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척추신경차단술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2초

방사선 투시장치를 이용한 요추 중재술 시 고려점 (Considerations for Fluoroscopic Guided Intervention in Lumbar Spine)

  • 김동현;송광섭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10-221
    • /
    • 2020
  • 척추 신경 차단술은 다양한 발전을 거듭하면서 상당부분 수술적 치료의 필요성을 줄일 수 있는 대체 보존적 치료의 한 방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척추 신경 차단술은 통증 완화라는 치료적 측면뿐 아니라, 많은 환자에서 척추 이외의 다른 증상들과 감별을 위한 진단적 목적으로도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어 사지 및 척추를 다루는 정형외과의사로서 가장 기본이 되는 술기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하는 기구나 약물이 단순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및 발생 가능한 부작용 및 합병증에 대한 지식이 없다면 시행 초기에 오히려 환자에게 심각한 해를 끼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척추 신경 차단술에 사용하는 약제들의 종류, 약동학적 특성과 각각 약제의 부작용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요추 전반에 걸친 각 시술의 적응증과 장단점을 파악하고 발생 가능한 합병증을 피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본 종설은 요추 신경 차단술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 및 술기를 접하여 독자 스스로 시행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초음파 유도 대퇴좌골 신경 차단술 (Ultrasound-Guided Femorosciatic Nerve Block)

  • 강찬;김영모;황득수;김정훈;박준영;이우용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4-78
    • /
    • 2010
  • 정형외과 영역에서 근골격계 초음파의 활용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슬와부 신경 차단(좌골 신경 차단)이나 대퇴 신경 차단(또는 복재 신경 차단)이 초음파를 이용하여 신경 손상이나 불완전 마취에 대한 걱정없이 쉽고,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게 되었다. 그로 인하여 족부 수술 뿐만 아니라 족관절 및 하퇴부의 정형외과적 수술이 전신 마취나 척추 마취의 부담없이 시행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초음파 유도 대퇴좌골 신경 차단에 대한 자세한 술기를 120예 이상의 경험을 바탕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초음파를 이용한 제 1천추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의 유용성 (The Efficacy of Ultrasonography-guided S1 Selective Nerve Root Block)

  • 전영대;김태균;심대무;김창수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3-119
    • /
    • 2014
  • 목적: 제 1천추 신경근 증상을 호소하는 추간판 탈출증 환자 및 척추 협착증 환자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을 실시하여 고식적인 방사선 영상 증폭기를 이용한 방법과 비교하여 그 결과 및 정확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2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요추 추간판 탈출증이나 척추 협착증으로 발생한 하지 방사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제1 천추 신경근 차단술을 시술 받은 3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초음파를 이용하여 시행한 18명(A군)과 방사선 영상 증폭기를 이용한 20명(B군)을 1개월 추시 관찰하였다. 효과 판정은 통증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시각통증척도(VAS, Visual Analogue Scale)와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요통 기능장애척도(K-MODI, Korean Modified Oswestry Disability Index)를 이용하였으며, 각 시술 소요 시간을 확인하였다. 결과: VAS 점수는 A군에서 시술 전 $7.40{\pm}0.85$, 시술 1개월 후 $4.7{\pm}1.43$로 나타났고, B군에서 시술 전 $7.39{\pm}1.02$, 시술 1개월 후 $4.36{\pm}1.64$로 두 군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소요 시간은 A군이 $477.53{\pm}115.02$초, B군이 $492.47{\pm}144.38$초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K-MODI는 A군에서 시술 전 $72.8{\pm}12.3$에서 시술 1개월 후 $43.3{\pm}10.3$로 나타났고, B군에서 시술 전 $73.8{\pm}11.5$에서 시술 1개월 후 $44.1{\pm}11.2$로 두 군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두 군 사이에서 VAS 점수 및 K-MODI 비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초음파를 이용한 제 1천추 신경근 차단술은 방사선 영상 증폭기를 이용한 고식적인 방법에 비해 임상 결과 및 소요 시간에 차이는 없으나, 외래에서 간단히 시술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추간판 탈출증이나 척추 협착증 환자에서 유용한 시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척추 신경 차단술 환자 특성이 주사시술의 공포감과 방사선의 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Fear of Injection Procedures and Radiation Risk Recognition on Patients Characteristics Undergo Spinal Nerve Block)

  • 차진영;성열훈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5권2호
    • /
    • pp.171-177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underwent spinal nerve block on the fear of injection and the risk of radiation. Subjects were 137 patients (67 males, 70 female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in Cheongju. The method was conducted as a research study using a total of 28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patient characteristics,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nerve block surgery, nerve block fear scale, and radiation risk perception scale.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response was secured with a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0.6 or higher. For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was tes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earson and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by measurement scale and factor. As a result, the fear scale of nerve block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than in men (p<0.05). The fear scale of nerve block inje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irst-visit patients than in the second-visited patients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variables in radiation risk perception. In conclusion, patients undergoing spinal nerve block were more aware of the fear of injection than the risk of radiation exposure during the procedure.

내측 개방 근위 경골 절골술 후 통증 조절에서 관절 주위 다중 약물 국소 주사와 내전근관 차단술의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an Adductor Canal Block and Periarticular Multimodal Drug Local Injection on Pain after a Medial Opening High Tibial Osteotomy)

  • 김옥걸;김도훈;서승석;이인승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20-126
    • /
    • 2019
  • 목적: 내측 개방 근위 경골 절골술 후 통증 조절에서 관절 주위 다중 약물 국소 주사와 내전근관 차단술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11월부터 2017년 3월까지 개방형 내측 근위 경골 절골술을 시행한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전 예에서 척추 마취를 시행하였으며, 수술 직전 선제 약물 투여 후 정맥내 자가 통증 조절 장치를 시행하였다. 30명의 환자(I군)는 관절 주위 다중 약물 국소 주사를 맞았고, 다른 30명의 환자(II군)는 내전근관 차단술을 시행 받았다. 두 그룹에 대해 수술 후 통증 수준, 추가적인 tramadol hydrochloride 주사의 빈도, 자가 통증 조절 장치 사용 총량 및 버튼을 누른 횟수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후 2주째까지 시각통증점수(visual analogue scale)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추가 tramadol hydrochloride 주사의 빈도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가 통증 조절 장치 버튼을 누르는 횟수와 평균 총 fentanyl 소비량에서도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내측 개방적 근위 경골 절골술을 시행한 환자의 급성기 통증 조절에 있어서 관절 주위 다중 약물 주입 및 내전근관 신경 차단술은 비슷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요추 및 천추부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중재 시술 (Ultrasound-Guided Injections in the Lumbar and Sacral Spine)

  • 고광표;송재황;김환정;김상범;민영기
    • 대한척추외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85-195
    • /
    • 2018
  • 연구 계획: 문헌 조사 목적: 초음파를 이용한 중재 시술은 임상적으로 흔하게 경험할 수 있는 하요추부 통증이 보존적 치료에 실패한 경우 수술적 치료 이전에 흔하게 시행하게 되는 치료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요추 및 천추부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중재 시술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함에 있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초음파를 이용한 중재 요법은 근육, 인대, 건, 혈관, 신경 등의 연부조직을 직접 관찰할 수 있으며, 환자나 시술자에게 방사선 노출이 없고, 컴퓨터 단층 촬영이나 C형 투시검사 장비처럼 넓은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점차 그 사용이 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요추부의 정상, 비정상 초음파 소견과 요추 및 천추부에서 시행할 수 있는 초음파 유도하 중재 요법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기술을 하였다. 결과: 요천추부의 정확한 초음파 중재 시술을 위해서는 검사 시 환자의 자세 및 해부학과 정상, 비정상 초음파 소견 등에 대한 숙지가 필요하다. 초음파를 이용하면 후방 관절 내 주사 및 내측 분지 차단술, 경막외 차단술,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 천장관절 주사를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결론: 요추 및 천추부에서 초음파 유도하 중재 요법은 요천추부 통증의 치료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술기이다.

Polymethylmethacrylate를 이용한 척추체 재건술에서 척수의 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어벽 기법 : 실험적 및 이론적 분석 (Barrier Techniques for Spinal Cord Protection from Thermal Injury in Polymethylmethacrylate Reconstruction of Vertebral Body :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nalyses)

  • 박춘근;지철;황장회;권성오;성재훈;최승진;이상원;박성찬;조경석;박춘근;;강준기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3호
    • /
    • pp.272-277
    • /
    • 2001
  • Polymethylmethacrylate(PMMA)는 척추 전적출술후에 척추를 재건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액체 형태의 PMMA가 응고하면서 발생되는 열은 척수 신경의 열 손상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미 응고된 PMMA sheet가 척수 신경을 보호하는 방어 벽으로서의 열 차단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또한 열손상으로부터 신경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방어벽의 최소한의 두께를 탐구하는 데 있다. 실험실에서 제 12번째 흉추체 전 적출후의 상태와 동일한 크기와 모양의 정육면체의 용기를 제작하였다. 60ml의 액체형 PMMA를 용기 안에 주입하여 응고하는 PMMA중심부와 세 가지 다른 두께의(제 1 군 : 0mm, 제 2 군 : 5mm, 제 3 군 : 8mm) 이미 응고된 PMMA sheet의 하부(척수의 전면을 의미)에서 온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 결과에 대한 위의 세 가지 군에 대해 열역학적 분석도 시행하였다. 응고하는 PMMA 덩이의 중심부에서의 온도는 18회의 실험 동안 매우 일정하여($106.8{\pm}3.9^{\circ}C$)이 실험 모델의 재현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방어 벽이 없는 군(제 1 군)에서 척수 신경 전면의 최고 온도가 $60.3^{\circ}C$이었으나 5mm군 (제 2 군)과 8mm군(제 3 군)에서는 각각 $47.3^{\circ}C$$43.3^{\circ}C$로 이미 응고된 PMMA는 통계적으로 유의한(p<0.00005) 온도 차단 효과를 보였다. 최고 온도에 도달하기까지의 계산된 시간은 실제 실험치 보다 35%이내의 오차를 보였으나 최고 온도에 대한 열역학적인 계산치는 실제 실험에서 나타난 수치의 1%이내의 오차를 보였다. 이상의 열역학적인 자료를 토대로 볼 때, PMMA를 이용한 척추의 재건술에서 PMMA 방어벽은 척수의 열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 실험에서 가정한 척수의 열손상 역치인 $39^{\circ}C$이하로 척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PMMA방어벽의 두께는 10mm정도로 계산되었다. PMMA 방어벽의 임상 적용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임상 실험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라이프케어를 위한 추간판성 통증 치료의 최신중재기법 기술적 윤리적 문제들에 관하여 (Recent Interventional Procedures for Spinal Discogenic Pain for Life Care : Technical and Ethical Issues)

  • 홍영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11-320
    • /
    • 2019
  • 척추 추간판의 퇴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추간판성 통증은 근골격계의 난치성 질환이다. 이 질환은 현대 의학이 다루는 일반적 질환들과는 달리 객관적인 영상학적, 임상병리학적 지표로 확진되지 않는다. 그리고 현재의 기술로는 근본적인 치료법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 연구는 추간판성 통증치료를 위해 실시되는 신경차단술, 추간판 내열치료술, 수핵성형술 등 여러 중재시술법들의 치료적 근거가 타당성이 있는지, 그리고 각 기법들의 개발과정에서 전임상적 시험과 같은 안전성 검토가 충실히 이행되었는지를 문헌검토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치료적 근거가 객관적으로 검증된, 추간판성 통증의 중재시술 방법은 아직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기술 개발과정에서 시술의 안전성에 대한 검토를 위해 필요한 전임상적 시험의 단계를 적절히 갖추지 않은 중재시술법의 사례들도 발견된다. 결론적으로, 아직까지 선명한 치료적 근거를 가진, 추간판성 통증에 대한 중재시술법은 없으므로, 임상에서 시술여부를 판단할 때는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필요하며, 안전성에 대한 검토를 충실히 갖추지 않은 채 실시되어온 것으로 판단되는 일부 중재시술법들에 대해선 의료윤리적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경막외신경차단술로 치료 중인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거창만령단과 침의 효능 및 안전성 연구(예비임상연구) (Efficacy and Safety of Geochangmanryeung-dan and Acupuncture on Patient with Spinal Stenosis Treated by Epidural Steroid Injection: a Study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 이현종;이초인;이사람;곽민아;곽상규;노운석;정진용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2권3호
    • /
    • pp.99-107
    • /
    • 2015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tain basic data for a further large-scale trial as evaluating the efficacy and safety of Geochangmanryeung-dan(GMD) and acupuncture on patient with spinal stenosis treated by epidural steroid injection. Methods: The study is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clinical trial, conducted over 8 weeks. Twenty participants will be recruited and randomly allocated to 2 groups: an experimental(GMD and acupuncture with epidural steroid injection) group and a control(only epidural steroid injection) group. The epidural steroid injection will be administered once per 2 weeks for 6 weeks(3 times in total). GMD will be administered as a dose of 5 pills, 3 times per day, for 6 weeks. Acupuncture will be performed 2 times per week for 6 weeks(12 times in total). The primary outcome will be measured by visual analogue scale and self-rated walking distance. The secondary outcome will be measured by PainVision, short-form McGill Pain Questionnaire,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Both primary and secondary outcomes will be measured at baseline, 2, 4, 6, and 8 weeks. The last assessment(at 8 weeks) will be performed 2 weeks after treatment cessation. Conclusions : This clinical trial, as the pilot study for a future large-scale trial, will provide clinical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efficacy and safety of GMD and acupuncture treatment in combination with epidural steroid injection for the treatment of spinal sten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