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척추안정성

Search Result 8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Spinal Flexibility and Response Time of Erector Spinae Muscle Following Stabilization Exercise (만성 요통 환자에서 척추 유연성과 허리 근육 반응속도 분석)

  • Sung, Paul S.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 /
    • v.6 no.1
    • /
    • pp.35-49
    • /
    • 2000
  • 허리 근육손상은 기대치 못한 상황에서 신체의 적절한 반응이 지연될 경우 근육 염좌와 같은 상해나 요통으로 연결된다. 이 연구는 척추 안정 운동 후 척추의 유연성과 척추 근육의 반응 속도를 만성 요통 환자와 정상인을 대상으로 비교 연구 하였다. 만성 요통 환자 군은 척추 안정 운동을 4주간 20회 시행하였으며 이와 비슷한 특성을 가진 대조군을 비교하였다. 신체 유연성은 환자가 앉은 자세에서 척추를 축으로 신체의 회전 정도를 측정하였다. 척추 반응 속도 측정은 환자가 선 자세에서 두 손으로 판을 들고있는 동안 정구공이 1.8 m (6.4 N)에서 낙하시 좌, 우측 척추 근육의 반응 속도를 Wavelet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척추 안정 운동을 행한 만성 요통 환자군의 신체 유연성과 척추 근육 반응 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척추 유연성은 만성 요통 환자 군에서 131.0cm에서 척추안정 운동후 144.1cm으로 증가하였다 (p<0.05). 척추 근육 반응 속도는 척추 안정 운동을 행한 만성 요통 환자 군에서 90.00msec에서 68.55msec로 (p<0.05), 정상 군에서는 86.28msec에서 75.64msec로 (p>0.05) 단축되었다. 척추 안정 운동은 근, 신경 조직의 반응속도를 증가시키며 특히 만성 요통 환자에서 척추의 안정성을 회복시킨다. 특히 척추의 안정성 증가는 기대치 못한 상황에서 선체의 적절한 반응의 속도를 회복시키며 결과적으로 허리 손상을 예방 할 수 있다. 물리치료학에서 근 골격 신경계의 반응 속도측정을 위한 연구로 Wavelet 분석과 같은 첨단장비를 통한 운동 치료의 질에 관한 연구의 도입이 필요하다. 또한 구체적인 치료적 운동결과의 측정을 통해 물리 치료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생체 의학적 연구가 요망된다.

  • PDF

Effect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n Spinal In stability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 A Literature Review (요추부 안정성 운동이 요통 환자의 척추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문헌고찰)

  • Jeong, Yeon-Tae
    • Physical Therapy Korea
    • /
    • v.7 no.4
    • /
    • pp.47-55
    • /
    • 2000
  • 요통은 산업화된 현대사회에서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다. 요통의 다양한 원인 중에서도 척추의 정상 가동범위를 넘은 불안정성이 요통의 한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문헌고찰의 목적은 요추 부위의 안정성을 부여하는 운동 프로그램 후 근육 기능의 강화, 통증의 감소를 보고한 논문들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요통의 한 원인인 척추의 안정성을 증가시켜 요추 부위의 통증을 감소시키고 기능을 향상시키는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는 것이다.

  • PDF

Spinal Stability Evalu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pinal Fixation Segment Based on Finite Element Analysis (유한요소해석 기반 척추 고정분절 변화에 따른 척추 안정성 평가)

  • Kim, Cheol-Jeong;Son, Seung Min;Heo, Jin-Young;Lee, Chi-Seung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33 no.3
    • /
    • pp.145-152
    • /
    • 2020
  • In this study, we evaluated spinal stability based on the change in the thoracolumbar fixation segment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FEA). To accomplish this, a finite element (FE) model of a normal thoracolumbar spine (T10-L4), including intervertebral discs (IVD), ligaments, and facet joints, was constructed, and the material properties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were implemented. However, L1 was assumed as the lesion site, and three types of posterior fixation, namely, L1-L2, T12-L2, and T12-L1-L2, were implemented in the thoracolumbar FE model. In addition, the loading conditions for flexion, extension, lateral bending, and axial rotation were adopted. Through the series FEA, the deformation, equivalent stress, range of motion, and moment on the pedicle screws, vertebrae, and IVD were calculated, and the spinal stability was evaluated based on the FEA results.

Management for Cervical Instability (경추 불안정성의 관리)

  • Kim, Young-Min;Kim, Ho-Bong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 /
    • v.11 no.1
    • /
    • pp.74-91
    • /
    • 2005
  • 척추의 기본적인 생체 역학적 기능은 신체 부분간의 운동을 허용하고 척수와 신경근을 보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척추의 역학적 안정성이 필수적이다. 척추의 안정체계는 수동적 근 골격계, 능동적 근 골격계, 그리고 신경계의 세 가지 하부체계로 나누어지며 이들 하부체계는 각각 독립적으로 안정성에 관여하고 있다. 경추의 불안정성의 문제는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추간관절의 운동에 의해 염증성의 신경을 압박 또는 신장하거나 또는 통증수용기가 많이 분포하는 인대, 관절낭, 섬유륜과 종판에 비정상적인 변형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안정성의 장애는 근육의 기능적 측면에서 국소적 안정체계와 포괄적 안정체계의 문제로 구분할 수 있다. 불안정한 경추 환자의 임상적 양상은 일반적으로 머리가 앞으로 나오고 전방 전위된 자세로 견갑대와 승모근 상부의 과활동성을 나타낸다. 또한 능동운동은 감소되지 않으나 수동운동에서 분절의 회전운동과 병진운동의 증가와 종말감의 변화가 있다. 경추의 불안정성을 관리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로 전반적인 근육 훈련, 고유수용기 훈련, 그리고 도수치료의 세 가지 주된 접근법이 있고 실제적인 접근법으로는 고유수용성 재활프로그램, 칼텐본-에반스 접근법, 그리고, 슬링운동법 등이 있다. 각 방법들은 임상에서 나름대로의 이점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이들 방법을 단독으로 또는 병행해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경추에서 이러한 방법들의 효과를 입증하는 증거는 부족하여 앞으로 이러한 방법에 대한 임상적 경험보다는 그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

Effects of Thorax Belt Application on the Spinal Stability in Subjects with Wide Infra-sternal Angle

  • Ha, Sung-mi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4
    • /
    • pp.143-14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application of a Thorax belt affects the stability of the spine in subjects with a wide infra-sternal angle. A total of 15 subject with wide infra-sternal angl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ctive Double leg lowering and active one-leg raising were performed with or without a thorax belt. Two spinal stability tests (active double lowering and active one-leg raising) performed with or without thorax belt applic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con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the application of a thorax belt is considered to be an effective therapeutic tool that can stabilize the spine to subjects with abnormally increased chest cage and spinal or trunk instability.

Biomechanical Stability Evaluation of Anterior/posterior Spinal Fusion for Burst Fracture (척추 파열 골절 치료를 위한 전.후방 척추고정술의 생체역학적 안정성 평가)

  • Park W.M.;Kim Y.H.;Park Y.S.;Oh T.Y.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7-188
    • /
    • 2006
  • A 3-D finite element model of human thoracolumbar spine (T12-L2) was reconstructed from CT images. Various anterior and posterior instrumentation techniques were performed with long cage after corpectomy. Six loading cases were applied up to 10 Nm, espectively. The rotations of T12 with respect to L2 were measured and the stiffnesses were calculated as the applied forces divided by the segmental rotations. The posterior fixation technique increased the stiffness of the spine the most. The addition of anterior rod from 1 to 2 increased the stiffness significantly without posterior fixation, but no effect was found with posterior fixation. We found that different fixation techniques changed the stiffness of the spine.

  • PDF

Numerical Analysis on Stress Distribution of Vertebra and Stability of Intervertebral Fusion Cage with Change of Spike Shape (척추체간 유합케이지의 스파이크형상 변화에 따른 척추체의 응력분포 및 케이지의 안정성에 대한 수치적 해석)

  • 심해영;김철생;오재윤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5 no.5
    • /
    • pp.361-367
    • /
    • 2004
  • The axial compressive strength, relative 3-D stability and osteoconductive shape design of an intervertebral fusion cage are important biomechanical factors for successful intervertebral fusion. Changes in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vertebral end plate and in cage stability due to changes in the spike shape of a newly contrived box-shaped fusion cage are investigated. In this investigation, the initial contact of the cage's spikes with the end plate and the penetration of the cage's spikes into the end plate are considered. The finite element analysis i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s of the cage's spike height, tip width and angle on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vertebral end plate, and the micromigration of the cage in the A-P direction.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end plate is examined when a normal load of 1700N is applied to the vertebra after inserting 2 cages. The micromigration of the cage is examined when a pull out load of l00N is applied in the A-P direction. The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the spike tip width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stress concentration in the end plate, but the spike height and angle do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end plate touching the cage's spikes.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micromigration of the cage can be reduced by adjusting the spike angle and spike arrangement in the A-P direction. This study proposes the optimal shape of an intervertebral fusion cage, which promotes bone fusion, reduces the stress concentration in a vertebral end plate, and increases mechanical stability.

The effect of variations to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after river environment improvement in the Osan Stream (오산천 하천환경정비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변화에 미치는 영향)

  • Kim, Jea-Su;Kwon, Yong-Duk;Kim, Seong-Hwan;Kim, Kook-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77-981
    • /
    • 2006
  • 본 연구는 오산천 하천환경정비로 인하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2년 6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5개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4문 7강 16목 38과 81종이었으며, 년도별로는 2002년에는 총 55종이 출현하였으나, 2004년에는 36종으로 종수가 급감하였다. ESB에 따른 군집의 생태점수는 2003년도에 45.4에서 2004년도에는 21.7로 낮아졌다가 2005년도에는 31.2로 높아졌다. 이는 하천환경정비공사로 일시적인 교란을 일으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종조성의 변화로는 상류부의 경우 환경정비공사 완료 후 생태계안정화와 추이대가 복원되면서 1급수 지표종인 플라나리아(Dugesia japonica)와 옆새우(Gammarus sp.)가 출현하여 다양한 군집을 형성하고 있었다. 하류의 경우는 군집의 종조성이 빈약하지만 공사가 마무리 단계에 들어가면서 수서생물의 서식처가 안정화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처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에 영향을 주는 하상의 물리적 구조와 이와 연관된 유기물 퇴적층과 토사 퇴적층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하도특성에 맞는 안정된 군집구조가 형성될 수 있도록 대체서식처를 하천환경정비계획 수립 시 고려하여야 한다.

  • PDF

A study on the variable power supplies of 100W class for spine health management device (척추 건강관리기용 100W급 가변형 전원장치에 관한 연구)

  • Shin, Duck-Shick;Lee, Sang-Tae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11a
    • /
    • pp.203-204
    • /
    • 2015
  • 본 논문은 척추 건강관리기의 구동을 위한 가변형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논문이다. 본 시스템은 의료용 및 척추 마사지를 위한 장비로서 인체에 접촉하는 경우가 많고 높은 안전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필요한 시스템이다. 본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해서 100W의 전원이 필요하여 비교적 간단하고 절연타입의 Forward Type의 토폴로지를 적용하여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회로를 설계 하였으며, 이를 시스템에 적용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Function of Habitat Heterogeneity for the Biodiversity and Demography of Population in Small Mammal Community (소척추동물군집에서 개체군 변동과 생물다양성 유지를 위한 서식지 이질성의 기능)

  • Lee, Sang-D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18 no.4
    • /
    • pp.513-513
    • /
    • 1995
  • The central theme of Habital heterogeneity is to provide animals with habital complexity or structural diversity and to allow resource partitioning among individuals. In turn, the leads to population stability because prey can escape more easily with more hiding places causing less population fluctuation. Species diversity is characterized due to more potential niches both horizontally and verticall. Empirically, in homogeneous habitats population was less abundant, reproduction and survival were lower, spacing behavior, competition and dispersal were higher than in heterogeneous habitats. The results imply that diversity and conservation of species can be maintained through providing heterogeneous habit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