투는 매입철근의 부식을 가속화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에 상당히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가지 방식제를 사용함과 동시에 물/시멘트을 달리한 실험변수를 이용한 시험체에 대한 부식평가 및 매입철근의 적절한 부식방지 기법의 개발에 있다. 해양환경 조건을 simulation한 해수 및 담수 순환장치를 이용한 실내 시험체의 철근 부시도 평가 및 항만현장에 직접 거치된 시험체 등 다양한 조건하의 2년간의 실험이 현재 진행 중에 있다. 40주에 걸쳐 간헐 침투되는 해수조건에서 60개의 콘크리트 시험체의 철근 부시도 평가결과를 기초하여 180여개의 콘크리트 시험체를 새로이 제작하여 Half-Cell Test를 통한 Instant-Off Potential, Current Method를 통한 Corrosion current, Chloride Content 및 시험 종료후 시험체를 파쇄하여 부식된 철근의 무게측정등을 통하여 거동 및 부식을 예측.평가하고 이를 통한 부식방지기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철근 이중 콘크리트 보의 휨 및 전단 거동 (Flexural and Shear Behavior of Reinforced Dual Concrete Beam)

  • 박대효;박재민;김희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401-40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인장부에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압축부 및 나머지 부분에 보통 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한 철근 이중 콘크리트 보가 제안된다. 이것은 일반 철근콘크리트의 인장부 하단에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를 부분적으로 대체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적 성능을 개선시킨 혁신적인 구조 시스템이다. RC 보에 비해 RDC 보가 구조적으로 우수함을 입증하기 위해 휨 및 전단 실험이 실시되었다. 또한 강섬유가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휭 거동을 정확히 이해하고 모델링하기 위한 해석적 방법이 제안되어 실험결과와 비교되었다. 전단 거동은 전 단면에 걸쳐 섬유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 강도 예측을 위해 제안된 기존의 경험식 결과와 RU 보의 전단 실험 결과가 비교 분석되었다. 본 연구로부터 RDC 보는 RC 보에 비해 보다 우수한 구조적 성능을 발휘하고, 휨 해석 방법은 실험결과와 잘 일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장부 일부에만 부분적으로 섬유를 보강할 경우 극한 전단강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균열을 제어하고 진전을 억제하며 구조물 파괴모드를 안정적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E 도막철근의 휨거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the Flexural Behavior Using PE-Coated Rebars)

  • 김영진;강영종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143-150
    • /
    • 2003
  • 최근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현상은 경제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콘크리트내 철근의 부식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고자 PE도막철근을 이용하여 구조적 성능을 실험적으로 검증 하였다. 에폭시도막, 무도막과 PE도막철근의 세가지 재료에 대하여 휨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치를 비교 검증하였다. 하중-변위간의 관계를 통하여 무도막철근과 에폭시도막철근보다는 PE도막철근의 성능이 다소 우수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도막재료에 시멘트를 살포하였던 것이 부착성능을 향상 시켰을 것으로 사료된다.

트러스 모델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전단철근 및 전단균열폭의 변형 예측 (Prediction of Deformation of Shear Reinforcement and Shear Crack Width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using Truss Models)

  • 김상우;이정윤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49-56
    • /
    • 2004
  • 본 논문은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전단해석을 위하여 변환각 트러스 모델(TATM)을 사용하여 전단철근변형률과 전단균열폭과 같은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전단변형을 예측하였다.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전단변형에 대한 TATM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전단경간비를 가지는 4개의 RC 보를 제작하고 전단 실험하였으며, 이 실험결과를 MCFT(Response- 2000), RA-STM, FA-STM 및 TATM에 의한 해석결과와 비교하였다. 제안된 모델 TATM은 다른 트러스 모델보다 전단응력-전단철근변형률 관계와 전단응력-전단균열폭 관계를 더 잘 예측하였다.

  • PDF

경량 콘크리트 보의 휨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Flexural Behavior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Beams)

  • 변은혁;조장세;이영학;김희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441-444
    • /
    • 2010
  • 대공간 구조물과 초고층 빌딩에 있어 건축물의 자중 감소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경량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최외단 철근의 순인장 변형률에 따른 경량콘크리트 보의 휨 거동 및 휨 성능을 평가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크기와 형상이 동일한 보통중량 콘크리트 보 1개와 경량 콘크리트 보 4개의 총 5개 시험체를 제작하여 최외단 철근의 순인장 변형률을 변수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순인장 변형률에 따른 경량콘크리트 보의 강도와 연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최외단 철근의 순인장 변형률이 증가할수록 시험체의 연성비는 증가하였으며 최대하중과 강성은 감소하였다. 특히 순인장 변형률 0.005 이상에서 연성지수 2 이상을 확보할 수 있었다.

  • PDF

콘크리트 구조 기둥의 저비용 보강에 대한 실험적 연구

  • 김수건;손기상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0년도 추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57-162
    • /
    • 2000
  • 최근 많은 나라에서 초고층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등장과 더불어 저 층의 경우에도 구조물에 대한 유지보수가 많아지고 있다 실제로 많은 다양한 방법들로 만들어진 경우 가 많다. 고강도 콘크리트는 그것의 제조, 시공, 그리고 구조 설계 식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중략)

  • PDF

보-기둥 접합부에 정착된 550 MPa 43 mm 갈고리철근의 거동 (Behavior of 550MPa 43mm Hooked Bars Embedded in Beam-Column Joints)

  • 배민서;천성철;김문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8권5호
    • /
    • pp.611-620
    • /
    • 2016
  • 철근항복강도가 420 MPa만 사용되는 원자력발전소는 대구경 철근이 과밀 배근되어 정밀시공이 어렵고 콘크리트구조물의 품질저하가 우려된다. 과밀배근 해소를 위해 항복강도 550 MPa 철근의 사용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550 MPa 고강도철근의 실용화를 위해 요구되는 여러 검토 항목 중, 철근과 콘크리트 일체 거동을 위해 필요한 43 mm 갈고리철근의 정착거동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체 모두 목표했던 측면파열파괴가 발생하여, 최대하중에서 측면 피복두께가 급격히 탈락하였다. 가력 초기에는 대부분의 하중을 직선구간의 부착에 의해 지지하였으나, 최대 하중의 1/3 지점부터 부착에 의한 기여도가 저감되기 시작하여 최대 하중에서는 대부분 갈고리 지압에 의해 하중을 지지하였다. 횡보강철근이 있는 실험체에서 [실험값]/[콘크리트구조기준 예측값] 비율의 평균이 1.45였다. 35 mm 초과 철근에 적용이 금지된 횡보강철근에 대한 보정계수 0.8을 적용하여도 안전한 갈고리 정착이 가능하다. 고강도콘크리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실험값]/[콘크리트구조기준 예측값]의 비율이 1.0로 다른 경우에 비해 안전율이 부족하였다. 콘크리트강도의 제곱근에 비례하는 콘크리트구조기준은 고강도 콘크리트에서 안전측이 아니므로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대한 영향을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실험결과를 회귀분석하여, 콘크리트 압축강도, 묻힘길이, 측면피복두께, 횡보강철근의 영향을 고려한 갈고리철근 정착강도 평가식을 개발하였다. 13개 실험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실험값]/[예측값] 비 평균이 1.0, 변동계수가 10%로 매우 정확히 강도를 예측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