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천성산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41초

천성산 화엄늪의 형성과정 (Formation Processes of Hwaeomneup Wetland, Cheonseong Mountain)

  • 손명원;장문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04-214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2002년에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천성산 화엄늪의 형성과정을 밝혀 지속가능한 습지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퇴적물 주상 시료와 부식의 탄소연대측정 결과로 볼 때, 화엄늪 습지보호지역의 초지는 지난 빙기의 기후변화와 관련없이 주민들의 화전농업에 의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화엄늪은 천성산 정상부에 내린 강우가 지하로 침투하여 흐르다가 절리를 따라 능선 부분에서 용출하여 형성된 산지습지이다. 화엄늪 습지의 수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습지보호지역 남서부의 주능선에 밀생하는 숲을 유지하여야 하며, 습지 하류 말단부를 지지하는 계단상의 거력제(block dam)가 붕락되지 않도록 유지하여야 한다. 그리고 습지의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화엄늪 습지보호지역 내 지형과 수문변화를 측정하고 분석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천성산과 정족산 일원의 지질과 단열 분포 (Geology and Fracture Distribution in the Vicinities of the Cheonseong and Jeongjok Mountains)

  • 손문;김종선;황병훈;류충렬;옥수석;함세영;김인수
    • 지질공학
    • /
    • 제13권1호
    • /
    • pp.107-127
    • /
    • 2003
  • 경상남도 천성산과 정족산 일원을 대상으로 정밀 지질조사를 하여 지질구조와 단열 밀도분포 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양산단층과 동래단층에 평행하고 연속성이 좋은 우수향 주향이동단층(법기단층)과 이와 사교하는 북서방향의 우수향 횡인장성 단층 그리고 대, 소규모의 단속적인 단층들이 수 개 존재함이 추적, 확인되었다. 단열계는 주향 방향과 빈도수에 따라 북북동방향의 단열군 Jl($NS~40^{circ}E$), 서북서방향의 단열군 J2($N50^{\circ}~80^{\circ}W$), 동북동방향의 단열군 J3($N60^{\circ}~90^{\circ}$)로 구분된다. 단열 밀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Jl은 법기단층 우수향 주향이동단층 운동에 의한 Y-. P- 그리고 R-전단 단열들의 조합, J2 단열군은 화강암 마그마의 관입통로가 되었던 기존 단열대 또는 화강암 마그마의 관입과 지각융기로 인한 북북동-남남서방향의 지각 신장성 단열, 그리고 J3은 양산단층과 동래단층을 비롯한 북북동방향의 우수향 주향이동단층들 사이의 지괴에 만들어진 신장성 단열(T)들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결과는 연구지역에서 지하 구조물이나 터널 공사시에 환경피해를 줄이고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천성산 백악기 화산암류의 암석학적 연구(1) (Petrlolgy of the Cretaceous Volcanic Rocks in Cheonsungsan Area, Korea.)

  • 김진섭;선종규
    • 암석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08-120
    • /
    • 1996
  • 본역의 산성화산암류는 원효산응회암과 천성산응회암으로 구분되며 원효산응회암은 주로 라필라응회암, 유리질응회암이며 하부에는 용결구조가 현저하지 않고 상부의 층은 용결구조가 현저한 용결응회암이다. 천성산 응회암은 주로 결정질라필리응회암, 우리질응회암이며 하부에는 장석의 반정이 현저한 암색의 비용결응회암이며 상부의 담색의 응회암은 용결응회암이다. 주원소 산화물은 $SiO_2$에 대한 투영해 보면 거의 대부분 연속적인 변화 경향을 보이므로 본역이 화산암의 생성은 분별결정작용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본역의 화산암류의 주성분, 미량 원소 함량 조성 및 Ba/La비, La/Th 비 등은 조산대에서의 화산호의 판별비와 일치하며, 이중에서도 high-K suite에 속한다. Zr-Th-Nb 지구조 판별도에서 본역의 화산암류들은 지판이 침강 섭입하는 지판 경계부(destructive plate margin)에서 생성된 마그마로부터 유래한 화산암류의 조구적 위치 영역에 도시가 된다. 본역의 화산암류를 형성한 마그마는 맨틀에서 기원하여 해구로부터 비교적 떨어진 거리의 대륙 연안부에서, 섭입 침강하는 해양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 PDF

미국의 PI제도 및 국내도입 방안 (Overview of PI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and its Application to Korea)

  • 김태완;윤성순;권영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7-64
    • /
    • 2005
  • 최근 들어 경부고속철도 천성산 구간, 외곽순환도로 사패산터널 등 주요 국가건설사업이 주민 또는 환경단체의 반대로 지연되거나 표류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한국사회의 민주주의 발달, 주민의 참여의식 강화, 환경에 대한 관심 증대 등을 고려할 때 이러한 분쟁이 발생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수도 있으나 분쟁의 장기화에 따른 사회적 비용의 증대, 집단간의 갈등심화를 고려할 때 분쟁요인을 사전에 해결하고 국가건설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보다 한발 앞서 이러한 갈등을 경험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주민참여 제도를 활발히 운영하고 있는 미국의 PI제도의 기법들을 살펴보고 이와 비교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주민참여제도의 미비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경상남도 양산시 주요지역의 관속식물상과 관리방안 - 천태산, 낙동강습지, 법기수원지, 양산천, 천성산을 중심으로 - (Management Plan and Vascular Plants in the Major Sites of Yangsan-si, Gyeongsangnam-do - Focusing on Mt. Cheontae, Nakdong River Wetland, Beopki Catchment, Yangsan Stream and Mt. Cheonseong -)

  • 오현경;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5-10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conserving the biodiversity of urban ecosystem by objective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major sites of Yangsan-si, Gyeongsangnam-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522 taxa including 110 families, 314 genera, 459 species, 4 subspecies, 46 varieties and 13 forms. The rare plants were 5 taxa including Aristolochia contorta, Drosera rotundifolia, Potentilla discolor, Viola albida and Hydrocharis dubia. The endemic plants were 13 taxa including Salix koriyanagi, Carpinus laxiflora, Stewartia pseudocamellia, Weigela subsessilis and so forth.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30 taxa including Caltha palustris, Caryopteris incana, Ilex macropoda, Monochoria korsakowii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4 taxa including Phytolacca americana, Lepidium virginicum, Solanum americanum, Aster subulatus var. sandwicensis, Panicum dichotomiflorum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5 taxa including Sicyos angulatus, Ambrosia artemisiifolia, Ambrosia trifida, Aster pilosus and Paspalum distich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