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채수

Search Result 13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하천주변 사면에서의 인공강우와 자연강우를 이용한 토양침식실험

  • 홍세선;이창범;양동윤;이진영;김주용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269-272
    • /
    • 2003
  • 하천에 토사가 유입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주변 지역의 사면에서의 토양의 침식작용이며 이러한 현상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 (사면경사, 사면식생, 토양 입도, 사면거칠기 등)을 받지만 주로 물, 특히 강우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그러므로 정확한 강의 양과 강우 강도, 이에 따른 토양의 침식량을 정량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조건에 따라 토양의 침식이 어떠한 특성을 갖고 발생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체중 변화에 따른 산소 소비량

  • 김유희;조재윤;김병기;전중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357-358
    • /
    • 2001
  • 산소는 모든 육상 동식물뿐만 아니라 수중 동식물의 생명 유지에 가장 필수적인 요소이다. 양식에 있어 산소는 고밀도 사육시 환경 수용력을 조절하는 요인으로 그 중요성은 생물학적 그리고 경제적인 면에서도 강조되고 있다. 산소 소비량에 대한 연구는 담수어류를 대상으로 꾸준히 진행되어 오고 있으나, 해산어류의 경우 산소 소비량과 관련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Honda 1988; Kikuch et al., 1990; Lemarie et al., 1988). 해산어류를 대상으로 한 산소소비량의 연구는 주로 채수를 통하여 측정하였기 때문에 단위 시간당 측정할 수 있는 횟수는 한정되어 있어 정확한 산소 소비량을 산출하기 어렵다. (중략)

  • PDF

Mineralogy and Geochemistry of Carbonate Precipitaties from CO2-rich Water in the Jungwon Area (중원지역 탄산온천수의 탄산염 침전물에 관한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연구)

  • 김건영;고용권;최현수;김천수;배대석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3 no.1
    • /
    • pp.22-36
    • /
    • 2000
  • 중원지역 지열수의 CO2 가스의 용축과 수반된 탄산염 침전물의 광물학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탄산염 침전물에 대해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보았다. 이들은 매년 수 mm의 두께로 저수조내에 침전되며 미세한 층상으로 결정화되어 있고, 검은 갈색의 얇은 층들이 반복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침전물은 비교적 순수한 방해석으로 되어 있으며 1M HCl로 처리하여 잔류물을 XRD 분석한 결과는 카올린 광물 및 일라이트질 광물이 확인되었다. 전자현미분석에 의하면 검은 갈색층은 주로 방해석과 Fe나 Mn 산화광물의 집합체이며 소량의 점토광물도 함께 섞여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Fe의 경우에는 주로 방해석내 Ca자리를 치환하여 존재하며 일부 산화광물로 함께 침전된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Mn의 경우는 일부는 Fe처럼 방해석결정구조 내에서 Ca를 치환하면서 존재하기도 하지만 주로 산화물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후방산란전자상(BSEI) 관찰에 의하면 Fe와 Mn 모두 매우 미세한 입자의 산화광물들로 밀집해 있는 부분이 관찰되기도 한다. 중원지역 탄산수로부터 방해석이 침전되는 과정은 CO2 가스가 방출되면서 pH가 증가하면서 방해석 및 Fe, Mn 산화물이 과포화상태가 되어 침전되는 것으로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지하 심부를 순환하면서 활발한 물-암석반응의 결과로 Si나 Al 및 기타 이온들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탄산수가 pH가 높아지면서 카올린 광물이나 일라이트질 광물, 석영등의 규산염 광물들이 함께 침전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방해석의 침전과정이 이루어지는 과정 동안에, 온천공으로부터 채수되는 탄산수의 양이 수요에 따라 매우 불규칙해서 탄산수의 수요가 많은 경우 탄산수가 지속적으로 과잉 채수되면 주변 천층지하수가 탄산수에 혼합되어 Fe, Mn 등의 농도를 상대적으로 낮추게 되어 산화물형태로 침전되기가 어려워져서 거의 순수한 방해석만이 침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거의 순수한 방해석 층에 검붉은 층이 불규칙하게 반복되고 있는 중원지역 탄산염침전물은 침전작용이 일어나는 대부분의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주변 전층지하수의 유입이 일어났음을 지시하고 있다. 또한 Fe, Mn 등의 함량이 높은 탄산수로부터의 침전은 매우 짧은 기간동안 단속적으로 일어났음을 지시한다.

  • PDF

Seasonal Variation of Heterotrophic Bacteria of the Marine Ranching Ground of Tongyeong Coastal Water, Korea (통영 바다목장 해역의 종속영양세균의 계절적 변화)

  • 김말남;임아현;이진환;김종만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2 no.1
    • /
    • pp.75-82
    • /
    • 2004
  • Surface and bottom sea water samples were harvested from the 5 stations in the marine ranching ground of Tongyeong coastal water from year 2000 to 2002. Cell number of heterotrophic bacteria was determined by using the plate counting method to explore the variation of the cell population of heterotrophic bacteria. Sea water samples collected in summer (in July and August) contained much larger number of heterotrophic bacteria than those harvested in spring, autumn and winter. Heterotrophic bacteria were usually more abundant in surface sea than in bottom sea water. However the reverse was true for sea water collected in December 2001 and February 2002 due to suspended solids accumulating more abundantly in seabed area because of the slower convective current of the sea water in winter. Number of heterotrophic bacteria did not have a strong relationship with frequency of typhoon indicating that the path and powerfulness of the typhoon,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 and temperature variation accompanying the typhoon should be considered all together at the same time as well as the frequency of typhoon to explain clearly the variation of cell number of heterotrophic bacteria. The dominant species isolated from the marine ranching ground of Tongyeong were identified to be Pseudomonas fluorescens, Pseudomonas stutzeri, Acinetobacter lwoffii and Sphingomonas paucimobilis.

The Effects of Liquid Pig Manure Application on the Production of Japanese Millet (Echinochloa crusgalli) Soil Properties, and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Leaching Water (돈분 액비 시용이 피의 생산성, 토양 특성 및 용탈수의 화학적 조성에 미치는 영향)

  • Kim, Moon-Chul;Song, Sang-Taek;Hwang, Kyung-Jun;Lim, Han-Ch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26 no.4
    • /
    • pp.257-266
    • /
    • 2006
  • Studie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liquid pig manure on the production of Japanese millet,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asture soil and leaching water. The study was undertaken from June to September 2005.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as used to allot four treatments: T1 (no fertilizer), T2 (N : 200 kg/ha, p : 150 kg/ha, K : 150 kg/ha), T3 (liquid pig manure containing 1.7% DM 200 kg N/ha) and T4 (liquid pig manure containing 7.0% DM 200 kg N/ha). Leaching water was sampled at 21 August (1st time), 9 September (2nd time) and 26 September (3rd time), 2005,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ry matter yield of Japanese millet was found among the four treatments, whereas the plant lengths of Japanese millet were higher in the T2, T3 and T4 than in T1 (p<0.05). Nitrogen, P and K uptake of J. millet tended to be influenced by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 or 7.0% DM liquid pig manure compared with T1 or 1.8% DM liquid pig manure. The organic matter (OM) content of soil was higher in T2, T3 and T4 than in T1. Na content was highest in T3 among the four treatments. $NO_{3^-}N\;or\;NH_{4^-}N$ content in leaching was not different among the four treatments. $SO_4$ content in leaching water sampled in 1st time was high in T4, but in T3 from 3rd time (p<0.05). Cl, Mg and Na contents were high in leaching water sampled in the 1st time from T4, whereas high in those from T3 in 2nd or 3rd time. Results show that the application of a high DM liquid pig manure is not better for producing Japanese millet and improving the properties of pasture soil than a low DM liquid pig manure. However, the contents of $SO_4$, Cl, Mg and Na in leaching water sampled in 1st time were high in a high DM liquid pig manure.

Variations of Estimated Pollutant Loading from Rural Streams with Sampling Intervals (채수빈도를 고려한 소하천의 수질오염부하량 특성 연구)

  • 강문성;박승우;윤광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 /
    • 1998.10a
    • /
    • pp.552-557
    • /
    • 1998
  • Sampling schemes are intended for use in situations where stream-flow data are collected regularly, but concentration data are collected during only a limited number of time periods. Estimating water pollutant loading considering sampling intervals is presented, an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e criterion is applied to the sampling station HS#3 of the Balan-reservoir watershed which is located at the southwest of Suwon. The stratification is employed uniformly for all sampling strategies in that the strata boundaries are defined using the actual distribution of flow values and the selected nonexceedence probabilities to minimize inaccuracy. Ratio estimator for SS, T-N, and T-P were used in order to calculate the water pollutant loading. A sampling scheme incorporating stratified sampling with real-time of the sampling characteristics is found to give the appropriate estimate of the mass load.

  • PDF

Effects of Sampling Frequency During Storm Period on Estimation of Pollutant Load from Paddy Field (논에서 일주기 수질조사시 채수빈도가 오염부하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

  • Han, Kuk-Heon;Yoon, Kwang-Sik;Cho, Jin-Goo;Cho, J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3.10a
    • /
    • pp.283-286
    • /
    • 2003
  • In order to examine effects of sampling frequency during rainfall-runoff process from paddy field on the estimation of pollution load, EMCs of several water sampling frequencies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of EMCs between one time sampling and two hours consecutive sampling during storm event showed $34.1{\sim}-19.1%$ for T-N, $55.4{\sim}-27.3%$ for T-P, $68.5{\sim}-41.0%$ for the SS, respectively. Five times sampling reduced difference of EMCs compared to those two hours interval sampling to $15.2{\sim}-15.2%$ for T-N, $20.0{\sim}-26.2%$ for T-P, $28.6{\sim}-35.7%$ for the SS, respectively.

  • PDF

낙동강 함안군 칠서 강변여과 개발 예정지역의 수리지구화학적 특성조사

  • 김주환;백건하;김형수;김진삼;윤성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561-564
    • /
    • 2003
  • 강변여과수 개발 예정지역인 함안군 칠서지역의 수질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2003년 4월과 2003년 8월 2회에 걸쳐 강변여과수 양수정, 관측정, 주변지역 지하수 및 낙동강 원수 등 총 38개의 물시료를 채수하여 분석하였다. 용존 이온 분석 결과 연구 지역 지하수의 경우는 Ca-HCO$_3$ 유형 또는 Ca-Cl 유형에 속하며, 조사 지점에 따라 충적층 및 암반 지하수의 특징이 확연히 구분되었다. 조사된 지하수의 경우, 질산성질소와 철, 망간의 농도가 다른 성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중금속의 오염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난다. 낙동강 원수의 경우 질산성 질소, 철, 망간은 지하수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류의 영향으로 매우 높은 pH 값을 보여주었다. 채수된 전체 시료의 분석 결과, 질산성질소(39.1%), 철(13%), 망간(39.1%)이 주로 먹는 물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항목으로 나타났다.

  • PDF

지하수의 채취 및 전처리 방법에 따른 TOC 농도변화

  • 조수영;윤윤열;이길용;김용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413-416
    • /
    • 2004
  • TOC(total organic carbon)분석은 폐수 및 강수의 오염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서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COD(chemical oxygen demand) 와 함께 사용되어 왔다. TOC 측정시간은 10분 정도로 BOD(5~6일), COD(2~3시간)에 비해 아주 짧은 시간에 측정할 수가 있으며, 전처리과정이 단순하고 정확도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지하수의 잠재오염성을 밝혀내기 위한 도구로 TOC를 활용하여 신뢰성 있는 분석 값을 얻기 위해서 시료의 채취, 보관, 측정까지의 최적 조건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아울러 시료 채취 후 일정 경과 시간에 따른 TOC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시료채취 용기, 채취 후 산성화, 보관방법 및 기간에 대한 실험 결과, 대상 변수에 따라서 TOC의 농도변화에 커다란 차이점을 볼 수 있었다. TOC 농도가 낮은 지하수시료의 측정에서는 빛을 차단시킨 불투명 유리병을 사용해야만 하고 채취 즉시 산도를 높여(pH<2)주며 4$^{\circ}C$ 이하에서 보관하여야 한다. 지하수중 TOC 측정시료는 가능한 보관 기간에 있어서 채수 후 24시간 이내에 측정하는 것이 좋으나 1) 본 연구에서는 채취현장과의 거리를 고려하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기간에 따른 TOC 변화를 30일까지 측정, 조사하였다.

  • PDF

A Study on Combined Heat Transfer in a Enclosure with a Block (밀폐공간내의 피가열체 존재시 복합열전달에 관한 연구)

  • Hong, Seong-Kook;Ryou, Hong-Sun;Hong, Ki-Bae;Chae, 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 /
    • v.15 no.1
    • /
    • pp.19-27
    • /
    • 2000
  • This paper numerically deals with combined heat transfer in a enclosure with a block. The block affected by hot wall is located centrally in the enclosure with a radiating gray gas. The discrete ordinate method(DOM) was used for solving the radiative transfer equation. Both laminar and turbulent cases were investigated for various Rayleigh number and standard k-$\varepsilon$ model was adopted to turbulent case. The effects of optical thickness, wall emissivity and fluid-solid thermal conductivity ratio are investigated on the flow and temperature fields. This study shows that as the wall emissivity decreases,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gradually becomes uniform and the heat transfer is reduced in enclosu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help to design the energy system related to the combined heat transfer and operate it saf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