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부상

Search Result 10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온양 지역 온천수의 수질 특성 : 천부 지하수와 혼합 비율 분석

  • 정복선;구민호;김형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9a
    • /
    • pp.199-203
    • /
    • 2001
  • 온양온천지구의 13개 온천공에서 채취한 온천수의 수질 자료를 이용하여 심부 온천수와 천부 지하수의 혼합비를 추정하였다. 온천수의 pH, EC, 및 주요 이온의 농도는 40~54$^{\circ}C$의 범위를 나타내는 온천수의 온도와 뚜렷한 선형의 비례관계를 나타내며, 수온이 낮아질수록 천부 지하수의 수질 특성에 가까워지는 특성을 보인다. pH, $K^{+}$, F$^{-}$, 및 Si는 온도와 정(+)의 비례관계를, $Ca^{2+}$, $Mg^{2+}$, Cl$^{-}$, HCO$_3$$^{-}$, SO$_4$$^{2-}$ , NO$_3$$^{-}$ 및 EC는 부(-)의 비례관계를 나타낸다. 온천수의 온도와 수질과의 이러한 상관성은 수질 특성이 상이한 고온의 심부 온천수와 저온의 천부 지하수가 각 온천공에서 서로 다른 비율로 혼합되어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최고 온도를 나타내는 온천수와 온천지구 내 지하수의 수질을 끝 성분(end member)으로 가정하고 혼합비를 계산한 결과, 온천지구에서 현재 채수되는 온천수에는 20% 내외의 천부 지하수가 혼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천수와 지하수의 수질 자료를 파이퍼 다이어그램에 도시한 결과 $Na^{+}$-HCO$_3$$^{-}$의 유형을 나타내는 13개 온천수는 전체적으로 직선 상에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Ca^{2+}$-HCO$_3$$^{-}$의 유형을 나타내는 지하수는 직선의 연장선상에 분포하여 온천수와 지하수의 혼합이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온천공 수질 검층 결과, 심도 145m를 경계로 지하수와 온천수가 상하부에 부존되어 있으며, 경계부에서 혼합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석회석 자원 탐사 및 개발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통합 층서적 접근

  • 유인창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10a
    • /
    • pp.69-92
    • /
    • 2002
  • 비금속 및 금속 광물자원의 탐사는 국가경영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공공의 기반산업에 해당된다. 지금까지 수행되어 왔던 자원 탐사사업의 대부분은 비교적 개발이 용이한 천부 광상들에 집중되어 왔으며, 천부 광상들의 과도한 개발로 인하여 자원탐사의 범위가 점차 심부화 되고있는 실정이다. 지하 심부에 분포하는 광상들을 효율적으로 탐사해 내기 위해서는 분지 내 심부 퇴적층들에 대한 정밀한 대비와 평가가 요구된다. 그러나, 그 동안 천부 광상들의 평가에 적용되어 왔던 기재적 층서 원리들로는 심부에 분포하는 광상들을 도출해 내는데 한계가 있어 왔다. 따라서, 분지 내 퇴적층들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를 위해 새로운 고해상도의 층서틀 수립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태백산분지 오오도비스 중기 퇴적층들에 대한 통합 층서적 접근을 통하여 고해상도 층서틀 수립에 대한 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통합 층서적 접근은 퇴적 분지의 지체 구조적 진화에 따른 층서를 규명하는데 있어서 보다 나은 통찰을 제공하고 있으며, 아울러 분지 내 비금속 및 금속 광물자원 탐사 및 개발사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통합 층서적 접근을 통한 퇴적층들에 대한 고해상도 층서틀 수립은 분지 내에 부존 되어 있는 모든 형태의 자원 탐사 및 개발사업에 있어서 성공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층서적 규범으로 강조되어 져야 한다.

  • PDF

석회석 자원 탐사 및 개발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통합 층서적 접근

  • 유인창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2.10a
    • /
    • pp.69-92
    • /
    • 2002
  • 비금속 및 금속 광물자원의 탐사는 국가경영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공공의 기반산업에 해당된다. 지금까지 수행되어 왔던 자원 탐사사업의 대부분은 비교적 개발이 용이한 천부 광상들에 집중되어 왔으며, 천부 광상들의 과도한 개발로 인하여 자원탐사의 범위가 점차 심부화 되고있는 실정이다. 지하 심부에 분포하는 광상들을 효율적으로 탐사해 내기 위해서는 분지 내 심부 퇴적층들에 대한 정밀한 대비와 평가가 요구된다. 그러나, 그 동안 천부 광상들의 평가에 적용되어 왔던 기재적 층서 원리들로는 심부에 분포하는 광상들을 도출해 내는데 한계가 있어 왔다 따라서, 분지 내 퇴적층들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를 위해 새로운 고해상도의 층서틀 수립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태백산분지 오오도비스 중기 퇴적층들에 대한 통합 층서적 접근을 통하여 고해상도 층서틀 수립에 대한 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통합 층서적 접근은 퇴적 분지의 지체 구조적 진화에 따른 층서를 규명하는데 있어서 보다 나은 통찰을 제공하고 있으며, 아울러 분지 내 비금속 및 금속 광물자원 탐사 및 개발사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통합 층서적 접근을 통한 퇴적층들에 대한 고해상도 층서틀 수립은 분지 내에 부존 되어 있는 모든 형태의 자원 탐사 및 개발사업에 있어서 성공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층서적 규범으로 강조되어져야 한다.

  • PDF

지하투과레이다(GPR)를 활용한 천부 충적 대수층 퇴적상 연구

  • 김형수;이철우;백건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144-147
    • /
    • 2002
  • 효과적인 국내 충적층 지하수의 이용을 위해서는, 충적 대수층의 내부 구조를 정밀하게 평가하여야 한다. 특히, 강변여과, 인공 침투지 등의 적극적인 충적 대수층의 활용을 위해서는 충적 대수층의 퇴적 환경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국내 충적층의 대부분은 하천 둔치 주변에서 하도의 수평 이동에 의해 형성된 경사 지층으로, 니질 박층이 협재하므로 내부의 분균일성에 의해 인접한 취수 공간에도 지하수체의 이동 특성 및 화학적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불균질성을 박히기 위해 지하투과레이다(GPR)를 이용하여 부여 군수리 지역의 천부 충적층에 대한 퇴적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군수리 지역은 크게 상하 두 개의 충적층으로 구분되며, 상부 수평층은 범람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수직 불균질성이 크고 수평 불균질성은 낮다. 하부 경사층은 수평, 수직 불균질성이 모두 크다. 특히 하부 경사층내에 발달한 하도곡은 인접한 충적층과 분리되어 이 층내의 지하수체 이동은 제한적일 것이고 수질 특성 또한 크게 다를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충적 대수층에 대한 물리 화학적 특성의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 퇴적학적 해석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PDF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as Hydrate Layers Distributed in the Southern Ulleung Basin, the East Sea (동해 울릉분지 남부해역에 분포하는 가스 하이드레이트층의 특성 연구)

  • Huh Sik;Yoo Hai-Soo;Kim Han-Joon;Han Sang-Joon;Lee Yong-Kuk
    • The Korean Journal of Petroleum Geology
    • /
    • v.10 no.1_2 s.11
    • /
    • pp.18-22
    • /
    • 2004
  • To identify and interpret the distribu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s hydrate layers in the Ulleung Basin, we have surveyed and gathered the multi-channel seismic data, Chirp sub-bottom profiler, SeaBeam and 12 m piston core samples since 1996. In previous works, high-resolution seismic profiles showed acoustic anomalies such as acoustic void, acoustic turbidity and pock mark which indicate the presence of gas-charged sediments. The patterns of horizontal degassing cracks originated from free methane expansion is the strong indicator of shallow gas-charged sediments in the core samples. The observation of submarine slides and slumps from destabilizing the sediment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Ulleung Basin may also point out that the gas had been released from gas hydrate dissociation during lowstand of sea level. The multi-channel seismic data show BSR, blanking and phase reversal. The gas hydrate layers above which large-scale shallow gases are distributed exist at the depth of about 200 m from the sea-floor with water depth of 2,100 m. From the interpretation of seismic sections in the southern Ulleung Basin, gas hydrate layers occur in the Pleistocene-Holocene sediments. These gas-charged sediments, acoustic anomalies and BSR may be all related to the existence of gas hydrate layers in the study area.

  • PDF

High-resolution Seismic Imaging of Shallow Geology Offshore of the Korean Peninsula: Offshore Uljin (신기 지구조운동의 해석을 위한 한반도 근해 천부지질의 고해상 탄성파 탐사: 울진 주변해역)

  • Kim, Han-Joon;Jou, Hyeong-Tae;Yoo, Hai-Soo;Kim, Kwang-Hee;You, Lee-Su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4 no.2
    • /
    • pp.127-132
    • /
    • 2011
  • We acquired and interpreted more than 650 km of high-resolution seismic reflection profiles in the Hupo Basin, offshore east coast of Korea at $37^{\circ}N$ in the East Sea (Japan Sea) to image shallow and basement deformation. The seismic profiles reveal that the main depocenter of the Hupo Basin in the study area is bounded by the large offset Hupo Fault on the east and an antithetic fault on the west; however, the antithetic fault is much smaller both in horizontal extension and in vertical displacement than the Hupo Fault. Sediment infill in the Hupo Basin consists of syn-rift (late Oligocene. early Miocene) and post-rift (middle Miocene.Holocene) units. The Hupo Fault and other faults newly defined in the Hupo Basin strike dominantly north and show a sense of normal displacement. Considering that the East Sea has been subjected to compression since the middle Miocene, we interpret that these normal faults were created during continental rifting in late Oligocene to early Miocene times. We suggest that the current ENE direction of maximum principal compressive stress observed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ssociated with the motion of the Amurian Plate induces the faults in the Hupo Basin to have reverse and right-lateral, strike-slip motion, when reactivated. A recent earthquake positioned on the Hupo Fault indicates that in the study area and possibly further in the eastern Korean margin, earthquakes would occur on the faults created during continental rifting in the Tertiary.

Shallow Geological Structure of the Yongil Bay, Southeast Coast of Korea (한국 남동부 영일만의 천부 지질구조)

  • Choi Dong-Lim;Kim Seong-Ryul;Suk Bong-Chool;Oh Jae-Kyung
    • The Korean Journal of Petroleum Geology
    • /
    • v.1 no.1 s.1
    • /
    • pp.53-62
    • /
    • 1993
  • The geologic structure of the Yongil Bay was studied in detail based on high resolution seismic profiles. The seafloor trends NE to SW with a deeper part off the Kuryong Peninsula. The seafloor is rather smooth due to the Quaternary fluvial deposits in the lower part and muddy sediments in the upper part. The seafloor off Umockri is very irregular due to erosion where Tertiary sedimentary rocks crop out. The underlying basement rocks were strongly deformed with faults and folds. High-angled reverse faults mostly trend N-S and NNW-SSE and are indicative of westward thrusting. Normal faults in NW-SE and WNW-ESE directions occur locally. Large folding structures trend NE-SW nearshore area of Umockri. The geologic structure suggests that the bay was subject to compressional stress regimes trending E-W and/or NW-SE prior to the early Late Miocene.

  • PDF

Characteristics of Manganese Nodule Distribution Pattern using Sub-bottom Profile and Deep Tow Imaging System Data (천부지층자료와 심해영상자료를 활용한 망간단괴 분포 특성 연구)

  • Ko, Young-Tak;Park, Cheong-Kee;Kim, Jong-Guk;Lee, Tae-Gook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9 no.4
    • /
    • pp.427-441
    • /
    • 2006
  • Sub-bottom profiler and deep tow imaging system were performed in the KODOS (Korea Deep Ocean Study) area in order to find out controlling factor in nodule formatio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on of Mn nodules and micro-scale topographic change. Although abundance of r- and t- types nodules increase on the seafloor of thin upper transparent layer,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thickness of upper transparent layer and total nodule abundance in the study area. Our results show that distribution pattern of nodule, including abundance, continuity, and facies, can vary with small scale in similar abyssal plain.

  • PDF

A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 of Near Surface Inhomogeneity on Rayleigh Wave Propagation and Dispersion (천부 불균질대에 의한 레일리파 전파 및 분산특성 고찰)

  • Lee, Sang-Min;Park, Kwon-Gyu;Byun, Joong-Moo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9 no.2
    • /
    • pp.148-154
    • /
    • 2006
  • The effect of small-scale near surface inhomogeneity on Rayleigh wave propagation and dispersion has been investigated in this study using two-dimensional FEM elastic modeling. Various inhomogeneity models with a variety of geometrical shape and embedment depth which exist in homogeneous half-space and two-layered media are considered. Results show that any near surface inhomogeneity greater than one wavelength in terms of minimum wavelength of Rayleigh wave shows dispersion characteristics. Such dispersion effect become stronger as the dimensions of the inhomogeneity increase. The effect of horizontal dimension is more dominant factor governing the dispersion characteristics than vertical dimension. However, the dispersion effect can not be identifiable in seismogram if the horizontal dimension is not wide enough. Nonetheless, even in this case, the existence of inhomogeneity can be inferred by the reflection or transmission event of Rayleigh wave. The results can be expected to provide insights on the behavior of Rayleigh wave which may be helpful for designating field work or new processing scheme to detect near surface inhomogeneity by surface wave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