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연물

Search Result 2,671,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Status and Prospect of Natural Products Industry Infra in Jecheon, Chungbuk (충북 제천의 천연물산업 기반구축 현황과 전망)

  • Yoon, Seung-W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34-34
    • /
    • 2018
  • 천연물 산업은 과학적 기술력이 요구되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건강기능식품 등의 원료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최근 친환경,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 증가로 천연물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으며 고령화 사회 진입과 건강에 대한 의식 수준 상승으로 전세계 건강기능 식품 시장 확대 추세에 있다. 생물자원의 70%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천연물 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고부가가치화 실현을 위해 천연물 산업 육성 촉진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 균형발전 측면에서 신성장동력 마련 및 국가 차원의 형평성을 고려한 전략적 투자가 필요한 시점에서 천연물 관련 산업의 신성장동력화를 통해 지역의 한계점 등을 개선하고, 새로운 먹거리 발굴과 함께 지역 전략산업으로 육성이 필요하다. 제천의 특화산업업인 한방천연물산업의 고도화와 활성화를 위해 영세한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의 연구 및 제품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인프라와 산업 클러스터 조성이 요구되고 있다. 제천은 풍부한 한약재 생산지를 보유하고 있어 전체 면적의 50% 이상이 석회암 지대로 알칼리성 토양이 넓게 분포되어 있고, 토양의 양분이 풍부하며 해발고도 250m 이상의 준산간 지역에서 주로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어, 배수가 양호하고 병충해가 적어 한약재의 친환경 재배 및 다년생 한약재 재배가 가능한 지역이다. 이러한 천연물 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산업통상자원부, 충청북도, 제천시, (재)충북테크노파크는 180억원의 사업비로 '글로벌 천연물 원료제조거점시설'을 구축하여 규격화된 천연물 원료공급 시스템을 갖추었으며 150억원을 투자하여 '천연물 조직배양 상용화 시설'을 건립 중에 있다. 또한 향후에는 천연물 클러스터 가치 사슬의 완성형으로 160억 상당의 '천연물 제제개발 생산시설' 사업을 기획하고 있어 장차 대한민국의 천연물 산업을 앞장서 견인할 것으로 예상 된다.

  • PDF

Antimicrobial Effects of the Extract of Galla rhois on the Long-term Swine Clinical Trial (양돈 임상 연구에 의한 천연물 오배자 추출물의 항균.항바이러스 효과 규명)

  • Lee, Hyun-A;Hong, Sun-Hwa;Han, Sang-Jun;Kim, Ok-Jin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28 no.1
    • /
    • pp.1-6
    • /
    • 2011
  • We are aim to evaluate antimicrobial effects of the extract of Galla rhois (GR) on the health status and performance of growing and finishing pig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growing and finishing pigs (n = 200) for 130 days in a swine husbandry. The animals were divided with two groups; GR treated group (n = 100) and commercial diet feeding group (n = 100). GR treated animals had provided with commercial diet adding the extract of GR as 0.2%. During the study period, we compared clinical signs, weight increase rate, diet consumption amount, fecal scores, gross findings, necropsy findings, histopathological findings between the treated group and non treated group. After necropsy, bacteria isolation and PCR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the clinical samples. As the results of this long-term clinical trial, GR showed the antimicrobial effects on respiratory disease and diarrhea. We were identified that GR had the anti-bacterial and anti-viral effects.

Developmental process of Natural Medicine (천연물의약품 개발프로세스)

  • You, Hyeon-Soo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2.05a
    • /
    • pp.6-6
    • /
    • 2012
  • 천연물의약품은 식물, 동물, 미생물 및 이의 세포내용물과 광물 등 자연계에 존재하는 물질을 의약품으로 사용한 것으로 말하며, 이들 중 대부분은 식물 유래이다. 식물추출물은 다양한 성분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혼합되어 있는 형태로 다양한 질환에 대한 조합치료 (combination therapy)에 이용될 수 있어, 생체내에서 다중 타겟에 영향을 미치므로 천연물의 조추출물 (crude extract) 또는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용매분획물의 형태를 의약품으로 개발하거나, 이로부터 분리된 단일 성분 화합물 및 이의 합성유도체에 대하여 새로운 의약품, 즉 신약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2011년 현재 전체의약품 시장에서 천연물의약품 및 천연물유래 의약품이 약 6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천연물의약품 즉, 천연물신약의 개발은 2010년 기준으로 식약청 임상허가 신청현황에서 70%가 관절염과 관련된 의약품일 정도로 고령화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의 개발방향과 일치되고 있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어 다양한 질환을 타겟으로 한 의약품의 개발이 미흡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천연물신약개발에 대한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의 부족으로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시사하며, 따라서 천연물신약허가에 필요한 제출자료 및 각 자료생산을 위한 방법 등 천연물신약 개발 및 허가를 위한 프로세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 PDF

여류과학자 - 서울대 천연물과학연구소 '윤혜숙 교수'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0 no.6 s.337
    • /
    • pp.68-69
    • /
    • 1997
  • 천연물을 이용한 신약개발을 위해 24년동안 서울대 천연물과학연구소에 몸담고 있는 홍일점 연구원 윤혜숙교수. 윤교수는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한약재로 병을 고쳐 왔기 때문에 천연물에 대한 자료와 정보가 많아 신약개발이 매우 희망적이다"라고 말한다.

  • PDF

The development of the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for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packing pepper powder (포장 고춧가루제품의 품질 향상을 위한 천연 항균 물질 개발)

  • Woo, Na-Ri-Yah;Lee, Eun-Sang;Kim, Young-Ae;Kim, Bo-Kyung;Kim,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1017-1020
    • /
    • 2010
  • 최근 국산 농산물의 수요급증과 더불어 소비자들은 안전한 제품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맞는 제품 개발의 일환으로 미생물 제어가 된 고춧가루 포장제품의 품질향상을 위한 천연항균 물질 소재를 탐색하여 제품개발에 응용하였다. 천연물과 한방재료 중 고춧가루 제품에 적합한 소재를 스크리닝하여 항균물질을 탐색하였으며 고춧가루 제품 패킹에 응용하였다. 천연물 항균제의 개발 원칙은 산취 등 이취가 없어야 하며, 제품에 응용할 수 있는 용해성이나 믹싱의 효과를 높이도록 공정을 최적화 하였다. 또한 최종 천연물 항균제의 형태는 분말 형태로 개발하였다. 천연물에 대한 항균활성은 paper disk test를 통하여 비교하였으며, 항균력이 가장 우수한 소재는 황금추출물이었다. 또한 이들 추출물과 비타민 $B_1$ 인산염의 영향을 함께 비교하였다. 이 천연물 소재 추출물로 개발한 항균물질에 대한 효과는 일반세균, 대장균 검사를 실시하였다. 제품의 안정성 확보 및 유통기한 연장 가능성을 실험한 결과, 일반세균은 $1.0{\times}10^5$cfu/g, 대장균군은 $1.0{\times}10^2$cfu/g, 대장균은 불검출 되었다. 이들 추출물의 항균제 개발과 더불어 다양한 식품에 천연물 항균제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며, 안전한 천연 항균제 개발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기초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 PDF

Trends in Extraction Research and Types of Natural Substances Used for Skin Aging Prevention (피부노화 방지에 이용되는 천연물의 종류 및 추출연구 동향)

  • Ho Seok Kwak;Youngsang Chun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9 no.2
    • /
    • pp.115-125
    • /
    • 2024
  •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nd growing interest in skin beauty, alongside specialized scientific examination of natural substances, have led to a rise in the utilization of natural material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types of natural substances, the functionality of extracts, and extraction technologies based on the literature that utilizes natural ingredients to mitigate skin aging. To directly assess the impact of functional material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on skin aging mitigation, the functionality of the extracts was determined based on their ability to synthesize Procollagen and reduce MMP-1. Each natural product is categorized into plants, herbal medicines, and microalgae in the literature utilizing the above evaluation methods. This paper describes the extraction technologies for securing functional materials from each ingredient and the main outcomes, providing trends in research on extraction technologies for functional materials aimed at alleviating skin aging

Quality Control for Preparation of Natural Animal Drugs Determination and Identification of Deer Horn Preparation by HPLC and GC (동물성 천연물 약품 제조의 품질 관리 HPLC 및 GC에 의한 녹용제제의 확인 및 정량법 -천연물 약품의 품질 관리-)

  • 박만기
    • YAKHAK HOEJI
    • /
    • v.26 no.3
    • /
    • pp.157-161
    • /
    • 1982
  • 최근 천연물 의약품의 양약제제화와 더불어 그제제의 확인및 함량검토를 위한 공정법이 날로 그 필요성을 더해 가고 있다. 천연물 의약품은 일반 양약제제와는 달리 그 조성이 복잡하고 대부분은 그 성분조차 파악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더구나 일부 그 조성이 밝혀진 천연물조차 그 품종, 부위, 또는 산지등에 따라 조성이 매우 다양하므로 함량을 검토하는데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연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법의 하나로 녹용제제를 대상으로 그 확인 및 함량 시험법을 연구하였다. 녹용은 아직까지 그 유효성분리 확실히 밝혀진 바가 없으므로 본 실험에서는 녹용중 amino acid의 pattern분석 및 glycine의 함량을 검토함으로써 확인 및 정량법을 연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