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채광 시뮬레이션

Search Result 42,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 Comparative Evaluation of Daylighting Performance Software : Lumen-Micro, Adeline and Lightscape (채광성능 평가용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비교분석)

  • Kim, J.T.;Chung, Y.G.;Moon, G.H.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23 no.1
    • /
    • pp.48-56
    • /
    • 2003
  • Three of the leading computer daylighting simulation programs are compared with physical modeling techniques as a means of predicting daylighting performance of interior spaces. Lumen-Micro, Adeline and Lightscape are compared with physical model experiments under clear sky conditions. The comparative evaluations are conducted on analysis of daylight illuminance ratio(%) depending on model types. The estimated average errors are analyzed on 9.4% in Lumen-Micro, 6.3% in Adeline and 3.4% in Lightscape. Therefore, it is proved that three programs are useful for evaluating daylighting performance in our clear sky condition.

Design, Fabric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Fiber Optic Concentrators for Daylighting (자연채광을 위한 화이버 광학 집광기의 설계, 제작 및 성능 평가)

  • Han, Hyun-Joo;Kim, Jeong-Tai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27 no.4
    • /
    • pp.129-136
    • /
    • 2007
  • 자연광의 이용은 큰 어려움 없이 지속 가능한 에너지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고려되고 있다. 여러 개의 작은 반사경을 적용한 태양 추적식 자연채광 시스템은 비교적 단순한 메카니즘을 적용하여 그 성능과 효용성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제작, 설치 작동 그리고 활용성에서 상당한 이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작은 mini-dish형 반사경(직경<30cm 이하)을 이용한 화이버 광학 집광기의 설계, 제작 및 작동 특성에 대하여 소개하고, 아울러 광추적 프로그램인 Photopia를 이용하여 그 성능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주요 구성 요소에서의 광추적에 의한 시뮬레이션 결과치는 실제 시스템의 설계 및 성능 예측에 중요한 기술적 데이터를 제공하며, 특히 실측이 곤란한 측정 면에서의 빛의 경로 해석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Electric lighting energy saving through the use of a Fresnel lens based fiber-optic solar lighting system : Simulation and measurements (광화이버 및 Fresnel lens 적용 집광식 자연채광 시스템의 이용을 통한 조명에너지의 절감 : 시뮬레이션 및 실측 비교)

  • Jeong, Haejun;Kim, Wonsik;Kim, Yeongmin;Han, Hyun Joo;Chun, Wongee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6 no.1
    • /
    • pp.34-44
    • /
    • 2017
  • This paper deals with the effectiveness of a fiber optic solar lighting system that uses a Fresnel lens mounted on a two-axis solar tracker. A series of comparative analyses were made concerning its performance as compared to fluorescent lighting by using a simulation model based on ECOTECT and RADIANCE as well as referring to actual data. ECOTECT was used to model the test room (space) while RADIANCE was used for its indoor lighting conditions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indoor light levels of fluorescent lighting fully satisfy the KS standard (KS A 3011, general office, class [G]: 300-400-600lux) whereas those of the solar lighting with light diffusers depends on the occlusion factor of roller shades installed on the south window.

A study on applicability of mirror reflector system in tunnel using simulation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한 반사거울 시스템의 터널 적용성 연구)

  • Lee, Beom-Seok;Lee, Kun-Il;Jeong, In-Young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3 no.5
    • /
    • pp.371-383
    • /
    • 2011
  • It is important to secure illumination for the driver's safety because the tunnel is a space for changing brightness quickly, and lighting fixtures of the tunnel have consumed a lot of electric lighting energy for operating in both the daytime and at night. This study aims to evaluate daylighting performance of Mirror Reflector System for luminous environment improvement of tunnel space by using RADIANCE simulation program. The results of simulation show that illuminance of bar type is higher than illuminance of pole type at 20 m from the tunnel entrance.

Study on Development of Light Duct System for Perimeter Occupied Zone on Underground Space (지하대공간에 있어 Perimeter Occupied Zone에 대한 채광덕트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김회서;이성주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3 no.4
    • /
    • pp.21-26
    • /
    • 1999
  • Using daylight in underground spoce may significantly reduce electric lighting load and give a visually comfortable environment. This reper describes a fundaIrentaI study on light duct system to predict inter illuminance ratio on underground periIreter occupied zone level. As a result, integral equation for inter-reflection program are developed and by using optimize light duct system can gives daylight on deep underground space. space.

  • PDF

Probabilistic Evaluation of the Panel Life Time Using Steel Beam for Panel Mining in Soft Rock (연약암반내 패널채광시 강지보를 이용한 패널 유지기간의 확률론적 평가)

  • Jang, Myoung-Hwa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8 no.4
    • /
    • pp.325-342
    • /
    • 2018
  • The ${\bigcirc}{\bigcirc}$ mines have been tried in various ways to perform secondary and tertiary mining in fragile rock properties. For such mining, the panels should be maintained while the mining compartments are divided and paneled. In this study, the mining gate between the panels was maintained by a steel beam and the panel life time was probabilistic evaluated. We used Taylor's formula for panel life time and modified the Pert distribution conceptually. The main input data were determined by the Pert distribution, and Monte Carlo simulation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anel life time for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panels could be stand-up time from a minimum of 6.5 days to a maximum of 20.6 days when the panel width was 18 to 25 m. At the confidence level of 90%, the panel life time was analyzed as 8.2-15.6 days. The short panel life time is not possible with the panel mining. Therefore, it was planned to construct a steel beam for panel maintenance. As result, it was analyzed that steel beam for panel maintenance with mining plan of less than 3 years according to mine could maintain panel within 90% confidence level.

An Analysis of Daylighting Performance of Light Shelf in Office Building (사무소 건물에서 광선반의 채광성능 분석)

  • Park, Byung-Il;Yang, In-Ho;No, Mi-H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2 no.8
    • /
    • pp.1-1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sign guideline for an effective application of light shelf in office building. For this, the computer simulation using Daylighting System of 3Ds Studio Max was performed, and the optimal values related to design factors such as a depth, a surface reflectance and a installation angle of light shelf were obtained. Then daylighting performance of light shelf using the optimal values was analyzed, and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optimal light shelf can improve a indoor lighting environment in office building.

The Effect of indoor illuminance depends on direction of the side windows lighting (측창채광의 방향에 따른 실내조도의 영향)

  • Cho, Shee-Man;Kim, Won-Joong;Jang, Wo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4.05a
    • /
    • pp.253-260
    • /
    • 2004
  • 실내의 조명은 자연채광방식과 인공조명으로 나누어지는데 자연형 채광방식에서도 측창채광과 천창채광, 정 측창채광 그리고 반사 채광방식이 있다. 측창채광은 벽면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연직인 창에 의한 채광을 말한다. 측창채광의 방향에 따라 실내조도는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측창채광의 동서남북의 방향에 따라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계절에 따라 아침, 점심, 저녁시간대에 따라 변화되는 실내조도를 알아보았다. 실험방법은, 조명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Lightscape V3.2를 사용하여 교실공간의 치수와 작업면의 높이를 가로 5.8[m], 세로 10.8[m], 높이 3[m], 작업면의 높이 0.75[m]로 정하였고, 각 시설물의 반사율[p]은 벽 80%, 창문 12%, 출입문 13%, 바닥 20%, 천장 85%로 지정하였으며 창문의 투과율은 88%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변수 값은 계절은 여름을 6월20일, 겨울은 1월20일 기준으로 하고 시간대는 09시, 13시, 18시로 하였으며 창측방위는 동, 서, 남, 북으로 정하였으며 계절과 시간은 가장 차이가 많이 나는 값을 선택하였다. 결론으로 창이 남쪽일 때 평균조도가 9,100[lx]로 가장 높았고, 시간별로는 점심에 19,590[lx]로 조도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조도 균제도는 창이 동쪽일 때 겨울에 가장 높았다. 창이 북쪽일 때는 여름이 겨울보다 평균조도가 약간 높았고, 시간별로는 아침에 조도가 약간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전체적으로 북쪽 창에서 실내조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측창의 브라인드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수직 브라인드 대신에 수평 브라인드를 사용하여 주광의 범위를 넓게 조절하여 사용하게 하고, 점등제어를 현재 측창면과 수직으로 되어있는 배열을 수평으로 한다면 자연채광의 효과를 배가 할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미백 전, 미백후, 재광화 후 미세경도 변화 양상이 미백을 하지 않은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p > 0.05) 미백 전과 미백 후의 미세경도의 차이 미백후와 재광화 후의 미세경도의 차이도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p > 0.05). 따라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whitening strip과 미백 젤은 14일 동안의 통상적인 미백과정 동안 법랑질의 미세경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able pitch와 helical angle보다는 근본적으로 radial land가 screw-in effect의 예방에 더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따라서 NiTi file의 사용 경험이 없는 초심자의 경우 근단부 폭경의 유지능력이 좋은 ProFile$^{(R)}$의 사용이 추천된다.)되었다.였으나 강남콩군 외에는 단백질의 소화 흡수율 및 효율은 크게 향상되지 않아 단백질의 소화 흡수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에 관한 연구가 집중적 으로 이루어져야 하리라고 생각된다.면 바로 위 지점의 풍속을 측정하였다. 각 Seeding 물질에 대해 팬을 켜지 않았을 때, 즉 바람의 영향이 없을 때 측정한 표면유속을 바람의 세기가 변한 경우의 기준 표면유속으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비중이 0.01 내외인 Ecofoam과 white polystyrene에 비해 비중이 0.92인 black polypropylene은 대부분이 물속에 잠겨 있어 흐름과 거의 일치하여 움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흐름의 평균유속이 0.165 m/s의 저유속에서 바람이 tracers에 미치는 영향이 평균유속 0.558m/s인 경우보다 커서, 바람의 세기의 증가에 따라 표면유속 측정값이 급속히 감소되었다. 흐름의 평균유속이 큰 경우에는 바람이 tracer에 마치는 영향이 현격히 줄어듬을 보이고 있다. 결론적으로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바람의 영향은 감소하나, 바

  • PDF

Developing a Sky Simulator for Daylighting Performance Evaluation (자연채광 성능평가용 인공천공돔(Sky Simulator)의 개발)

  • Yu, In-Hye;Kim, Gon;Kim, Jeong-Ta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1a
    • /
    • pp.67-72
    • /
    • 2005
  • 자연채광 성능평가의 연구 방법으로는 현장측정, 축소모형실험, 수학적 알고리즘에 기초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등이 있다. 현장측정과 축소모형실험은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지만, 변화가 많은 자연광의 특성으로 인해 객관성 있는 측정결과를 얻는 것에 제한적이었다. 인공천공돔(Sky Simulator, Artificial Sky Dome)은 축소모형 실험 시 이러한 문제점의 보완을 위한 평가 시설이며 천공의 상태를 일관성 있게 조정함으로써 보다 객관성 있는 자연채광연구를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K대학에서는 직경 6[m], 높이 3.7[m]의 인공천공돔을 자체 개발 제작하여 연구에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천공돔 기존사례에 대한 고찰과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K대학 인공천공돔의 개요를 소개하고 기본적인 물리량 측정을 통해 인공천공돔의 신뢰성을 검증하고 유용성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