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체관측 프로그램

Search Result 45, Processing Time 0.02 seconds

CCD를 이용한 천체 관측 프로그램의 개발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학부생을 대상으로 -

  • Han, Ju-Yong;Choe, Seung-Eo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190-197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지구과학교육과가 지구과학을 연구하는 곳이자 지구과학을 교육하게 될 교사를 양성하는 곳이라는 두 가지 특징을 갖는다는 점에서 그에 적절한 천체관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프로그램은 크게 4가지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연구 대상은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2학년생 18명으로, 천체지구과학 및 실습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들이다. 이 학생들에게 본 연구자가 개발한 천체관측프로그램 수업을 진행하고, 수업을 하기 전과 수업을 한 후에 천체 관측에 대한 인식 및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를 수행하고자 한다. 또한 수업의 끝부분에서는 학생들의 소감문 및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설문지를 수집하여, 개발한 관측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PDF

Hybrid Astronomy and Space Science Room (하이브리드방식의 천문우주과학교실)

  • Kim, Taewoo;Kwon, Sun-gill;Ahn, Sungjin;Kang, Wonseok;Park, Miso;Kim, Sohee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2
    • /
    • pp.55.3-55.3
    • /
    • 2021
  • 국립청소년우주센터는 전라남도 과학문화확산활동사업으로 하이브리드방식의 천문우주과학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사업은 '소통하는 천체관측 플랫폼'과 '내가 만든 천체사진' 프로그램 두 가지로 운영 중이다. '소통하는 천체관측 플랫폼'은 날씨가 맑은 날 시민이 있는 곳을 찾아가서 천체를 보여주며 인터뷰와 생중계를 하는 것이다. '내가 만든 천체사진 프로그램'은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기존에 촬영된 천체사진과 원격관측을 이용해서 날씨에 상관없이 천체사진을 제작 할 수 있게 운영된다. 밤하늘의 천체를 안시관측으로만 만족하지 않고 사진관측의 매력을 알려 천문관측의 패러다임을 변화 시킬 수 있도록 운영한다. 또한 천문관측을 값비싼 장비가 있는 곳에서만 가능 한 것이 아니고 장비공유를 통해 천문관측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했다.

  • PDF

Development of Design Principles for Astronomical Observ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Authentic Inquiry (참탐구를 위한 천체 관측 교육 프로그램 설계 원리 개발)

  • Choi, Dong-Yeol;Ahn, Yumi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2 no.6
    • /
    • pp.752-769
    • /
    • 2021
  • Although astronomical observation has various educational effects and values, studie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earth science education have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with other fields. In addition,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systematic design principles development guiding teachers in the application of practical astronomical observation education.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develop design principles for astronomical observation education programs for K-12 students and applied the program to the classes. The initial design principle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revised through validation processes by eight experts. The final principles were confirmed based on the usability evaluation of two high school teachers, and they included 11 design principles and 27 detailed guidelines. In addition, an astronomical observation education program consisting of eight lessons was designed by applying the final design principle. This program was applied to after-school classes in high school, the responses of participating students were investigated. We anticipate our design principles can be used as a criterion for systematic design of various types of observation activities, including outdoor observations.

The Effects of RSM-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on Astronomical Spatial Concept and Self-Directed Learning for the Scientific Gifted Students (과학영재 학생을 위한 RSM 기반 천체관측 프로그램이 천문학적 공간개념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 Shin, Myeung-Ryeul;Lee, Yong-Seob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1 no.4
    • /
    • pp.993-100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s of RSM-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about Astronomical Spatial Concept and Self-Directed Learning for the Scientific Gifted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developed RSM-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This program was totally consisted 10 lessen. there was 3 part in this program. It contained Preparation Stage (step 1-2), Observation Stage (step 3-8), Clean up Stage (step 9-10). To find the effects of RSM-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on Astronomical Spatial Concept and Self-Directed Learning for Scientific Gifted Students. 20 participants was selected. these students were attended at a scientific gifted class(5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Ulsan. First, Astronomical Spatial Concept was used to find the effect of the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based RSM.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SPSSWIN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SM-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was a positive effects on Astronomical Spatial Concept of the Scientific Gifted Students (t=3,875, p=.001). Second, RSM-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was a positive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of the Scientific Gifted Students (t=5.783, p=.000). According to this research, RSM-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was verified to improve Astronomical Spatial Concept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the Scientific Gifted Students. It will be contribute on the curriculum construction of the gifted school or gifted class.

Imaging Simulations for the Korean VLBI Network (KVN)

  • 정태현;이명현;노덕규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4.04a
    • /
    • pp.29-29
    • /
    • 2004
  • KVN (Korean VLBI Network) 시스템의 점광원이 아닌 천체에 대한 관측 능력과 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AIPS의 화상모의실험 프로그램인 UVCON을 사용하여 가상관측을 수행하였다. Cygnus A 및 M51의 실제 관측 자료와 원과 타원 모양 등 다양한 형태의 가상천체 자료에 대하여 UVCON을 수행하여 가상 UV 데이터를 만든 후, AIPS 표준 화상처리 과정을 거쳐서 각 실험 천체에 대한 clean Image를 생성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대상 천체의 입력 자료와 가상 관측 자료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발표한다. (중략)

  • PDF

소형 망원경을 이용한 천체의 분광관측과 교육적 활용

  • Song, In-Ok;Baek, Chang-Hyeon;Lee, Jeong-Ju;Hwang, In-J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94.1-94.1
    • /
    • 2012
  • 국내의 교육기관에서는 망원경과 검출장비의 한계로 천체의 측광관측에 중점을 둔 실험교육을 하고 있으며 천체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천체분광 실험교육은 원활하지 못한 상황이다. 천체분광 실험 교육을 위하여 과학교육용 실험장비인 랩주니어(Lab-Junior)를 이용하여 소형망원경으로도 천체의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는 어댑터를 개발하였다. 5인치 망원경에 랩주니어 장비를 장착하여 달과 행성의 태양반사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었고 12인치 망원경에 장착하여 데네브(deneb) 같은 밝은 천체의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었다. 이 발표에서는 랩주니어를 이용하여 관측된 스펙트럼 데이터를 분석해 보고 학교 현장에서 교육적 활용 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개발된 장비를 활용한다면 고가의 분광장치가 없는 학교나 천문교육시설에서도 손쉽게 천체분광 실험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fter-school Program for an Astronomy Observation Club in a Highschool: Standardized Coefficient Decision Program in Consideration of the Observation Site's Environment (고등학교 천체 관측 동아리를 위한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관측지 주변 환경을 고려한 표준화 계수 결정 프로그램)

  • Kim, Seung-Hwan;Lee, Hyo-Nyong;Lee, Hyun-Dong;Jeong, Jae-Hwa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9 no.6
    • /
    • pp.495-505
    • /
    • 2008
  •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1) to develop astronomy observation program based on a standardized coefficient decision program; and (2) to apply the developed program to after-school or club activities. As a first step, we analyzed activities related to astronomy in the authorized textbooks that are currently adopted in high schools. based on the analysis, we developed an astronomy observ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standardized coefficient decision program, and the program was applied to students' astronomical observations as part of the club activities. Specifically, this program used a 102 mm refracting telescope and digital camera. we took into account the observation site's environment of the urban areas in which many school were located and then developed a the computer program for observation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astronomical education in schools was based off of the textbooks. Specifically, it was mostly about analyzing the materials and making simulated experiments. Second, most scho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located in urban areas where students had more difficulty in observation than in rural areas. Third, an exemplary method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make an astronomical observation efficiently in urban areas with the existing devices. In addition, the standardized coefficient decision program was developed to standardize the magnitude of stars according to the observed value. Finally, based on the students' observations, we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magnitude of a star in urban sites and in rural sites. The current astronomical education in schools lacks an activity of practical experiments, and many schools have not good observational sites because they are located in urban areas. However, use of this program makes it possible to collect significant data after a series of standardized corrections. In conclusion, this program not only helps schools to create an active astronomy observation activity in fields, but also promotes students to be more interested in astronomical observation through a series of field-based activities.

The Development of an Astronomical Observing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cience Club Activities - Inquiring Distances of Open Clusters Using Small Telescopes - (고등학교 과학동아리 천체 관측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소형 망원경을 활용한 산개성단의 거리 탐구 -)

  • Choi, Dong-Yeol;Yoon, Ma-Byo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0 no.3
    • /
    • pp.300-31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stronomical observing education program that enables high school students to inquire the distance of astronomical bodies based on the research methods (observing open clusters and exploring collected big data) using small telescopes and DSLR cameras. After analyzing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we developed science club activity materials and teacher-student learning contents suitable for high school earth science education. A panel of six teachers and researchers of earth science education and astronomy, participated in developing the educational materials. The validity of the program was verified through establishing the agreement among the panels after in-depth discussions and clarifications. The program, developed with 10 lessons in total, showed high satisfactory content validity (CVI, .89) and conformity of school class (Likert's 5 point scales, 4.17). The feedback of the panels and the Delphi analysis continu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gram. The pilot testing result with high school students (N=9) showed that the students' satisfaction rate was high as 4.48. Using the astronomical observational education program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in improving the convergence educational activity, interest, curiosity, and inquiry ability of students in the universe and the astronomical bodies.

천문시설에서 활용할 천문교육 콘텐츠 개발

  • Lee, Gang-Hwan;Baek, Chang-Hyeon;Gwon, Sun-Gil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1
    • /
    • pp.78.1-78.1
    • /
    • 2011
  • 현재 국내에는 약 30여 개의 종합(관측실과 투영관이 있는) 천문시설이 운영 중에 있으며 매년 2-3개의 시설이 추가로 건설 되고 있다. 대부분의 천문시설에서는 별자리 설명, 천체투영관에서의 영상물 상영, 그리고 천체망원경을 이용한 관측실습 등 한정된 소재와 일관된 형식의 천문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하고 있다. 하지만 천문학은 일반 대중들이 많은 흥미와 관심을 가지는 분야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다양한 소재와 형식의 교육프로그램 및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최근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 UFO, 황도 13궁, 태양 폭발, 우주선(Cosmic Rays)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 등의 소재들은 일반인들이 잘못된 개념을 가지기 쉬운 분야이기 때문에 여기에 대한 올바른 과학내용을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육 콘텐츠는 디지털 천체투영기를 이용한 스크립트 프로그램 개발, 관측실습 전 후의 이론 교육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각 천문시설 운영자들이 직접 다양한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기관협력체나 천문연구원 등의 체계적인 천문교육 콘텐츠 개발 및 보급이 절실하다.

  • PDF

자동관측 망원경을 위한 자동 초점 알고리즘 개발

  • Yun, Yo-Ra;Lee, Chung-Uk;Im, Hong-Seo;Han, Won-Yo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1
    • /
    • pp.65.2-65.2
    • /
    • 2011
  • 천체관측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초점은 관측된 영상의 활용가치를 좌우하게 된다. 관측자가 직접 관측하는 망원경의 경우 직접적인 확인을 통하여 초점을 맞추어 관측하지만, 관측자가 개입하지 않는 자동관측 망원경의 경우 초점을 맞추는 일은 생각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활용되는 변수는 FWHM(Full with Half Maximum)이며, 초점이 전혀 맞지 않는 영상의 경우 FWHM을 결정할 수 없으며, 자동관측 망원경의 경우 관측된 영상을 전부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초점이 전혀 맞지 않는 경우에도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FWHM을 활용하지 않고 별상의 크기를 직접 계산하여 좋은 초점을 맞출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새로 개발한 프로그램은 결과 도출시간이 빠르고 광축이 맞지 않은 영상에서도 활용할 수 있어 활용성을 극대화 하였다. 한편, 리눅스 및 윈도우 기반의 영상 관측 컴퓨터에서도 활용할 수 있어 앞으로 활용성이 더 많아 질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