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수

Search Result 879,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n Efficient 2D Model with Modified Shallow Water Equations for Urban Flood Inundation (수정 천수방정식을 적용한 효율적인 2차원 도시침수 해석 모형)

  • Kim, Byung Hyun;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5-45
    • /
    • 2015
  • 고전전인 천수방정식을 적용한 도시침수 해석모형에서 건물의 영향을 고려한 정확한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고해상도 격자가 요구되며 이는 계산시간의 증가가 야기된다. 고전 천수방정식을 적용한 도시침수해석 모형의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에 존재하는 건물 체적에 레이놀즈 이송이론을 적용한 수정 천수방정식을 제안하고, 제안 천수방정식을 이용한 효율적인 2차원 도시침수해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도시지역의 침수 모델링을 위해 고전 천수방정식은 건물을 고려하기 위해 고해상도 격자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수정 천수방정식은 건물의 영향을 매개변수화함으로서 저해상도 격자의 사용에도 고전 천수방정식과 유사한 정확도를 얻을수 있다. 건물의 영향을 매개변수화하기 위해서는 건물로 인한 저류와 흐름방향의 변화를 지배방정식이 고려할 수 있도록 수정하였다. 즉. 수정 천수 방정식은 고전 천수방정식을 기본으로 하여 건물의 저류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각 계산격자에 적용되는 체적 매개변수와 건물의 흐름방향을 고려하기 위해 흐름방향과 직각방향에 위치한 선분(격자를 구성하고 있는 경계선)에 적용되는 면적 매개변수가 추가된다. 수정 천수방정식을 검증하기 위해 개발모형을 건물이 균일하게 위치한 실험하도와 비균일하게 위치한 실험하도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고전 천수방정식을 사용한 계산결과 및 계산시간과 비교함으로서 개발모형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for Shallow-water Flow with Wetting and Drying over Paraboloidal Topography (천수 흐름에 의한 포물면 지형의 잠김과 드러남에 대한 수치모의)

  • Hwang, Se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22-322
    • /
    • 2017
  • 천수 흐름에 대한 수치해석에서 매우 작은 수심의 발생은 해가 불안정해지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경사면이 잠기고 드러나는 그 전선에서 그 현상은 더욱 두드러질 수 있다. 특히, 지배 방정식이 보존형으로 기술되는 경우, 흐름률이나 생성항의 계산에서 수심에 의한 나눗셈이 불가피하므로 보존변수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이 해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관건이 된다. 이러한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수치해법으로 흐름률을 정확한 계산할 수 있는 Riemann 해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생성항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도록 계산 격자를 적절하게 구성하고 그 격자가 완전히 잠기지 않을 경우에 대해 물리적으로 타당하게 처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흐름률의 계산에 근사 Riemann 해법을 적용하여 포물면 지형을 지나는 천수 흐름에 대해 모의하였다. 1981년에 W. C. Thacker는 회전 포물면 위의 천수 문제에 대해 천수방정식의 정확해를 처음으로 유도하였다. 이 문제는 지형의 잠김과 드러남이 다수의 계산 격자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천수흐름의 수치 모의에서 극도로 혹독한 조건의 시험으로 알려져 있다. 회전 포물면 위의 천수 문제에 대해 근사 Riemann 해법에 따른 자료의 재구축 방법, 잠김과 드러남의 처리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 PDF

Appling Multi-dimensional Limiting Process (MLP) to shallow water flow simulation (MLP 기법을 이용한 천수흐름 수치모의)

  • An, Hyun-Uk;Yu, Soo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37-537
    • /
    • 2012
  • 천수방정식의 수치모형은 하천의 유량예측, 홍수범람해석, 해일 모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고, 그 결과는 수자원 관리, 재난 대책 등 정책적인 의사결정에 있어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천수방정식의 수치모형은 연구목적뿐만 아니라 실생활에 있어서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에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수치모형의 구축이 수리/수자원/방재분야에서 중요한 영역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정확하고 안정적인 수치모의를 위해 천수방정식의 수치모형에 MLP(Multi dimensional Limiting Process)기법을 적용한 후 다차원 모의 시 MLP의 수치 진동 제어 성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MLP기법은 다차원에서 수치진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개발된 기법으로, 기존 TVD 제어자(limiter)과 MLP의 차이점은 기존 제어자들이 흐름이 발생하는 셀 경계면에서 재구성된 값이 Maximum Principle을 만족시키도록 제어자를 유도하는데 반해, MLP는 셀 절점에서 Maximum Principle을 만족시키도록 제어자를 유도한다는데 있다. MLP기법은 압축성 유체를 표현하는 2, 3차원 오일러 방정식에 적용되어 기존의 제어자들에 비해 안정적이며 정확한 수치모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검증되었다. 하지만 천수방정식에 적용된 예는 없으며, 이에 본 연구는 천수방정식에 MLP를 적용하고 천수방정식 수치모형 검증에 주로 사용되는 수치모의를 통해 MLP의 수치 진동 제어 성능을 검증하였다. 모의 결과, MLP는 2차원 천수방정식에 있어서도 기존의 제어자들과 비교하여 수치진동을 보다 잘 제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MLP의 사용으로 인해 불연속면 근처에서 정확도가 향상되었고 수치진동이 발생하지 않아 보다 안정적인 모의가 가능하였다.

  • PDF

Urban Flood Modeling with Anisotropic Porous Shallow Water Model (비등방 다공성 2차원 천수모형을 적용한 도시홍수 모델링)

  • Kim, Byunghyun;Kim, Hyun Il;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14-414
    • /
    • 2020
  • 고전 천수방정식을 적용한 2차원 도시홍수 모델링에서는 지형의 정확한 반영을 위해 고해상도 격자가 요구되며 이는 많은 계산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최근에는 다공성 천수방정식을 적용한 도시홍수해석으로 많은 계산 노력이 요구되는 도시홍수모델링의 한계를 극복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도시 홍수에서 흐름이 공간적으로 변화할 때 불균일 공극이 존재하므로 격자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이러한 불균일성을 해결하고자 하는 등방성 천수모형의 적용에서 시작되었다. 하지만, 등방성 공극을 고려한 도시홍수 해석모형은 대표요소체적(REV)보다 더 큰 격자의 적용을 해야 하는 제한성을 가진다. 반면, 비등방성 공극은 대표요소체적의 적용이 필요하지 않아 불균일 공극의 크기에 관계없이 이론상으로는 동일한 해상도의 격자가 사용가능하긴 하지만, 실제 도시홍수 해석에서 중요하면서도 도전적인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홍수의 효율적 계산을 위해 비등방성 공극을 고려한 적분형 다공성 천수방정식을 기반으로 하는 2차원 도시홍수 해석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의 개발을 위해, 적용 격자내에서 도시지역의 건물이 차지하는 길이 및 면적을 산정하고 그 값을 2차원 천수방정식에 적용 가능하도록 체적공극(𝜙j)와 면적공극(𝜓k)을 2차원 고전 천수방정식에 추가하였다. 개발모형은 고전 천수방정식, 등방성 공극 고려(미분형 다공성) 천수방정식 및 비등방성 공극 고려(적분형 다공성) 천수방정식의 적용이 가능하여, 각 모형에 적합한 2차원 격자 생성, 각 모형의 매개변수를 보정 그리고 정확성, 효율성, 적용성이 비교 가능하다. 각 모형의 정확성과 효율성 비교를 위해 3가지의 오차 비교 (구조적 오차, 격자크기 오차, 공극 모형 오차), 계산시간 비교, 공간 변동성 검증을 위한 수심 종단형상 비교하였다.

  • PDF

제주도 조간대 내 용천수에서의 조석의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Tae-Hui;Kim Gu-Yeong;Jeon Cheol-Min;Mun Deok-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82-86
    • /
    • 2006
  • 조간대내 위치한 용천수에 해양의 조석이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제주도 북제주군 조천읍 내 4개의 용천수에 대해 장 단기 모니터링 및 현장 관측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는 만조 시 해수가 용천수의 유출구를 통해 역류하거나, 혹은 다른 경로를 통해 어느정도의 영향을 받는지를 검토하기 위한 것이었다. 조사 결과 용천수의 유출은 조석에 영향을 받고 있으나 - 용천수의 유출량은 해양의 조석에 따른 수위변화에 반비례 관계 (신흥큰물 제외) - 용천수로의 역류를 통한 영향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이러한 영향에 대해 정량적인 규명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엄밀한 조사가 요구된다.

  • PDF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pring Water in Halla Mountain Region, Cheju Island (한라산 지역 용천수의 수리지화학적 특성)

  • Youn, Jeung-Su;Park, Sang-Woo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1 no.1
    • /
    • pp.81-9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 of this study is of attitudi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for nine representative springs in the Halla mountain region. The evolutional processes of the spring water also have been studied. Results of hydrogeochemical analyses show that Gwaneumsa spring is very high in pH. The spring waters from Yungsil, Namguksunwon, Sungpanark Oremok and Gwaneumsa which springs situated lower than 1000m in altitude are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in chloride, sulphate, nitrate nitrogen and sodium ions, indicating that they are affected by surrounding pollution sources. The concentrations of bicarbonate, sulphate and hydrogen ions in spring waters increase when the precipitation increases, whereas the concentrations of nitrate nitrogen, chloride and calcium ions decrease with increasing amounts of precipitation. The magnesium, sodium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re nearly independent of the precipitation. The spring waters in the Halla mountain region belong to the groups of sodium or potassium type and bicarbonate type, except the Baegrogdam and Wiseorm spring water.

  • PDF

A Study on the Cheonsu-Temple天壽寺 and the echo verse poems to 'Waiting'待人 (천수사(天壽寺)와 <대인(待人)> 화운시 연구)

  • An, Soon-tae
    • Journal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Education
    • /
    • no.33
    • /
    • pp.121-15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the history of the Cheonsu-Temple天壽寺 and to describe the echo verse poem trend with regard to 'Waiting'待人 and why it is beautiful. The Cheonsu-Temple was located in the outskirts of Gaesung開城, the capital city during the Corea高麗 Dynasty. However, the temple was destroyed when the dynasty collapsed. Cheonsu-Station天壽院 was built amidst the temple ruins, as the temple was an important traffic point. The Cheonsu-Pavilion天水亭 was built in 1476 by Yi-Ye李芮 in the station's neighborhood. The station and the pavilion were completely ruined during the 17th century. Many poets visited the Cheonsu-Temple and composed poems in the latter part of the Corea Dynasty. 'Waiting'待人, written by Choi-Sarip崔斯立, -is the most famous work. Following this work, many poets composed echo verse poems 'Waiting' work that represented the anxiety of waiting for an old friend in front of the Cheonsu-Temple. The following is a highlighted verse: So many people who look like the old friend come to me, but it turned out no one was the man. This work is very picturesque. Over twenty echo verse poems 'Waiting' are categorized in three periods. They compared the "present" to the past by using the Zhenglingwei丁令威 origin from the former Joseon朝鮮 period. In the middle of Joseon period, Jungjong中宗 visited Cheonsu-Station and composed an echo verse poem 'Waiting'. The official literaries also composed poems there. In their works, they presented the collapse of the Corea Dynasty as inevitable and the construction of Joseon Dynasty as something reasonable. Cheonsu-Station was ruined in 17th century, followed after by the ruin of the Cheonsu-Pavilion. It appears that the echo verse poems to 'Waiting' in the latter Joseon period represented the ruin of the Cheonsu-Temple, the Cheonsu-Station, and the Cheonsu-Pavilion.

Elliptic Numerical Wave Model Solving Modified Mild Slope Equation with Nonlinear Shoaling and Wave Breaking (비선형 천수와 쇄파를 고려한 수정완경사방정식의 타원형 수치모형)

  • Yoon, Jong-T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1 no.1
    • /
    • pp.39-44
    • /
    • 2009
  • To improve the accuracy of numerical simulation of wave trans- formation across the surf zone, nonlinear shoaling effect based on Shuto's empirical formula and breaking mechanism are induced in the elliptic modified mild slope equation. The variations of shoaling coefficient with relative depth and deep water wave steepness are successfully reproduced and show good agreements with Shuto's formula. Breaking experiments show larger wave height distributions than linear model due to nonlinear shoaling but breaking mechanism shows a little bit larger damping in 1/20 beach slope experiment.

A Study on Estimation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Distribution area using IR camera and Field survey around Jeju island (열화상카메라와 현장조사를 이용한 제주 주변 해역의 해저 용천수 분포 지역 추정 연구)

  • Park, Jae-Moon;Kim, Dae-Hyun;Yang, Sung-Kee;Yoon, Hong-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0 no.8
    • /
    • pp.861-866
    • /
    • 2015
  • This study was aimed to detect area of Submaine Groundwater Discharged(: SGD) around Jeju island using by remote sensing. Sea Surface Temperature(SST) was identified using IR camera on Unmaned Aerial Vehicle(UAV) at Gimnyeong port in study area. Then SGD location was detected by comparing range of SGD temperature. Generally, range of SGD temperature is distributed 15 to 17 like underground water. The result, SGD location was detected by SST distribution of Gimnyeong port recorded by IR camera in the southwest of study area.

KVLCC2의 천수역에서의 자세변화에 대한 실험적 연구

  • Yun, Geun-Hang;Yeo, Dong-Jin;Park, Byeo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85-87
    • /
    • 2013
  • 깊이가 제한된 천수역을 운항하는 선박의 경우, 선저면의 동유체력변화로 인해 선박의 흘수가 증가하는 스쿼트 현상이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KVLCC2선형을 대상으로 H/T(Depth/Draft) = 2.0, 1.5, 1.2의 천수조건에서 모형선의 속도변화, 프로펠러 유무에 따른 모형선박의 상하동요, 종동요 자세변화를 계측하였다. 또한 계측된 모형선의 상하동요변화는 Tuck/Huuska, Barrass 2, Eryuzlu 등의 경험식에 따른 결과와 비교하여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