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천체관측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22초

적외선원 IRAS 07280-1829와 이와 관련된 분자운의 CO분자선 관측연구 (CO Observations Toward IRAS 07280-1829 and Its Related Clouds)

  • 이창원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02-41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IRAS 07280-1829 적외선원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분자운에 대해 수행된 $^{12}CO$$^{13}CO$ 1-0 분자선 관측결과와 기존의 적외선 자료를 이용하여 이 적외선원의 생성환경에 관해 연구하였다. 관측자료로부터 얻어진 적외선원의 파장별 에너지분포의 기울기(${\alpha}$=1.16)와 복사온도(145 K), 그리고 광도(${\sim}2.9{\times}10^4L_{\odot}$)는 이 적외선 천체가 CLASS I형의 중량급원시성임을 의미한다. 이 적외선원방향에서 관측된 두 CO 분자선에서 보이는 넓은 속도 성분은 분자분출류의 존재를 암시한다. 적외선원을 감싸고 있으리라 짐작되는 분자운A에서 측정된 여기온도는 9-22 K, 질량은 약 ~180 $M_{\odot}$인 것으로 보아 이 분자운이 전형적인 적외선 암흑분자운(Infrared-dark clouds)의 물리적 특성을 가짐을 보았다. 이 분자운의 질량은 비리알 질량보다 10배 이상 작은 값으로 계산되었는데 이것은 여기에 어린 원시성이 이미 생성되고 있다는 관측사실에 모순된다. 이는 아마도 분자운A가 교란운동(turbulence) 혹은 강한 자기장에 의해 지배되는 환경 가운데에 중량급원시성 IRAS 07280-1829을 생성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 일수도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W UMa형 접촉쌍성 SS ARIETIS의 공전주기 변화 (PERIOD CHANGES OF W UMa TYPE CONTACT BINARY SS ARIETIS)

  • 김천휘;한원용;윤재혁;나일성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4권1호
    • /
    • pp.44-58
    • /
    • 1997
  • 1996년 1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열흘간 W UMa 형 접촉쌍성 SS Ari의 BVR CCDD 측광관측을 수행하였당. 이 관측으로부터 여덟 개의 새로운 극심시각을 결정하였다. 이 극심시각과 발표된 모든 극심시각을 분석하여 SS Ari의 궤도공전주기의 변화 진폭은 약 0.053일이며, 그 주기는 약 58년이다. 이 변화의 원인을 1)제 3전체에 의한 광시간 효과 2) 한 성분별에서의 주기적 자기활동에 이한 형상 변화 효과란 두 가지 관점에서 조사하였다. 전자로 해석할 경우 제 3 천체의 질량은 약 $1.3M_{\odot}$인데, 존재한다면, 백색왜성이나 쌍성일 가능성이 높다. 분광관측으로 얻은 SS Ari계의 시스템 속도는 이를 뒷받침하는 것 같다. 후자로 해석할 경우, 자기활동이 심한 별은 주성이다. 이때 이론적인 주성의 밝기 변화 요구량은 $\pm0.^m08$이다, 그러나. 관측자료의 부족으로 이를 검증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관측자료를 가지고, 두 해석 중 어느 것이 바른 해석인지를 결론지을 수 없다. 또한, SS A갸의 공전주기의 변화에는 위의 변화 위에 약 $0.^{d}0.01$의 작은 진폭을 갖고 약 14년의 주기적 변화가 겹쳐 있다. 이 변화의 원인에 대해서도 아직 명확히 결론을 내릴 수 없다.

  • PDF

삼중성 $\lambda$ TAURI의 광도곡선 분석과 시선속도의 분석 (PHOTOMETRIC AND RADIAL VELOCITY CURVES ANALYSES OF THE TRIPLE SYSTEM $\lambda$ TAURI)

  • 이용삼;권수진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2권1호
    • /
    • pp.30-43
    • /
    • 1995
  • 충북대학교 천체관측소에서 1990년 12월부터 1994년 1월까지 총 31일 밤 통안 삼중성 $\lambda$ Tau의 UBVRI 광전측광 관측을 수뺑하여 각 필터별로 586점씩 총 2930점의 관측점으로 광도곡선을 완성하였다. 제 1식심의 광도곡선으로부터 1개의 제 1식심시각을 구하고 새로운 광도요소를 얻었다. 분산이 심한 U광도곡션을 제외한 우리의 BVRI 광도곡션과 Grant(1959)의 BV 광도곡션을 혼합하여 Wilson-Devinney 계산법으로 ,$\lambda$ Tau의 측광학적 해를 구한후, 이 광도곡선과 Fekel and Tomkin (1982)이 수집한 시선속도 곡선을 동시에 만족하는 $\lambda$ Tau의 시선속도 곡선의 해를 구하고, 이 값으로부터 이 쌍성계의 절대량을 산출하였다. 주성의 반경과 질량은 각각8$8.3R_\odot$$8.1m_\odot$이고 반성의 반경과 질량온 각 각 $6.5R_\odot$$2.1m_\odot$이다.

  • PDF

The Development and Installation of the DNSM 1meter Telescope

  • Choi, Eunwoo;Hur, Hyeonoh;Jeon, Hae-Jin;Hong, Daegil;Choi, Dong-Soo;Kim, Kyoung-Rock;Cho, Young-Dong;Kwak, Tae-Yoon
    • 천문학회보
    • /
    • 제41권2호
    • /
    • pp.53.1-53.1
    • /
    • 2016
  • 국립대구과학관 천체 관측 핵심시설인 1m 반사망원경을 개발하고 설치 완료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국립대구과학관 1m 망원경의 시스템 사양과 개발 및 설치과정을 전반적으로 기술하고 앞으로의 활용계획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이번에 도입된 주망원경은 지난 2014년 11월부터 광학계 및 마운트 설계를 시작으로 2016년 5월까지 약 1년 6개월의 개발기간을 거쳐 설치 완료되었다.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된 주망원경은 주경 1,000mm(부경 300mm)의 유효구경을 가지며 후방초점거리가 700mm인 초점비 F/8의 리치-크레티앙 방식의 광학계로 설계되었다. 레이저 간섭계를 이용하여 거울면 전체의 형상 오차를 정밀하게 측정한 결과 주경면 PV < ${\lambda}/4$, RMS < ${\lambda}/20$, 부경면 PV < ${\lambda}/10$, RMS < ${\lambda}/50$의 형상 정밀도를 가진다. 포크형태의 경위대식 마운트 구조로 방위각, 고도 양축과 디로테이터에 각각 모터가 장착되어 움직이는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으로 구동된다. 최대 구동속도는 $2^{\circ}/s$이상, 포인팅 정밀도는 2'이하, 10분간 추적 정밀도는 3"이하(10분간 오토가이더 추적 정밀도는 1"이하)의 구동 성능을 가진다. 제어용 컨트롤 시스템은 JTCS(Justek Telescope Control System)를 사용한다. 성능 평가를 위해 시험 관측된 10~13등급 사이 10개의 별들에 대한 FWHM 측정결과는 4~5" 범위에 있다. 앞으로 지속적인 성능 평가와 업그레이드를 통해 향후 정밀도를 높여 학술 연구용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이번 국립대구과학관 1m 주망원경의 도입으로 지역 천문교육 프로그램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Technical endeavor to minimize astronomical instruments in the Joseon dynasty

  • Mihn, Byeong-Hee;Lee, Ki-Won;Ahn, Young Sook;Lee, Yong Sam
    • 천문학회보
    • /
    • 제39권1호
    • /
    • pp.87-87
    • /
    • 2014
  • 조선 전기 세종(世宗, 1418-1450)에 의해 천체관측기기와 천문역법을 개발하는 사업이 있었다. 이 때 조선의 천문대인 간의대가 건설되었고, 더불어 소간의, 일성정시의, 현주일구, 천평일구, 정남일구, 앙부일구 등 다수의 소형화된 천문의기가 개발되었다. 이보다 앞서 중국 원(元)왕조의 최신 관측기기였던 간의, 규표, 혼천의, 혼상 등을 제작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적 경험을 바탕으로 소형화된 천문의기 새롭게 발전시킨 것으로 보인다. 당시 천문의기를 구성하는 것에는 천구의 도수를 눈금으로 새긴 원형의 환(環)이나 구형의 혼(渾)이 있었다. 조선에서는 시헌력을 도입하기 전까지 천구의 도수(주천도수)를 365.25 등분하였고, 하루 12시진을 백각으로 나누었으며, 이를 각각 주천도분환과 백각환에 눈금을 새기었다. 당시에는 환의 둘레에 주천도수와 백각을 새기는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제작 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도수나 시각의 각거리를 일정한 길이의 단위로 설정하여 원주를 등분하였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즉 조선의 소형화된 천문의기는 주천도의 1도나 백각의 1각을 일정한 길이의 단위인 푼이나 치의 정수배로 하여 환의 둘레에 주천도수와 백각의 눈금을 새겼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만일 주천도의 1도 각거리를 1푼으로, 백각의 1각 각거리를 1푼으로 하는 표준 변환을 적용하면, 각각 환의 지름이 1.16치, 0.32치가 된다. 이러한 방법이 현존하는 일성정시의나 소간의의 세 종류의 환과 현주일구의 백각환의 특성과 잘 일치함을 보이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소형화된 천문의기의 구조적인 재원을 연구할 때나 출처가 불분명한 의기의 크기를 이해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한국과학영재학교 천지인 천문대의 천문학적 시상 패턴 (Patterns of Astronomical Seeing at KSA SEM Observatory)

  • 강임석;이경훈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85-494
    • /
    • 2009
  • 한국과학영재학교 천지인 천문대의 천문학적 시상 패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관측지의 시상 상황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그 관측지에서 시상을 측정하여 데이터를 얻는 것이 가장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부산 지역에서 시상에 관한 체계적인 측정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천문대에서는 2008년 5월부터 SBIG사의 시상 모니터를 도입, 매일 시간별 시상을 꾸준히 측정하고 있다. 시상 측정은 CCD로 직접 천체 이미지를 촬영하여 FWHM지수를 추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우리는 지난 8개월 동안 시상 모니터를 운영하면서 얻어진 한국과학영재학교 천지인 천문대에서의 시상 자료를 바탕으로 KSA SEMO에서의 시상 패턴을 'Sunset/sunrise Effect', 'Extreme Fluctuation', 'Sudden Increment', 'Daily Variation', 'Stable Condition' 등으로 분류하였다. 시상은 전반적으로 오전 1시에서 3시까지가 다른 시간대에 비하여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름의 시상이 겨울보다 좋았다.

수평 위치정보 추정을 위한 관성/천측 항법시스템 설계 및 약결합/강결합 방식의 성능 비교 (Design of Inertial Navigation System/Celestial Navigation System Navigation System for Horizontal Position Estimation and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Loosely and Tightly Coupled Approach)

  • 김기덕
    • 우주기술과 응용
    • /
    • 제3권1호
    • /
    • pp.58-71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관성측정장치와 천측 항법을 활용한 수평 위치 추정을 위한 항법 시스템 설계에 대해 기술하였다. 우주 상에서 별은 천구 상에 널리 퍼져 있는 천체로서 별의 관측을 통해 자세 정보를 획득하는데 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별의 고도 정보를 통해 수평 위치에 대한 정보 또한 획득이 가능한데, 이는 천측 항법이라고 불리며 예전 항해사들이 바다 위 항해 중에 자기의 위치를 알아내던 원리와 동일하다. 특히 GPS 등의 사용이 불가능한 심우주에서는 비교적 관측이 쉬운 별을 통해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평 위치정보를 추정할 수 있는 항법 시스템을 소개하며 측정값을 활용하는 방식에 따라 약결합과 강결합의 두 가지 방식의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계된 시스템이 올바르게 수평 위치정보를 추정하는지 여부와 함께 약결합과 강결합 방식의 성능을 비교하여 추후 천측 항법을 활용한 항법 시스템 설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우주탐사에서의 가시광-근적외선 분광 자료 분석 기법 (Analysis Methods of Visible and Near-Infrared (VNIR) Spectrum Data in Space Exploration)

  • 이응석;김경자;홍익선;김수연
    • 우주기술과 응용
    • /
    • 제3권2호
    • /
    • pp.154-164
    • /
    • 2023
  • 우주탐사에서 분광관측은 대상의 구성 성분과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방법이다. 분광 자료 분석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며, 관측 대상과 파장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달 탐사에서 주로 적용하는 가시광-근적외선(visible & near-infrared, VNIR) 분광 자료 분석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주요 분석 방법에는 가색상 비율(false color ratio) 영상 처리, 반사도 유형(reflectance pattern) 분석, 통합 대역 깊이(integrated band depth, IBD) 계산이 있으며, 분석 이전의 전처리로는 연속체 제거(continuum removal)가 있다. 이러한 분광 분석 방법들은 가시광-근적외선 영역에서 나타나는 달 표면의 광물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화성과 같은 다른 천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천체관측용 적외선 광학계 초정밀 가공 (ULTRA PRECISION MACHINING FOR ASTRONOMICAL INFRARED OPTICS)

  • 김건희;진호;양순철;김명상;국명호;이성호;육인수
    • 천문학논총
    • /
    • 제22권3호
    • /
    • pp.55-61
    • /
    • 2007
  • The KASINICS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Near Infrared Camera System) is a ground-based near-infrared (NIR) imaging instrument. KASINICS has offner relay optics to reduce unwanted infrared light. For the offner optics, we adopted an ultra precision machining process which is installed at KBSI (Korea Basics Science research Institute). Since the offner relay optics is made of aluminum 6061 metal material, we did several tests to reach the specification. We found that a 0.497mm radius nose bite and 220m/min machining speed are best tool and condition to make this offner optics with the precision machine. In this paper, we report the technical method of ultra precision machining and results of the KASINICS offner optics.

제4회 거대마젤란망원경 여름학교 - 의문들에 대한 해답을 찾아서 ($4^{th}$ K-GMT Summer School - Seeking Answers to Open Questions)

  • Lee, Joon Hyeop;Hwang, Narae;Park, Byeong-Gon;Kim, Yee Jin;Lee, Jae-Joon;Lee, Ho-Gyu;Kim, Minjin
    • 천문학회보
    • /
    • 제39권2호
    • /
    • pp.122.1-122.1
    • /
    • 2014
  • 다가오는 거대마젤란망원경 (GMT) 시대를 이끌어갈 신진 연구자들의 연구역량 증진을 위해, 2014년 8월 25일부터 29일까지 4박5일에 걸쳐 경상북도 경주시 대명리조트에서 제4회 거대마젤란망원경 여름학교를 개최하였다. 총 40명이 학생으로서 참가한 이번 여름학교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새로운 프로그램이 시도되었다. (1) 관측천문학의 기초, 우리은하 천문학의 기초, 외부은하 천문학의 기초 등 세 번의 기초강의를 선택적으로 제공하였다. (2) 별과 행성, 항성종족과 화학진화, 은하 형성, 고적색이동 천체와 재이온화, 우주론 등 총 다섯 개 분야에서 심화강의를 제공한 뒤에 각 강의내용과 연관된 열린 질문들을 화두로 해서 학생들 간에 조별 토론을 진행하였다. 이는 정해진 답이 없는 문제를 놓고 토론을 통해 능동적으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훈련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본 포스터에서는 제4회 거대마젤란망원경 여름학교의 결과를 정리하고 앞으로 나아갈 GMT 계절학교의 방향을 점검해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