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연 소재

Search Result 1,15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rends in Extraction Research and Types of Natural Substances Used for Skin Aging Prevention (피부노화 방지에 이용되는 천연물의 종류 및 추출연구 동향)

  • Ho Seok Kwak;Youngsang Chun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9 no.2
    • /
    • pp.115-125
    • /
    • 2024
  •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nd growing interest in skin beauty, alongside specialized scientific examination of natural substances, have led to a rise in the utilization of natural material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types of natural substances, the functionality of extracts, and extraction technologies based on the literature that utilizes natural ingredients to mitigate skin aging. To directly assess the impact of functional material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on skin aging mitigation, the functionality of the extracts was determined based on their ability to synthesize Procollagen and reduce MMP-1. Each natural product is categorized into plants, herbal medicines, and microalgae in the literature utilizing the above evaluation methods. This paper describes the extraction technologies for securing functional materials from each ingredient and the main outcomes, providing trends in research on extraction technologies for functional materials aimed at alleviating skin aging

Isolation of the Bacteria Strains with Highly Active β-glucosidase from Traditional Wine and Use them for the Synthesis of Non G lucoside Product in Plant (식물유래 비배당체 활성 성분 증대를 위한 고활성 β-glucosidase 생산 균주 선별 및 특성 규명)

  • Tae-Su Kim;Sua Im;Do Yun Jeong;Byung Hee Chun;Yun Ji Kim;Myoung Lae Cho;Bo-Ram Kim;Su Hui Seong;Jin-Woo Je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125-125
    • /
    • 2022
  • 식물 내에는 배당체 형태의 생리활성 물질들이 다량 존재하고 있으며, 비배당체로 전환하였을 경우 생리활성이나 투과성이 증대된다는 연구들이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활성 β-glucosidase 활성을 갖는 균주를 선별함으로써 식물 내의 비배당체 활성 성분을 증대시키는 데 활용하고자 한다. 균주는 전남지역 제조된 막걸리부터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성장 속도 등 산업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치를 평가하여 11종 22점의 균주를 분리하고, 16S rRNA분석을 통해 균주를 동정하였다. 동정된 균주를 이용하여 β-glucosidase의 활성을 평가하여 고활성 균주를 1종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균주는 다른 균주에 비하여 상대적 활성이 57% ~ 99%정도 활성이 높았으며, 공시 균주와 비교하였을 때도 상대 활성이 높은 았다. 선별된 균주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glycerol, L-arbinose를 비롯한 49가지의 탄수화물의 대사 활성을 확인해본 결과 25가지의 탄수화물 대사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수 있었다. 또한 Lipase, β-glucosidase 19가지의 다양한 효소활성을 확인해본 결과 8종의 효소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Fermented Natural Materials Mixtures with Lactobacilluse acidophilus on Anti-obesity Activity (유산균 발효 천연소재 혼합물의 항비만 효과)

  • Jeong, Hee Gyeong;Bak, Ok Ran;Kim, Kyung Je;Jin, Seong Woo;Koh, Young Woo;Im, Seung Bin;Ha, Neul-I;Seo, Kyoungsu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103-103
    • /
    • 2019
  • 최근 식생활의 변화로 인한 동물성 포화지방, 고칼로리 식품의 섭취 증가와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의 여러 요인으로 비만인구 비율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유자, 석류등 천연소재 추출액에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풍부하여 항암, 항산화, 항염증, 항미생물 활성 등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발효유로 대표되는 유산균 제품은 장 건강, 항산화 등 다양한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짧은 유통기간 및 냉장유통 등 보존성에 있어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천연 추출물을 주원료로 Lactobacillus acidophilus로 발효한 천연소재발효물을 활용하여 항비만 효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산균 발효유의 풍미 유지하면서 유통기간을 늘릴 수 있는 가공법을 개발하고 건강식품 소재 개발 및 산업화를 통하여 국민의 건강 증진을 도모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천연소재 프로바이오틱스 발효물을 제조하여 세포독성, NO생성 억제능, 항비만 활성, 관능검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천연소재 추출물 및 천연소재추출발효혼합물을 각각 10, 50, 100, $500{\mu}g/mL$의 농도로 처리한 시험구들의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가장 고농도인 $50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96.2, 95.1, 97.3, 96.2, 98.1, 97.0 %로 확인되어, 높은 수준의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천연소재 추출물 및 천연소재추출발효혼합물의 항염증효과를 분석하고자 수행한 Nitrite 생성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 NO 생성율은 $50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98.1, 98.2, 96.2, 97.3, 91.2, 95.3 %로 확인되어 시험구 D의 항염증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lipid accumulation은 각각 100.0, 99.1, 98.2, 98.5, 87.6, 91.8 %로 나타나 D시험구와 E시험구에서 지방세포 분화억제효과가 확인되었다. 관능검사 시행 결과, 농축비율에 따른 관능적 기호도는 5 brix > 3 brix > 1 brix > 10 brix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천연조미소재 개발을 위한 돗대기새우(Leptochela gracilis) 엑스분의 추출조건

  • 안종훈;조영철;이성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112-113
    • /
    • 2000
  • 수산물은 육류와는 다른 독특한 맛과 향을 가지고 있어 예로부터 각종 풍미소재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새우류는 칼슘함량이 높으며, 단백질도 많아서 영양적으로도 우수하고, 독특한 향기가 있기 때문에 풍미를 불러 일으키는 효과가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소재 수산물 천연조미소재의 개발과 수산자원을 이용한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돗대기새우를 원료로 한 천연조미소재 개발의 일환으론 엑스분의 추출조건을 검토하였다. (중략)

  • PDF

Tencel Knit의 염색가공

  • 김주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02.08a
    • /
    • pp.117-123
    • /
    • 2002
  • 텐셀(tencel)은 영국의 섬유회사인 ACORDIS사가 생산하는 고급 천연소재의 Brand 이름으로 종래의 Rayon의 문제점을 개선한 차세대 섬유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텐셀은 엄격한 기준을 거친 양질의 목재펄프에서 천연 셀룰로즈만을 채취해 100% 천연소재로 제조과정에서 유독 물질을 전혀 배출하지 않고 자연 속으로 완벽하게 생분해되는 환경 친화적인 소재이나 그동안 소재홍보에만 주력을 하여 염색가공 기술적인 측면은 진전이 없어 피브릴화로 일어나는 여러가지 품질상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중략)

  • PDF

천연소재 활성 검토를 위한 간장해 동물모델에서의 장내세균 분석 요구

  • 김동구;송영재;소주련;강사행;박정향;고세웅;김동근;김태현;명제훈;진종식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120-120
    • /
    • 2022
  • 장내세균의 구성과 각종 질환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대장관련 질환 뿐 아니라, 당뇨, 비만 등 대사성 질환, 심지어 정신질환에까지 장내세균 구성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다양한 천연 소재를 활용하여 각종 동물질환모델에서 생리활성을 검토할 때, 장내세균의 구성을 분석하여 그 상관관계를 밝힐 필요가 있다. 장내세균의 구성에 따라 질환의 양상이 달라질 수 있으며, 치료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동물실험을 수행할 때에도 실험동물 간 장내세균의 구성이 다르면 질환의 유도 또는 천연소재에 의한 치료 패턴이 달라질 수 있음을 가정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EtOH와 LPS를 이용하여 간장해 동물모델을 구축하고, 장내세균 구성을 T-RFLP법으로 분석하여 그 상관관계를 검토하였고, tracheloside 등의 천연물을 투여함으로써 성분의 대사 패턴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천연소재의 간장해 개선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 결과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Recent Research Trends in Eco-Friendly Materials for Solving Environmental Microplastic Problems (미세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한 친환경소재 연구동향)

  • Moon, Sung Min;Jeon, So Hui;Eom, Taesik;Shim, Bong Sup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2 no.2
    • /
    • pp.25-43
    • /
    • 2019
  •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생태오염이 심화함에 따라, 기존 난분해성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석유 기반 자원의 고갈 및 이산화탄소 배출로 인한 온난화 환경문제 등으로 기존 석유계 플라스틱 소재를 대체 보완하는 친환경 천연소재 개발의 사회적 요구는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생분해가 가능한 천연자원으로부터 다양한 물리 화학적 엔지니어링 기능성을 추가하여 플라스틱의 환경문제를 극복하려는 시도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기고에서는 나노셀룰로오스, 생분해성 고분자, 멜라닌 소재를 중심으로 친환경 기능성 천연소재의 최신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 이의 기존 합성 플라스틱 대체응용 방안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The development of the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for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packing pepper powder (포장 고춧가루제품의 품질 향상을 위한 천연 항균 물질 개발)

  • Woo, Na-Ri-Yah;Lee, Eun-Sang;Kim, Young-Ae;Kim, Bo-Kyung;Kim,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1017-1020
    • /
    • 2010
  • 최근 국산 농산물의 수요급증과 더불어 소비자들은 안전한 제품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맞는 제품 개발의 일환으로 미생물 제어가 된 고춧가루 포장제품의 품질향상을 위한 천연항균 물질 소재를 탐색하여 제품개발에 응용하였다. 천연물과 한방재료 중 고춧가루 제품에 적합한 소재를 스크리닝하여 항균물질을 탐색하였으며 고춧가루 제품 패킹에 응용하였다. 천연물 항균제의 개발 원칙은 산취 등 이취가 없어야 하며, 제품에 응용할 수 있는 용해성이나 믹싱의 효과를 높이도록 공정을 최적화 하였다. 또한 최종 천연물 항균제의 형태는 분말 형태로 개발하였다. 천연물에 대한 항균활성은 paper disk test를 통하여 비교하였으며, 항균력이 가장 우수한 소재는 황금추출물이었다. 또한 이들 추출물과 비타민 $B_1$ 인산염의 영향을 함께 비교하였다. 이 천연물 소재 추출물로 개발한 항균물질에 대한 효과는 일반세균, 대장균 검사를 실시하였다. 제품의 안정성 확보 및 유통기한 연장 가능성을 실험한 결과, 일반세균은 $1.0{\times}10^5$cfu/g, 대장균군은 $1.0{\times}10^2$cfu/g, 대장균은 불검출 되었다. 이들 추출물의 항균제 개발과 더불어 다양한 식품에 천연물 항균제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며, 안전한 천연 항균제 개발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기초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 PDF

조미산업

  • 임재각
    • Food Industry
    • /
    • s.181
    • /
    • pp.68-91
    • /
    • 2004
  • 조미료란 식품을 조리, 가공, 섭취할 때 맛을 증진시키거나 강화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일컫는다. 발효, 종합 및 천연계 조미료의 국내외 시장동향에 대해 살펴보고, 조미료의 향후 발전방향과 중점 연구 분야, 관련업계의 연구개발 동향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조미료 분야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육성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미원, 아이미 등으로 대표되는 발효조미료의 내수시장은 성숙기를 거쳐 소폭 감소세를 보이는 쇠퇴기에 접어들고 있다. 이는 소비자의 MSG에 대한 기피현상이 주 원인으로 판단된다. 전반적으로 품질 차별화 없이 가격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종합조미료 시장은 1975년 국내에 처음으로 CJ에서 다시다 제품을 출시한 후 대상에서 1982년 맛나, 1988년 감치미를 출시하면서 30여 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다. 현재 시장규모는 2천억원에 이르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성장세가 완만해지고 있고 가정용은 거의 정체되어 있다. 일본 조미료 시장은 발효조미료, 종합조미료 그리고 다양한 조미식품의 소재로 활용되는 천연조미료로 구분할 수 있다. 발효조미료 시장은 국내와 비슷한 상황으로 전체적인 물량변화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며 생산기지의 해외이전 현상이 뚜렷하다. 종합조미료 시장은 한국과 유사한 풍미조미료 외에도 보다 전문화되고 다양한 형태의 조미료가 시판되고 있으며, 전통적인 풍미조미료는 정체현상을 보이고 건강지향, 전용화 조미료가 호조를 보이고 있다. 일본과 한국의 조미료 발전 단계는 조금 차이를 보이고 있다. 현재 한국은 종합조미료 시대에서 용도별 조미료 시대로 넘어가는 단계에 있는 반면, 일본은 이미 메뉴 전용 조미료시대에 접어들었고, 건강, 기능성을 강조하는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 이들 변화는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그로 인한 보다 천연에 가까운 조미소재에 대한 수요, 동시에 맛에 대한 충족까지 요구하는 시대적 변화에 따른 필연적 결과로 보인다. 미래의 조미료는 천연계 소재의 사용량이 증가할 것이고, 소비자의 건강, 안전 추구심리에 부흥하여 안전성과 기능성을 부여하는 소재에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전반적인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제품의 고급화와 전용화도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조미료시장을 주도할 각 현상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아보고 학계 및 업체의 최근 연구동향과 제품개발 현황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기술연구 동향을 보면, 나노 기술에 의한 조미신소재연구, 초미분쇄기술, 미세 캡슐화 기술, 생물공학 기술이 활용된 발효 및 효소분해에 의한 펩타이드계 조미소재 개발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선진업체 연구 및 제품개발 동향은 아지노모트/교와의 ''코쿠미''계 조미소재 연구개발, 일연푸드/동해물산의 천연 엑기스계 조미소재 연구개발, 보조주(주)의 주류 조미료 개발 위주로 살펴보았다. 조미료 시장의 발전 과정과 선진 업체들의 연구, 개발동향을 종합해 보면 첫째는 천연 건강지향에 부응하는 차별화된 소재 및 기능성 소재 개발이고 둘째는 맛과 편리함의 추구에 대응하는 메뉴 전용화 추세이다. 이를 위한 기술적 연구도 기능성 소재(히스티딘 함유 디펩타이드)개발, 나노기술, 미세캡슐화 기술 등을 통하여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조미료 산업을 첨단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R&D 투자확대와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각 기업단위에서는 장기적 차원에서 첨단식품 기반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거나, 전문 중소기업, 벤처를 육성하는데 지원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당장의 수익과 회사간 경쟁으로 인해 장기적 투자, 사회적 인프라 육성 등에는 관심을 쏟지 않고 있다. 조미료를 비롯한 식품에 관련된 기술들이 다양한 기초연구와 응용기술, 개발연구 등의 총합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들 상이한 연구 분야간의 연계를 강화하고 개발된 기술의 이전, 확산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기업간 수평적 네트워크 외에도 국가기관이 참여하는 연구 자원의 효율적 집행 기관이 필요하리라 본다.

  • PDF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thickeners using natural materials (자연재료를 이용한 증점소재 개발 및 특성연구)

  • Jin, Ha-Kyung;Kim, Bum-Keun;Han, Jung-Ah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9 no.3
    • /
    • pp.229-234
    • /
    • 2017
  • For elderly individuals with swallowing difficulties, texture-modified food containing thickeners is needed. The plant materials freeze-dried yam, lotus root, and artichoke were evaluated for their potential use as thickeners and compared to a commercial thickener (corresponding to 0.5, 1, or 2 bag viscosity, respectively). Yam powder showed a high peak viscosity, corresponding to that of rice starch. Although artichoke showed no pasting viscosity, it may be useful as a thickener when combined with xanthan gum. The certain amount of yam, lotus root, and artichoke powders added to commercial soup showed similar viscosities as the addition of 0.5 or 1 bag commercial thickener at $60^{\circ}C$. However, sufficient viscosity corresponding to that of 2 bags of commercial thickener was not achieved by using the plant material itself. Sensory tests by elderly subjects revealed that the soup with yam powder was preferred compared to soup made with other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