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채널 스위칭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1초

IMT-2000에서 이중 모드 패킷 서비스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Dual Mode Packet Service in the IMT-2000)

  • 반태원;이상민;조유제;송재섭;정제민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3)
    • /
    • pp.259-261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IMT-2000 시스템에서 공용 채널과 전용 채널을 동시에 사용하는 이중 모드 패킷 전송 방식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공용 채널을 통한 패킷 전송은 랜덤 액세스 방식을 사용한다. 이중 모드 패킷 전송 방식은 전송할 패킷의 길이와 발생 빈도에 따라 공용 채널과 전용 채널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높은 전송 효율을 보장하는 전송 방식이다. 이중 모드 패킷 전송 방식은 전송할 패킷의 크기가 스위칭 문턱값 보다 클 경우 전용 채널을 통해 전송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공용 채널을 통해 전송을 시도하게 된다. 이중 모드 패킷 전송에서 높은 전송 효율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스위칭 문턱값을 적절히 설정하여야 하며 최적의 스위칭 문턱값은 전용 채널을 요청한 후 할당받는데 걸리는 지연 시간, 공용 채널에서 패킷을 전송한 후 ACK를 받는데 걸리는 지연 시간, 전용 채널과 공용 채널의 오류율, 전용 채널과 공용 채널의 수 그리고 발생되는 평균 패킷 길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중 모드 패킷 전송 방식에서 트래픽 형태에 따른 최적의 스위칭 문턱값을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 PDF

스위칭 중계기를 사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용량 (Channel Capacity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Switching Repeater)

  • 김장욱;최완;오창헌;조성준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2001년도 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Vol.11 No.1
    • /
    • pp.68-73
    • /
    • 200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지하 주차장, 지하상가, 터널, 빌딩내부등과 같이 기지국에 의한 신호의 커버리지가 충분하지 못한 지역들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영역의 경제적인 해결 방안으로 중계기가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중계기의 수가 증가할수록 역방향 링크의 기지국으로 유입되는 잡음 전력이 중계기의 숫자에 비례하여 증가하기 때문에 채널 용량이 감소하게 된다. 수십, 수백개의 중계기가 하나의 기지국에 연결되는 상황에서 이러한 채널 용량의 감소는 더 이상 무시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커버리지 내에 통화중인 사용자가 없을 때에 자동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스위칭 중계기를 제안하였다. 스위칭 중계기를 사용하면 중계기의 커버리지 내에 통화중인 사용자가 없을 때 불필요한 잡음 레벨을 줄일 수 있다. 스위칭 중계기를 사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채널 용량을 수학적으로 분석하여 스위칭 중계기를 사용하지 않는 상황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스위칭 중계기를 사용할 때 충분히 채널용량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의 공간 주파수 블록 코딩에서의 부호 반전 채널 스위칭 기법 (Sign Reversal Channel Switching Method for Space-Frequency Block Code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 정혁구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13-21
    • /
    • 2020
  • 이 논문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 사용하는 공간 주파수 블록 코딩에서의 부호 반전 채널 스위칭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소스 데이터를 다른 안테나로 보내는 경우에는 수신기는 바뀐 그 채널에 적합하도록 결합 방법을 바꾸어야 한다. 만일 미리 정의된 채널 스위칭 시퀀스를 모르는 수신기라면, 수신한 데이터를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게 된다. 채널 스위칭을 위한 송신 데이터를 바꾸는 경우에는 데이터 심볼들을 공간 주파수 블록 코딩 형식에 맞추어서 바꾸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송신 안테나 간의 데이터 심볼들을 바꾸는 것이 아닌 단지 부호 반전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다른 결합 방법을 발생시킴으로써 수신기에서 간단한 암호화로 동작함을 보였다.

공간적 상관도가 존재하는 채널에 강인한 다중안테나 선택 및 스위칭 시스템 (An Antenna Selection and Switching System Robust to Spatially Correlated Channel)

  • 심세준;박승일;이학주;이충용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1권7호
    • /
    • pp.55-61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공간 다중화 방식과 다중안테나 다이버시티 기법에 대한 안테나 선택 및 스위칭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공간적 상관도가 존재하는 채널에서, 안테나 선택을 통해 공간적 상관도를 극복하고 다이버시티와 공간다중화의 스위칭을 통해서 시스템의 오차확률을 개선시킨다. 즉, 제안된 시스템은, 4×2 안테나 환경에서 2개의 전송 안테나를 선택하고, STTD와 BLAST를 순시 채널 정보에 따라 비교하여, 안테나를 선택하고 두 기법을 스위칭 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모의 실험을 통해, 제안한 안테나 선택 및 스위칭 기법이 2×2 시스템에서 안테나 스위칭 기법보다 낮은 상관도에서 약 2.3㏈, 높은 상관도에서 약 3㏈의 성능 향상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광 인터넷에서 망 관리를 이용한 자동 구성 메커니즘 (Auto-Configuration Mechanisms Using Network Management at Optical Internet)

  • 안명규;권태현;차영욱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640-643
    • /
    • 2002
  • 링크 관리 프로토콜에서 데이터 링크의 연결성 검증 및 링크 식별자의 자동 매핑을 위하여 교환하는 Test 메시지와 제어채널의 IP 주소를 자동으로 발견하기 위한 Bootstrap 메시지는 제어채널이 아닌 데이터 링크로 전달되므로 광 네트워크에서 불투명한 스위칭 기술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불투명한 스위칭 기술을 지원하지 않는 광 네트워크에서 망 관리 기능을 이용하여 인접 노드 사이의 제어채널에 대한 IP 주소 및 인접 노드와 데이터 링크에 대한 식별자를 자동으로 구성 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망 관리를 통한 자동 구성은 불투명한 스위칭 기술을 지원하지 않는 광 네트워크에서 수동 구성에 따른 오류 발생의 가능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 PDF

IMT-2000에서 동적 스위칭 임계점을 이용하는 이중 모드 패킷 전송방식 (Dual Mode Packet Transmission Scheme using a Dynamic Switching Threshold in the IMT-2000)

  • 김장욱;반태원;오창헌;조성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907-915
    • /
    • 2003
  • 유선 통신환경과 비교해서 무선 자원이 부족한 무선 환경에서는 매우 효율적인 패킷 전송 방식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는 이중 모드 패킷 전송 방식이 널리 사용된다. 스위칭 기준에 따라서, 패킷은 전용채널이 할당되거나 또는 공통의 채널을 통해서 전송된다. 일반적인 기준은 패킷의 길이와 생성 주파수이다. 즉 크고 발생 빈도가 높은 패킷은 전용 채널을 통해서 전송되고 작고 발생빈도가 낮은 패킷은 공통 채널을 통해서 전송된다. 이중 모드 패킷 전송 방식의 성능은 스위칭 기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렇지만 최적의 스위칭 포인트를 찾는 것은 매우 힘드는데 스위칭 포인트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트래픽 부하와 생성된 패킷의 길이와 채널의 수와 같은 환경에 따라 변동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 스위칭 임계점(dynamic switching threshold)을 이용하는 이중 모드 패킷 전송 방식을 위한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이 방식에서는 스위칭 임계값이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서 변동한다. 제안한 방식의 성능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기존의 이중 모드 패킷 전송 방식과는 달리 제안한 방식의 성능이 네트워크 환경의 영향을 그다지 받지 않음을 보여준다.

상관된 페이딩 채널에서 하이브리드 ARQ를 사용하는 V-BLAST 시스템의 수율 (Throughput of V-BLAST System using Hybrid ARQ in Correlated Fading Channels)

  • 김봉회;황승훈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1호
    • /
    • pp.66-7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H-ARQ를 위한 NACK 신호를 이용한 안테나 스위칭 방식을 제안하고 V-BLAST 시스템에서 분석하였다. 여기서 전송 안테나는 재전송시 번갈아 스위칭 되어 동작한다. 상관된 페이딩 채널에서 제안된 방식의 채널 용량을 해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채널 상관성의 악영향이 안테나 스위칭 방식으로 줄어듦을 보인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상관된 페이딩 채널에서 평균 수율은 큰 복잡도의 증가 없이 개선되어질 수 있음을 보인다.

제주 정낭(錠木) 채널 Code III (Jeju Jong-Nang Channel Code III)

  • 박주용;김정수;이문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91-103
    • /
    • 2015
  • 본 논문은 제주 정낭 채널 code I, II에 이은 "수신기 협력을 이용한 간섭 디코딩 기반 3-user NOR 스위칭 채널"을 다루고 있다. 제주 정낭 코드 (Jeju Jong Nang code) 는 스위칭 회로를 "1" 또는 "0" 의 이진 심볼로 해석하는 인류 최초의 HBCC (human binary coded communication)로 여겨진다. 본 논문에서는 3-user 정낭 NOR 스위칭 채널 기반 수신기 협력 간섭 디코딩의 실제적인 예를 소개한다. 제안한 시스템 모델은 TUJN (three user Jong Nang) NOR 스위칭 on-off 로직과 3-user 결정적 (deterministic) NOR 스위칭 채널 및 수신기 협력 GIC (Gaussian interference channel)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모델은 Shannon의 이진 시스템과 erasure 채널 용량에도 잘 맞는다. 또한 자유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각 협력 수신기가 이웃 수신기들을 도울 수 있다는 의미의 결정적 채널을 얻기 위한 3-user Gaussian 간섭 디코딩의 응용 예를 제시하고, 이웃 수신기 협력을 통한 최적 간섭 완화 sum rate이 7 bits에 달한다.

스위칭 중계기를 사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용량 (Channel Capacity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Switching Repeater)

  • 김장욱;최완;오창헌;조성준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3-39
    • /
    • 2002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지하 주차장, 지하상가, 터널, 빌딩 내부 등과 같이 기지국에 의한 신호의 커버리지가 충분하지 못한 지역들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영역의 경제적인 해결 방안으로 중계기가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중계기의 수가 증가할수록 역방향 링크의 기지국으로 유입되는 잡음 전력이 중계기의 숫자에 비례하여 증가하기 때문에 채널 용량이 감소하게 된다. 수십, 수백개의 중계기가 하나의 기지국에 연결되는 상황에서 이러한 채널 용량의 감소는 더 이상 무시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커버리지 내에 통화 중인 사용자가 없을 때에 자동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스위칭 중계기론 제안하였다. 스위칭 중계기를 사용하면 중계기의 커버리지 내에 통화중인 사용자가 없을 때 불필요한 잡음 레벨을 줄일 수 있다. 스위칭 중계기를 사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채널 용량을 수학적으로 분석하여 스위칭 중계기를 사용하지 않는 상황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스위칭 중계기를 사용할 때 충분히 채널용량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공간적 채널 상관도에 따른 통계적인 채널 특성을 이용한 다중 안테나 선택 및 스위칭 시스템의 성능 분석 (Theoretical Analysis of MIMO Antenna Selection & Switching System to Spatial Channel Correlation using Channel Statistics)

  • 이학주;박승일;이충용;박현철;홍대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2권4호
    • /
    • pp.15-20
    • /
    • 2005
  • 일반적으로 공간적 상관도가 존재하는 채널에서 다중 안테나 시스템은 그 성능이 열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안테나 선택을 통해 공간적 상관도를 극복하고 다이버시티와 공간 다중화의 스위칭을 통해서 시스템의 에러 확률을 개선하는 안테나 선택 및 스위칭 시스템 방식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의 경우 채널의 공간적 상관도에 대한 모델링의 어려움으로 인해 이론적인 분석이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채널의 Frobenius norm과 최소 고유치들의 통계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안테나 선택 및 스위칭 시스템의 성능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모의 실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유사한 성능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