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처분장

Search Result 44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urrent Status of the Numerical Models for the Analysis of Coupled Thermal-Hydrological-Mechanical Behavior of the Engineered Barrier System in a High-level Waste Repository (고준위폐기물처분장 공학적방벽시스템의 열-수리-역학적 복합거동 해석 모델 개발 현황)

  • Cho, Won-Jin;Kim, Jin Seop;Lee, Changsoo;Choi, Heui-Joo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10 no.4
    • /
    • pp.281-294
    • /
    • 2012
  • The current status of the computer codes for the analysis of coupled thermal-hydrological-mechanical behavior occurred in a high-level waste repository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reported results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predictions using the computer codes and the experimental data from the in-situ tests, the reliability of the existing computer codes was analyzed. The presented codes simulated considerably well the coupled thermal-hydrological-mechanical behavior in the near-field rock of the repository without buffer, but the predictions for the engineered barrier system of the repository located at saturated hard rock were not satisfactory. To apply the current thermal-hydrological-mechanical models to the assessment of the performance of engineered barrier system, a major improvement on the mathematical models which analyze the distribution of water content and total pressure in the buffer is required.

Design Consideration for Stability of a Nuke Underground Cavern in Rock Engineering (암반공학 측면에서 본 핵폐기물 지하처분장 설계변수 기초연구)

  • 김달선
    • Proceedings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10a
    • /
    • pp.377-380
    • /
    • 1998
  • 방사능 핵폐기물 처분장 부지선정을 위해서는 암반의 특성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특성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특성화 작업은 암반은 열적, 역학적 및 수리적 거동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수치모델을 개발하여, 국내 환경에 적합한 설계안을 조기에 설립할 수 있는 Program을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초기단계로서,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는 이 분야에 40년 이상의 경험과 기술을 축적하고 있는 세계적인 핵관련 연구소인 미국 샌디아 국립연구소 (Sandia National Laboratories)와 공동연구 등을 통해 서로간의 기술간의 기술을 공유하자는 "상호 기술협정(MOU)"을 '98년 5월 21일 맺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취지하에 진행하고 있는 전체 Program의 일부로서 기본계획을 발포하여 향후 기술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산학연 협동체 구성 및 역할 분담을 통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2000년 초반기에 한국에서 대구될 수 있는 처분장 처리문제를 미리 수행하려는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적인 목적이 있다.

  • PDF

방사성 폐기물 관리에 있어 감용처리기술의 중요성

  • 김정국;김준형;박헌휘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2 no.4
    • /
    • pp.416-422
    • /
    • 1990
  • 현재 추진중인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영구 처분장은 현시점에서 적용중인 처리기술외에는 더 이상의 기술개발을 고려치 않고 폐기물 발생량을 추정하여 이를 근거로 하였는데, 당 연구소에서 개발중인 감용처리기술이 적용된다는 가정아래 향후 방사성 폐기물 관리계획을 검토하였다. 국내에서 발생되는 방사성 폐기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원자력 발전소 운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폐기물에 대해서만 감용처리기술을 적용해도 해체폐기물이 본격적으로 발생되는 2018년 이전까지는 그 발생량이 55%까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초기건설용량 25만 드럼규모의 처분장에 대해 그 운영기간은 7년이상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Evaluation of Fly Ash Disposal Methods by Analysis of Leachate Migration (침출수 이동 해석을 통한 석탄재 처분방식의 평가)

  • 이상일
    • Water for future
    • /
    • v.25 no.4
    • /
    • pp.61-73
    • /
    • 1992
  • There are needs to examine the consequences of a regulation in effect to control the migration of leachates from disposal sit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the methodology to evaluate basic disposal designs for compliance with a certain regulation, The "100/100 rule" is selected for demonstration purpose which dictates that the time for the leachates to travel a horizontal distance of 100feet (30.5m) away from the property where the landfill or pond is located must exceed 100 years. The two primary methods for disposal of ash from coal-fired utility plants, landfill and pond, are studied, Numerical groundwater flow analysis resulted in pressure head distribution and flux information in the cross-section of the domain while path line analysis provided travel path and time of leachate migration to compliance zone.ance zone.

  • PDF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금속저장체 영구 처분에 따른 현안 평가

  • 황용수;김성기;강철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9a
    • /
    • pp.120-123
    • /
    • 2001
  • 국내 원전에서 배출되는 사용후핵연료의 안정한 장기 보관과 평화적 재활용을 위한 많은 연구중에서 금속저장체 연구는 사용후핵연료의 장기 보관에 따른 부식 문제 해결과 방사성 붕괴열 제거 관점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로 분류되는 금속저장체를 국내 심지층 암반에 영구 처분했을 때 발생하는 처분장 요구 면적과 영구 처분에 따른 방사선적 안전성에 관한 고찰을 통해 금속 저장체를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관리의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예비 조사 결과 주어진 데이터 조건에서는 금속 저장체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의 면적을 5 배 정도 줄일 수 있을 것이며 방사선적 안전성 또한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으나 향후 경제성과 핵비확산성을 고려한 종합적인 타당성 연구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명되었다.

  • PDF

Structural Analysis for the Conceptual Design of a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in a Deep Deposit (심지층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의 개념설계를 위한 구조적 안정성 해석)

  • 권상기;장근무;강철형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9 no.2
    • /
    • pp.102-113
    • /
    • 1999
  •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DEM programs, UDEC and 3DEC,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mechanical stability of the conceptual design of deposition drift and deposition holes constructed in a crystalline rock mass. From the simulations, the influence of discontinuities, the number of deposition holes, and deposition hole interval on the stability of deposition drift and deposition holes could be determined. From the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three-dimensional analysis should be carried 7ut fur deriving reliable conclusions. Even though the deposition hole interval changed from 8 m to 3 m, which did not damage the mechanical stability of the deposition drift.

  • PDF

A review on the design requirement of temperature in high-level nuclear waste disposal system: based on bentonite buffer (고준위폐기물처분시스템 설계 제한온도 설정에 관한 기술현황 분석: 벤토나이트 완충재를 중심으로)

  • Kim, Jin-Seop;Cho, Won-Jin;Park, Seunghun;Kim, Geon-Young;Baik, Min-Hoon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1 no.5
    • /
    • pp.587-609
    • /
    • 2019
  • Short-and long-term stabilities of bentonite, favored material as buffer in geological repositories for high-level waste were reviewed in this paper in addition to alternative design concepts of buffer to mitigate the thermal load from decay heat of SF (Spent Fuel) and further increase the disposal efficiency. It is generally reported that the irreversible changes in structure, hydraulic behavior, and swelling capacity are produced due to temperature increase and vapor flow between $150{\sim}250^{\circ}C$. Provided that the maximum temperature of bentonite is less than $150^{\circ}C$, however,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material, structural, and mineralogical stability seems to be minor. The maximum temperature in disposal system will constrain and determine the amount of waste to be disposed per unit area and be regarded as an important design parameter influencing the availability of disposal site. Thu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effects of high temperature on the performance of buffer and allow for the thermal constraint greater than $100^{\circ}C$.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high-performance EBS (Engineered Barrier System) such as composite bentonite buffer mixed with graphite or silica and multi-layered buffer (i.e., highly thermal-conductive layer or insulating layer)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enhance the disposal efficiency in parallel with the development of multilayer repository. This will contribute to increase of reliability and securing the acceptance of the people with regard to a high-level waste disposal.

원전고화폐기물 특성시험을 위한 시험법 선정방법

  • Kim, Gi-Hong;Yoo, Yeong-Geol;Hong, Gwon-Pyo;Jeong, Ui-Yeong;Park, Jong-Heon;Kim, 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4.06a
    • /
    • pp.219-221
    • /
    • 2004
  • 국가의 규제기관과 처분장에서는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한 영구처분을 위하여 폐기물 수용(인수)기준을 폐기물 발생자에게 준수토록 요구하게 되는데 이러한 폐기물 수용(인수)기준은 처분시설의 가동동안 인간과 환경 보호 그리고 최대 300년간의 제도적 통제기간을 고려하여 처분장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설정되어진다. 폐기물 수용(인수)기준중 고화체의 안정성 평가와 관련하여 미국(NRC/BTP)은 폐기물의 종류와 고화매질에 따라 유리수, 압축강도, 방사성 조사특성, 미생물 영향 특성, 침수 및 침출 특성, 열순환 특성 등에 대하여 표준시험법을 제시하였으며, 또한 그의 기술기준치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프랑스(DRDD/ BECC)에서는 미국보다 매우 세밀하게 평가항목들을 분류하는 등의 처분장 운영국가에서는 고화체의 안정성관련 평가시험들을 처분 환경과 처분방식에 맞게 표준화하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는 과기부 고시 제2001-32호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인도규정"이 있으나 이에는 고화체 관련하여 정성적인 안정성에 대하여서만 기술되어 있다. 이에 따라 원전폐기물 고화체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위한 시험법을 선정하기 위하여 아래 그림과 같은 절차에 따라 수행토록 하였다. 우선 대표적인 천층처분 운영국가인 미국과 프랑스의 시험법 그리고 IAEA 권고 시험법과 유사관련 한국 산업표준법들을 조사하고, 이들 시험법들의 주요 차이점을 기술적 관점에서 비교평가하고, 이어서 모의 방사성 및 비방사성 고화체를 이용하여 상기 시험법들을 각각 적용하고 또한 이들 시험법들간의 차이(시험 조건, 시편의 크기 등)에 기인한 상호 비교시험을 통하여 얻어진 시험결과들을 종합적으로 비교 검토하여 보수적 관점에서 시험법을 선정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았다. 이때 시험결과를 얻기 위한 모든 과정에 품질보증 활동을 적용키로 하였으며, 시험결과 분석/평가 과정과 시험법 선정에 각계(규제기관, 학계, 발전소 현장 및 산업계 등) 전문가로부터 기술자문회의를 통하여 자문 의견을 받기로 하였다. 특히 현재 폐기물 인수 기술기준치가 설정된 국가의 시험법을 심층 있게 검토하기로 하였다.검토하기로 하였다.

  • PDF

An Introduction to the Expansion Plan of the Underground Repository of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In Forsmark, Sweden (스웨덴 포쉬마크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지하 처분장 확장 계획 소개)

  • Kwon, Saeha;Min, Ki-Bok;Stephansson, Ove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6 no.5
    • /
    • pp.339-347
    • /
    • 2016
  • The world's first underground repository for low- and intermediate- level radioactive waste (SFR1) has been in operation since 1988. SFR1 can accommodate $1,000m^3$ of radioactive waste per year with 4 chambers and 1 silo with a total capacity of $63,000m^3$ of radioactive waste. With extended operation time of 10 of the 12 nuclear power reactors and dismantling of the other 2 nuclear reactors, more nuclear waste need to be disposed in the future. Therefore, Swedish Nuclear Fuel and Waste Management Company (SKB) submitted a license application for a repository extension (SFR3) that consists of 6 additional rock chambers with a capacity of $108,000m^3$ of radioactive waste and for accommodating 9 boiling water reactor tanks. In this study, plans for the extension SFR3 are presented with the geological, geomechanical and hydrogeological issues to be considered.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FEP and Scenario for the HLW Disposal in Korea (우리나라의 고준위폐기물 처분을 위한 FEP과 시나리오 개발)

  • Kang, Chul-Hyung;Jeong, Jong-Tae;Choi, Jong-Won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10 no.3
    • /
    • pp.133-141
    • /
    • 2012
  • The impacts influenced on the performance and safety of a repository are classified as units of Features, Events, and Processes (FEP), for the total system performance assessment (TSPA) related to the permanent disposal of HLW. The importance is evaluated in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consequence, regulation, suitability of a specific site, etc. and then these are grouped as a similar FEP. A scenario describing the migration of radionuclide from the repository to the biosphere is derived from understanding the interaction among these groups. KAERI has developed the KAERI FEP lists by review and collation of the foreign studies. The KAERI FEP list has been reviewed by several Korean experts. The five major scenarios describing possible future evolutions of the geological disposal system have been developed by RES and PID methods. Also the CYPRUS which is a KAERI integrated database management system for the total system performance assessment (TSPA) related to the permanent disposal of HLW has been developed and the results of the FEP and scenario development have been uploaded in this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