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창호재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36초

ODA의 국내·외적 동향과 한국사회복지계의 과제에 관한 연구 -부산 OECD 세계원조총회(HLF-4)를 계기로- (A Study on the ODA Trends and the Tasks of Korean Social Work Community)

  • 이창호
    • 사회복지연구
    • /
    • 제43권1호
    • /
    • pp.305-337
    • /
    • 2012
  • 2011년 말 부산에서 열린 OECD 세계원조총회(HLF-4)는 전세계 160개국의 장관급 및 유엔, 기업, 민간 재단, NGO 대표 등 2,000여명이 참석, 개발도상국의 사회복지 문제를 해결할 중요 재원중 하나인 ODA(공적개발원조)의 원조효과성을 재논의 하는 중요한 국제회의였다. 그러나 이같이 사회복지와 관련된 중요한 국제회의에 당시 국내 및 국외의 전문사회복지(social work)계 대표단체들은 거의 그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왜 그 같은 현상이 발생했을까? 본 연구는 바로 이 같은 문제의식에서 전문사회복지계가 개도국 사회복지 문제해결에서 과거 어떤 국제적 리더쉽을 행사했고, 또 어떻게 그 리더쉽을 잃어갔는지의 역사적 과정과 그 이유를 살펴보았다. 또한 그 같은 경험을 바탕으로 이제 막 국제사회복지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한 한국 사회복지학계 및 현장이 향후 준비해야 할 과제들을 탐구해 보았다.

SEED 구현 적합성 검증 시스템에 관한 연구 (On the SEED Validation System)

  • 김역;정창호;장윤석;이상진;이성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69-8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정보보호 제품의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암호 알고리즘의 구현 적합성에 대해 논의한다. 암호 알고리즘 구현 적합성 평가는 지정된 표준에 맞게 정확하게 구현했는가에 대한 평가이다. 따라서 해당 암호 알고리즘 기능별 또는 절차에 따라 알고리즘 평가가 수행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암호 알고리즘 평가 검증은 국내 표준인SEED 알고리즘을 그 대상으로 하며, 알고리즘의 기능에 따라 평가를 수행한다. 제안한 검증 시스템은 SEED 알고리즘 구현물에 대해 충분히 테스트하기 위해 필요한 테스트 벡터를 생성하여 이용하는 테스트와 검증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임의 데이터를 이용한 테스트를 제공한다. 제안한 검증 시스템은 SEED를 이용한 정보보호 제품에 모두 적용 가능하므로 각종 암호제품 평가 및 인증에 활용될 수 있다.

건강한 성인의 전거근의 선택적인 활성화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큐잉 방법 (Effective Cueing Method That Increases Selective Muscle Activation of the Serratus Anterior in Healthy Adults)

  • 최종재;송창호
    • PNF and Movement
    • /
    • 제19권2호
    • /
    • pp.269-278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effective cueing methods for selective muscle activation of the serratus anterior. Methods: Based on the inclusion criteria, 26 healthy adults, both males and females, were recruited for the measurement of muscle activation of the upper trapezius and serratus anterior muscles while performing basic movements in knee push-up plus (KPP) and dynamic hug (DH) positions using five different cueing methods. An electromyogram was used to measure muscle activation, and both muscle activation and muscle ratio (serratus anterior/upper trapezius) were compared during the basic movements and different cueing methods. The cueing methods were trapezius verbal cueing, trapezius verbal cueing + trapezius tactile cueing, emphasis verbal cueing, serratus anterior tactile cueing, and trapezius verbal cueing + trapezius tactile cueing + serratus anterior tactile cueing.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uscles for the two exercises (p < 0.05).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ueing methods (p < 0.05). The correlative effect between the muscles and cueing methods was also significant (p < 0.05). The muscle ratio in trapezius verbal cueing + trapezius tactile cueing + serratus anterior tactile cueing during KPP and DH was higher than in basic movements and other cueing methods. This confirms that trapezius verbal cueing + trapezius tactile cueing + serratus anterior tactile cueing is an effective cueing method for selective activation of the serratus anterior during KPP and DH. This study also demonstrated that cueing by a therapist may both increase and decrease selective muscle activation.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an effective cueing method to selectively activate the serratus anterior may be suggested,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basic information regarding future studies and clinical practice.

생물학적인 방법을 이용한 방부처리재의 중금속 제거 (II) - CCA, CCFZ 처리재에서 중금속 제거 - (The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Treeated Wood by Biological Methods (II) -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CCA and CCFZ- treated Wood -)

  • 손동원;이동흡;강창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2호
    • /
    • pp.1-8
    • /
    • 2004
  • 갈색부후균 Tyromyces palustris를 이용하여 CCA처리 목재와 CCFZ처리 목재에서 중금속을 제거하였다. 전처리 방법으로써 증기압처리와 수산처리가 검토되었다. 수산 전처리에 의한 균처리의 제거율 상승 영향과 일정 균체량에 대한 방부처리재의 폭로양의 차이에 따른 처리율의 변화정도를 검토하였다. 배양방법을 달리하여 방부처리재의 유효성분 제거량을 비교하고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중금속 제거를 실시하였다. 크롬과 비소는 수산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제거율이 증가하였으나 구리는 농도의 증가에 따른 제거율이 크게 향상되지 않았다. T. palustris는 균체량 287 mg으로 크롬과 비소는 시료무게 3 g까지 60%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냈고 구리는 50%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진탕배양에서는 크롬, 구리, 비소의 제거율이 60% 이상의 제거율을 보였으며, 정치배양에서는 구리의 제거율이 진탕배양보다 높게 나타났다. 생물반응기 적용 시 7일 배양이후 제거율은 크롬 72%, 구리 61%, 비소는 59%이었다.

독활(Aralia cordata Thunb) 추출물의 Nitric Oxide Synthesis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s of Aralia cordata Thunb Extracts on Nitric Oxide Synthesis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 강창호;구자룡;소재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21-627
    • /
    • 2012
  • 항염증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의 개발을 위하여 천연 식물 자원으로부터 NOS 저해 활성 물질을 분리하고 그 이화학적인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항염증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58가지의 생약재에서 NO 저해효과를 확인해 본 결과 독활에서 80% 이상의 높은 저해활성을 가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독활 생약재 에탄올 추출물에서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water 순으로 용매 분획을 실시한 후 NO 생성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chloroform 분획에서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보여 최종 분리 시료로 선정하였으며, open column chromatography(silica gel, $C_{18}$)를 이용하여 최종적인 활성 물질(AC8-MV)을 분리할 수 있었다. 분리한 활성 물질(AC8-MV)의 순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analytical HPLC와 LC-ESI-mass spectrum를 분석한 결과 순수한 단일 물질로 분리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차후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NMR)를 통해 구조분석을 실시할 것이다. 또한 AC8-MV와 NO저해효과가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던 AC8-MVI 활성물질에 대한 순도 및 구조분석을 연구할 것이다. 이를 통해 독활로부터 분리한 활성물질(AC8-MV)이 NO inhibitor 로서 일반 항염증 약물 및 기능성 식품 소재로 실용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사용된 소파블록의 안전성 검토를 위한 시공단계별 충돌해석 (Impact Analyses for the Safety Checks of Used Wave Dissipation Concrete Block Considering Construction Phases)

  • 허택녕;최창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640-647
    • /
    • 2018
  • 우리나라는 지정학적 요인으로 인해 항만수요가 증가하고, 자연재난의 강도 또한 나날이 증대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중인 항만의 확장 및 증설 계획에 맞추어 이미 사용한 소파블록을 재활용할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소파블록의 재활용을 위한 평가시스템 및 규준이 현재 마련되어 있지 않아 기술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재활용 및 폐기여부를 판단하고 있기 때문에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이는 매우 비합리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파블록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지상에 놓인 소파블록은 육안으로, 수중에 놓인 소파블록은 잠수에 의한 외관조사를 수행하였고, 소파블록 20개에 대하여 반발경도를 측정하고, 3개소의 콘크리트 코어를 채취한 후, 이를 기초로 소파블록의 재료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사용된 소파블록은 시공단계에 따라 이동과 거치하는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파손되어 본래의 기능이 상실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된 소파블록의 안정적인 재사용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범용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ADINA를 이용하여 소파블록을 3차원 유한요소로 모형화하고, 소파블록의 이동, 거치 및 시공단계에 따른 충돌해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재료적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수행된 시공과정이 고려된 충돌해석결과로부터 소파블록의 재활용여부를 검토할 수 있는 합리적인 평가과정과 시공방법을 각각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사용된 평가방법으로 소파블록을 평가하여 재활용하면 경제비용적 관점에서 소파블록의 재사용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수직증축형 공동주택 리모델링 구조해석을 위한 PC말뚝 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restressed Concrete Pile Stiffness for Structural Analysis of Condominium Remodeling with Vertical Story Extension)

  • 최창호;이현지;최기선;유영찬;김진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12호
    • /
    • pp.81-92
    • /
    • 2017
  • 2013년 주택법 개정에 따라 최대 3개층까지 공동주택의 수직증축 리모델링 사업이 가능해졌다. 수직증축 리모델링은 추가하중으로 인한 구조 안전성 및 강화된 내진기준을 만족해야 하므로 기초보강을 필요로 하며, 말뚝 보강설계에서는 기존 말뚝과 보강 말뚝의 하중분담을 고려해야 한다. 말뚝의 하중분담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말뚝의 수직 강성($K_v$)이 필요하지만, 20~30년 전에 설치된 PC 말뚝 강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1990년대 아파트 신축시 수행된 38건의 현장 말뚝재하 시험 결과를 검토하여, 직경 및 길이의 변화에 따른 PC말뚝의 강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말뚝강성은 장경비(L/D)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장 말뚝재하 시험결과를 도로교설계기준해설(2008) 및 한국철도시설공단 말뚝기초의 설계(2012)에서 제안하고 있는 말뚝강성 산정을 위한 계수 'a'와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10

무균포장밥의 저장중 품질 변화에 관한 연구 (Quality Changes of Aseptic Packaged Cooked Rice during Storage)

  • 금준석;이창호;이상효;이현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49-457
    • /
    • 1995
  • 무균포장밥 제조시 탈산소제와 EVOH필름을 사용하지 않은 처리구는 무균포장밥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무균포장밥을 OPP/EVOH/EPL(P-1), PET/EVOH/EPL(P-2) 및 OPP/EVOH/LLDPE(P-3)의 포장재질과 FX 및 TSQ의 탈산소제를 이용하여 제조한 후 저장 온도 $20^{\circ}C,\;30^{\circ}C,\;40^{\circ}C$에서 저장 중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무균포장밥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분, 색도, pH, 산도 경도 및 총균수를 기간별로 측정하였다. 수분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저장 온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리드 포장재로 P-2와 FX type 탈산소제를 사용한 처리구의 수분 증발이 가장 낮았다. 저장중 색도의 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 L 값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a 값은 서서히 증가하였다. 리드 포장재로 P-2와 탈산소제는 FX type을 사용한 처리구의 색도 변화가 적어 품질이 가장 양호하였다. 저장중 pH와 산도의 변화는 P-3 포장재에서 pH는 저장 60일 후 5.5 이하까지, 산도는 20 이상으로 증가하였으나 나머지 처리구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무균포장밥의 경도 변화는 저장온도가 증가할수록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포장재 및 탈산소제의 종류에 따른 경도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60일 저장 후 총균수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20^{\circ}C$$30^{\circ}C$ 저장 온도에서는 저장 기간에 따라 리드 포장재나 탈산소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전 처리구에 걸쳐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40^{\circ}C$ 저장구에서는 저장 60일 후에는 $10^6\;CFU/g$ 이상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무균포장밥의 상온 유통은 6개월까지 가능하였으며 탈산소제의 종류보다는 리드포장재의 재질이 무균포장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융합영상(Fusion image)에서 움직임을 줄이기 위한 보정기구의 개발 (Development of Supplemental Equipment to Reduce Movement During Fusion Image Acquisition)

  • 조용귀;표성재;김봉수;신채호;조진우;김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7권2호
    • /
    • pp.84-89
    • /
    • 2013
  • PET-C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의 융합영상(Fusion image)에서 긴 영상 획득 시간에 의한 환자의 움직임은 융합영상에서 부적합한 결과로 나타나 영상의 질과 진단에 큰 영향을 준다. 의료장비 회사에서 제공하는 팔 지지대는 환자 자세에서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고려하지 않아 PET/CT를 검사하는 동안 팔과 머리의 움직임 때문에 뇌기저부의 영상 결손이 생기고 머리의 좌우, 상하 움직임으로 인하여 재촬영이 빈번하다. 이에 우리는 두경부와 팔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환자보정기구를 개발하여 PET/CT 촬영 시 환자에게 편의성과 안전성을 제공하고 환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재촬영을 줄이고자 한다. 2012년 6월부터 7월까지 PET Torso 검사를 위해 핵의학과에 내원하는 환자들 중 움직임에 불편함이 전혀 없는 환자 20명과 어깨 통증으로 팔을 올리기가 불편한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Patient Holding System (PHS)와 팔의 경사도($25^{\circ}$, $27^{\circ}$, $29^{\circ}$, $31^{\circ}$, $33^{\circ}$, $35^{\circ}$)를 변화시켜 가장 편안한 자세와 경사도를 선정 하였다. 또한 지지대 재질의 투과성에 대하여 유관업체의 검증을 하였고, 환자의 머리와 팔을 밴드(벨크로 형태)로 고정하여 이에 대한 편의성을 질의하였다. 그리고 움직임에 의한 재촬영 빈도를 알아보기 위해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PET Torso를 시행한 환자들 중 환자보정기구 사용 전/후 재촬영 여부를 분석하였다. 움직임에 불편이 전혀 없는 환자에서는 18명이 PHS와 팔의 각도가 $29^{\circ}$에서 가장 편안함을 느낀다고 답하였으며, 2명은 각각 $27^{\circ}$, $31^{\circ}$이라고 답하였다. 어깨 통증을 느끼는 환자에서는 15명이 $31^{\circ}$에서 가장 편안함을 느낀다고 답하였고, $33^{\circ}$에서 2명, $35^{\circ}$에서 3명이었다. 이를 위해 손잡이 부분이 상, 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 환자보정기구 재질의 투과성은 검증된 상태이며, 환자보정기구 자체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PHS와 보정기구를 밴드(벨크로 형태)로 고정시켰다. 두경부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홈을 만들고 머리를 고정할 수 있게 고정밴드를 부착 하였고, 손목 및 전완과 상완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고정밴드를 부착하여 팔의 흔들림으로 인한 움직임을 최소화 하였다. PET Torso 촬영 시 움직임에 의한 재촬영 빈도는 환자고정기구 사용 전 10.56% (191건/1,808명), 사용 후 2.77% (48 건/1,732명)로 7.79%의 발생 빈도를 줄일 수 있었다. 최근 의료 환경의 변화와 혁신으로 고가의 영상검사가 늘어남에 따라 고객이 요구하는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PET/CT를 검사하는 동안 환자의 편안함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인체공학적인 환자보정기구를 제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PET Torso 검사 시 환자의 체형과 상황에 따라 인체공학적 경사도를 상, 하 조절할 수 있는 환자보정기구를 제작하였으며, 팔의 움직임에 의한 뇌기저부의 영상결손을 줄이고 머리의 움직임으로 인한 재촬영을 줄일 수 있었다.

  • PDF

In vitro model system을 활용한 마늘 추출물의 치매예방 특성 (Preventive Characteristics of Garlic Extracts Using in vitro Model System on Alzheimer's Disease)

  • 최귀남;김지혜;곽지현;정창호;정희록;신정혜;강민정;성낙주;허호진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4호
    • /
    • pp.45-5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퇴행성 신경질환인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대한 마늘 물, 100% 메탄올, 디클로로메탄 추출물들의 acetylcholinesterase (AChE) 저해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마늘 디클로로메탄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AChE를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C_{50}$$36.1{\mu}g/mL$로 나타났다. MTT reduction assay를 이용해 amyloid ${\beta}$ protein ($A{\beta}$) 유도성 신경세포 독성에 대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세 가지 마늘 추출물들은 대부분 40% 미만의 세포생존율을 보였고 이 결과는 $A{\beta}$ 유도성 신경세포 독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세포독성을 보여주었다. LDH assay에서는 마늘 물 추출물이 37%의 LDH 방출량을 나타내 $200{\mu}M$의 vitamin C과 유사한 세포막손상 보호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neutral red uptake assay를 실시한 결과, MTT reduction assay와 마찬가지로 모든 마늘 추출물들에서 세포생존율의 감소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디클로로메탄 추출물의 경우 현저하게 낮은 세포생존율을 나타내었다. AChE 저해활성을 갖는 마늘 디클로로메탄 추출물로부터 얻은 column fractionations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을 탐색하기 위해 HPLC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마늘 98:2 fraction의 LC-MS 분석을 통하여 allyl methyl disulfide, diallyl monosulfide, diallyl disulfide로 추정되는 물질군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