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문과학관

Search Result 5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the Status of the Astronomical Science Museum among the Science Museum in Korea (우리나라 과학관 중 천문과학관이 차지하는 위상에 관한 연구)

  • Do, Hee-Jin;Chang, Heon-You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0 no.2
    • /
    • pp.59.4-60
    • /
    • 2015
  • "과학관의 설립 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정식으로 등록된 전국의 국 공 사립 과학관은 2012년을 기점으로 100개를 넘었고 현재는 170여개 기관이 이른다. 해당 법률에서 규정하는 과학관은 국민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증진 및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과학에 대한 탐구심 함양, 과학문화의 대중화 등 과학문화 확산의 한 축으로 활용이 되고 있다. 과학관은 등록 요건에 따라 '종합과학관'과 '전문과학관'으로 분류를 하며 특히 전문과학관의 경우 과학의 여러 분야 중 한가지의 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 맞는 전시물과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천문과 우주를 테마로 한 과학관은 2009년 세계 천문의해를 기점으로 건립이 가속화 되었고 그 비중은 전체 과학관 중에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정확한 통계와 분류가 미흡하고 해당 기관들 상호간에 제대로 된 협력체계가 미비한 현실이다. 이와 유사한 박물관, 미술관, 도서관의 경우 과학관과 마찬가지로 해당 학문에 대한 홍보와 대중화를 위해 관련 법률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들의 경우 관련분야에 종사하는 전공자들에 대한 별도의 자격제도와 해당 기관에서의 지위를 부여받은 것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들 법률의 비교를 통하여 각 기관들의 설립목적과 운영취지, 자격제도 등을 알아보고 천문우주 과학전공자들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제도 도입 및 과학관 건립시 그들을 채용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를 마련해 보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exhibitions of public astronomical science museums and science curriculum revision, 2009 (천문과학관의 전시자료와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분석)

  • Choi, Hyungbin;Yeom, Bum-Suk;Yi, Yu;Oh, Su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9 no.2
    • /
    • pp.173-185
    • /
    • 2016
  • Since Daejeon observatory has been built as the first astronomical science museum(ASM) whose theme is astronomy and space, many ASMs have been built or are being built by the governmental support. ASMs are requested to perform an important role as the educational venue that can be experienced the scientific activities for supplementing regular science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alysis of the connection to astronomy-related contents of science curriculum revised in 2009 for exhibits of 17 ASMs. As a result, exhibits of ASMs show the low reflectivity to science curriculum and are very biased to standard of accomplishment. That is, they are not sufficient enough for the students to reach the learning objectives. However the astronomical scientific activities which are hard to be performed in regular school curriculum can be experienced at ASMs. Additionally, since exhibits of ASMs are easy to access and accept, they can provide the effective educational activities and learning effect. Therefore, ASMs have to be improved for supplementing regular science education through the informal curriculum of astronomical scientific activities by the producing and displaying good astronomy-related exhibits.

The Analysis of Science Curricula Reflected Programs in Astronomy Science Museums (천문과학관 프로그램에 반영된 과학교육과정의 분석)

  • Yun, Gwang-a;Choi, Sang-In;Jeong, Ku-Song;Lee, Ho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3 no.1
    • /
    • pp.142-15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uch the programs of astronomy museums reflect the contents and objectives of current science curriculums. To attain the aim,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museum programs and science curriclum have been made. Five domestic astronomy museums have been selected. The contents and forms of their programs have been studied and appreciated by assessment instruments for astronomy museum programs. The assessment instruments were devised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science curriculum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1997) and the achievement and evaluation criteria of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stronomy museums reflect most of the learning elements of science curricula concerning astronom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stronomy museum as an informal education institute is comparatively well connected to science education. The 5thgrade science curriculum reflected mostly on the museum programs, and too many of the astronomy museum programs were in forms of panel exhibition. Science curricula fared well but they failed to reflect the curricular objectives, which resulted in relatively low assessment scores. It is sugges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a foundation and act as guidance for selecting and developing astronomy museum programs which include the contents of the science curriculums more substantially.

  • PDF

김해천문대 운영 사례를 통한 우리나라 시민천문대 운영방향

  • Lee, Sang-Hye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1
    • /
    • pp.77.1-77.1
    • /
    • 2011
  • 김해천문대는 2002년에 개관하여 대전, 영월을 이어 세 번째로 건립된 초기 시민천문대이다. 당시 지방자치단체에서 지방과학관 사업으로 국비를 받아 건립하였다. 초기에 개관한 시민천문대에 대한 국민들의 뜨거운 호응에 힘입어 이후 지방과학관 사업에서 대부분 시민천문대 형태로 건립되었는데, 현재 약 20개 정도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시민천문대를 건립하였다. 현재 도서관, 수련원, 교육과학연구원 등 기존의 교육 기관에 딸린 부설 천문대를 포함하면 청소년,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성격의 천문대는 전국적으로 약 80개에 이른다. 이러한 시민천문대의 등장은 국민들의 천문에 대한 관심을 높여 우리나라의 천문학 발전에 밑거름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시민천문대에 대한 학계, 교육계의 관심과 협조가 향후 천문학 발전에 중요한 밑거름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시민천문대의 운영은 일반적인 과학관과는 달리 천체를 보여주는 등, 관측 활동을 중심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창의적인 다양한 방법의 운영을 시도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특히 김해천문대의 경우 초기의 관람중심을 탈피하여 교육프로그램 중심의 운영함으로서, 소행성 탐사, 자체 기술개발 등 연구 활동이 가능할 정도로 발전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김해천문대에서 지난 9년간 진행된 다양한 사업과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김해천문대 운영의 운영 변화 과정과 그 결과를 통해 향후 시민천문대의 운영 방향을 말하고자 한다.

  • PDF

Booth et al(2008)의 논증을 이용하여 대전국립중앙과학관 천문영역전시의 과학철학적 분석

  • Kim, Jeong-Yeop;O, Jun-Yeong;Kim, Cheon-Hwi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1
    • /
    • pp.79.2-79.2
    • /
    • 2011
  • 대전국립중앙과학관의 천문영역 전시가 Booth et al(2008)의 논증을 기초로 한 과학철학 측면에서 얼마나 잘 부합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과학관은 비형식 교육기관 중 하나이다. 과학관의 전시물들은 관람자들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관람자들은 전시물들을 통하여 지식을 탐구한다. 그러므로 교육적 상호작용을 뒷받침하는 이론적인 기준이 필요하다. Booth et al(2008)이 주장한 논증모형은 관람객의 심리적인 진행과정을 고려한 과학철학이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관 전시에 Booth et al(2008)의 논증이 적용된다면, 관람객들은 전시물들이 의도한 지식을 스스로 탐구 할 수 있다. 김정엽(2011)은 Booth et al(2008)의 논증을 이용하여 과학관 천문영역 전시형태를 재구성하였고, 대학생들을 상대로 설문 조사와 SPSS 통계 분석을 수행하여, 재구성한 전시형태가 정보전달과 지식 탐구 관점에서 기존보다 더 설득력 있음을 보인 바 있다. 최근 대전국립중앙과학관은 천문영역 전시를 개선하였다. 그러므로 개선된 전시가 Booth et al(2008)의 논증을 기반으로 한 기준에 적합한지를 재분석할 필요가 있다. 분석 결과, 거시적인 전시형태는 이전에 비해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미시적인 전시내용은 상당히 많은 부분에서 개선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자세한 분석 내용과 결과를 논의한다.

  • PDF

노인성을 가슴에 품은 천문대-서귀포천문학과학문화관

  • 한국천문연구원
    • KASI NEWSLETTER
    • /
    • s.59
    • /
    • pp.20-21
    • /
    • 2006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하원동 탐라대학교 내에 위치한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은 예로부터 오직 한라산에 올라서야 볼 수 있었다는 노인성(용골자리 으뜸별 카노푸스 Canopus)을 볼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시민천문대이다. 아름다운 서귀포시 앞 바다를 한 눈에 바라볼 수 있는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은 제주특별자치도 최초의 천문우주관련 과학관으로 지난 2006년 6월 15일에 개관하였다.

  • PDF

Astronomy Education in Planetarium

  • Baek, Chang Hy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2
    • /
    • pp.45.4-46
    • /
    • 2016
  • 천체투영관은 과학관이나 천문교육 시설에서 관람객이나 피교육자가 많이 찾는 인기 시설 중 하나이며 연간 200만 명이 방문하는 비형식학습의 준비된 장소이다. 현재 국내에 운영되고 있는 약 80여개의 천체투영관들은 대부분 별자리 해설과 돔영상물 상영, 과학콘서트, 천체관음악회, 전문가 강연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제 국내에서도 설계된 비형식 학습 환경을 갖춘 천체투영관을 천문학 교육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학교교육과 연계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방안이 연구되어야 한다. 해외 과학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비형식 과학교육과 학교 과학교육의 연계 프로그램의 사례 등을 조사하고 국내 천체투영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천문학 교육 연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번 발표에서는 개편된 교육과정이 반영된 연계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하고 천체투영관을 천문학 교육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관계자들의 의견을 듣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