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문 개념

Search Result 10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and Organization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stronomical Spatial Concept (천문학적 공간 개념 측면에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내용 및 조직의 특징 탐색)

  • Yu, Eun-Jeong;Park, Kyeong-Jin;Jung, Chan-Mi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0 no.4
    • /
    • pp.480-497
    • /
    • 2021
  •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content and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in the astronomical domain from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the astronomical spatial concept. This study analyzed the relevant unit of the achievement criteria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the 'space' domain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in comparison with that in secondary school textbooks according to the spatial concept analysis criteria by texts, illustrations, and inquiry activities. As a result,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were found to be organized around phenomena rather than concepts, targeting observable celestial bodies linked to real life in order to optimize the amount of learning content. However, the learning contents of astronomical observation related to observation and phenomena-centered real life should stimulate the curiosity and imagin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encourage their intellectual participation. Students need to be supported for understanding of the spatial concept to find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why'. The content organization for core concepts should be organized around the transferable spatial concept rather than simply focusing on presenting results by accurately describing the phenomena observed by students through scientific practice in order for students to answer various questions that arise in the course of scientific practic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astronomical STEAM program for Science Culture and Creative Education

  • Kim, Harim;Kim, Hyoungbum;Sul, Ah-Chim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2
    • /
    • pp.73.3-73.3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PEST 방법론을 적용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대한 효과성을 알아보는 창의교육을 위한 연구이다. 특히, 이 연구는 과학문화 소외지역에 대한 이동천문대 활용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에 대한 학생들의 수업효과 및 만족도를 알아보는 연구로, 과학 문화에 소외된 지역의 학생들에게 천문에 대한 흥미를 주어 향후 천문과학의 올바른 과학적 개념을 이해하고 미래 직업으로서 천문관련 분야에 관심을 갖도록 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STEAM 프로그램은 관련분야 전문가 5명이 한국천문연구원을 통해 이동천문대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PEST 방법론 적용 및 소외지역에 대한 현장 적합성 연구를 5회의 워크숍과 전문가 타당화회의와 Pilot test를 통해 최종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STEAM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된 이동천문대는 모든 학생들에게 천문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이 프로그램은 총 11시간의 PEST 방법을 적용한 프로그램으로, '상황제시 1차시, 감성적 체험 5차시, 창의적 설계 5차시로 구성되어 과학문화 소외지역 학생들에게 높은 수업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PEST 방법을 적용한 이동천문대 STEAM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천문과학에 대한 과학적 소양과 과학적 본성을 불러일으키는데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사료되며, 추후 연구에서 다양한 학년과 지역 및 위계에 따른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될 필요가 있다.

  • PDF

The Role of Planetariums in Astronomy Education (천문학 교육에서 천체투영관의 역할)

  • Kim, Wansoo;Shim, Hyunji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2 no.1
    • /
    • pp.48.2-48.2
    • /
    • 2017
  • 올해는 1967년 광화문 우체국에 설치된 천체투영관을 시작으로 국내에 천체투영관이 도입된 지 50주년이 되는 해이다. 지방자치제의 시행과 더불어 디지털 투영기가 보급되면서 국내 천문시설은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고, 현재 국내에는 약 80곳의 천체투영관이 있으며 연간 약 250만명이 방문하는 인기 있는 천문시설 중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다. 하지만 현재의 천체투영관은 영상물 상영 위주의 운영이 주를 이루고 있고 교육 시설로의 활용은 부족한 편이다. 반면 해외에서는 1960년대부터 학교와 지역사회에서 천체투영관을 활용한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천체투영관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천문학적 개념 형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발표에서는 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천체투영관을 활용한 다양한 방식의 연구방법과 사례를 살펴보고 현재 국립대구과학관에서 개발하여 운영 중인 프로그램과 활용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K-GMT 2012

  • Park, Byeong-Gon;Kim, Yeong-Su;Gyeong, Jae-Man;Cheon, Mu-Yeong;Kim, Sang-Cheol;Yun, Yang-No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1
    • /
    • pp.62.2-62.2
    • /
    • 2012
  • 한국천문연구원의 대형광학망원경 개발사업(K-GMT)은 거대마젤란망원경(GMT; Giant Magellan Telescope)의 지분 10% 확보를 목표로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수행하고 있는 사업이다. 2011년 GMT 프로젝트에서는 1세대 후보관측장비 개념설계검토회의 수행, 첫번째 주경 최종 마무리, GMT 핵심연구주제 확정을 위한 활동을 수행하였다. 2012년에는 1세대 관측장비를 공식 선정 및 상세 설계 수행, GMT 자료처리센터 구축에 관한 개념설계, 연말로 예정된 GMT PDR 준비를 시작할 예정이다. 국내 사업에서는 GMT 핵심연구그룹 육성을 위하여 AAT 3.9m, CFHT 3.6m, Magellan 6.5m 망원경 활용 연구를 수행하였고 2012년에는 UKIRT 4m 등을 이용한 연구, 계절학교 개최등의 활동이 예정되어 있다. 부경개발분야에서는 시험모델에 대한 2011년 설계검토 및 제작준비완료검토에 이어 최종 시험을 실시할 예정이며 관측기기개발 분야에서는 GMT 1세대 관측장비 선정이 완료되면 본격적으로 기기개발에 참여할 예정이다.

  • PDF

K-GMT 2011 사업 현황

  • Park, Byeong-Gon;Kim, Yeong-Su;Gyeong, Jae-Man;Cheon, Mu-Yeo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2
    • /
    • pp.124.1-124.1
    • /
    • 2011
  • 한국천문연구원의 대형광학망원경 개발사업(K-GMT)은 거대마젤란망원경(GMT; Giant Magellan Telescope)의 지분 10% 확보를 목표로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수행하고 있는 사 업이다. 2011년 상반기 GMT에서는 1세대 관측장비 최종 선정 및 GMT 핵심연구주제 확정을 위한 활동을 수행하였다. 하반기에는 관측기기 선정 절차를 완료하고 GMT 자료처리센터 구축에 관한 개념설계를 시작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GMT 핵심연구그룹 육성을 위하여 AAT 3.9m 망원경을 이용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하반기에 CFHT 3.6m, Magellan 6.5m 망원경 활용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하반기 부경개발분야에서는 시험모델에 대한 기본 설계를 완료할 예정이며 관측기기개발 분야에서는 GMTNIRS 개념설계를 완료하고 GMT의 선정 심사를 받을 예정이다.

  • PDF

K-GMT 2011년 사업계획

  • Park, Byeong-Gon;Kim, Yeong-Su;Gyeong, Jae-Man;Cheon, Mu-Yeo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1
    • /
    • pp.75.1-75.1
    • /
    • 2011
  • 한국천문연구원의 대형광학망원경 개발사업(K-GMT)은 거대마젤란망원경(GMT; Giant Magellan Telescope)의 지분 10% 확보를 목표로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수행하고 있는 사업이다. 2010년에는 GMT 이사회 한국 개최, GMT 부경 시험 모델 설계, GMT 1세대 관측기기 후보로 선정된 GMTNIRS 개념설계연구 등을 수행하였으며 K-GMT 과학기기워킹그룹을 중심으로 거대망원경 여름학교와 국제워크숍을 개최하였으며. 본 사업의 3차년도인 2011년에는 부경시험 모델 설계에 따른 제작 시험, GMTNIRS 개념설계 완료, GMT 핵심과학연구주제 연구를 통한 연구역량 강화 등이 수행될 예정이다. 본 발표에서는 각 분야별 K-GMT 활동 계획을 보다 상세히 보고한다.

  • PDF

Effects of the Planetarium Lesson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Astronomical Concepts (천체투영관 수업이 학생들의 천문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 Kim, Wansoo;Shim, Hyunjin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42 no.1
    • /
    • pp.49-65
    • /
    • 2018
  • Astronomy is the subject that can easily draw students' interest in studying science, therefo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scientific core competence.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velop spatial thinking that is required in understanding astronomical concepts through the classroom lessons. Planetarium, along with the science museum,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in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 where astronomical concepts can be taught beyond time and space constraints.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astronomy education program that is operated in the planetarium and applied the program to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lanetarium lesson compared to the classroom lesson. The duration of this research was about 8 months, and the number of the students involved is 761, including participants of the 1 night and 2 days camps in the Daegu National Science Museum. The newly developed planetarium lesson is comparable to the previous classroom lesson of which topics are cardinal points, constellation, and the rotation of the earth. Test items were developed to evaluate the understanding of the astronomical concepts.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pre- and post-test with non-equivalent groups design comparing classroom and planetarium less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lanetarium lesson is more effective for understanding astronomical concepts such as the cardinal points, earth's rotation, and the constellation than classroom lesson. Second, planetarium has a positive effect irrespective of gender and previous knowledge. Third, planetarium for high school students has the same effect as additional observation activities followed by the classroom instruction. Therefore, planetarium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effective tool when night observation is not available. In summary, planetarium is an effective tool that helps students to understand the astronomical concepts.

Study on the Conceptual Hierarchy for Seasonal Change (계절변화 개념 위계에 관한 연구)

  • Jung, Sun-La;Lee, Yong Bo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4 no.4
    • /
    • pp.356-367
    • /
    • 2013
  • We study on the concept and reason of seasonal change that 164 university students have. Subsequently the concept types on the seasonal change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conceptual change after teaching on astronomy. All of the students were simply checked by the questionnaire of multiple choice and essay method before learning on the subjects. And then they answered to questionnaires of similar type after one semester. By the analyzed results, we classify it to three steps of hierarchical concept structure. The first step is the cosmic perspective that is related to the Earth's condition and motion. The second step is the influence of the Earth that is directly affected by the first step. The third step is observer's perspective on the Earth depending on the second step. Among the answers, the first step is prominent and second step is rare. The answers on the reason of seasonal change show some kinds of type which are 1st, 1-2nd, 1-3rd, and 1-2-3rd step. By the result, it is arranged in sequence like as 1-3rd>1st>1-2nd>1-2-3rd type. The lowest number of students was 2nd step of the Sun's altitude and duration of daytime in pre-test. However the students of 2nd step obtained more correct scientific concept on the seasonal change after learning on the subjects, and got the higher score in th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We found how much important the hierarchical structure on the reason of seasonal change is. As the results, second step on the learning of the Sun's altitude and duration of daytime essentially have to teach after first step. And then third step have to teach. At last, it is sure that the students can obtain the concept of seasonal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