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창호(窓戶)

검색결과 4,171건 처리시간 0.033초

(사)한국오리협회, 제9대 회장 취임 및 임원 상견례 성료

  • 한국오리협회
    • 오리마을
    • /
    • 통권70호
    • /
    • pp.103-104
    • /
    • 2009
  • 본회는 지난 3월 4일 제9대 이창호 회장 취임식 및 임원상견례를 개최하여 2006년$\sim$2008년까지 3년간의 임기동안 성실히 업무를 추진해 온 제8대 김만섭 회장과 전 임원들의 노고에 감사를 표하고, 앞으로 협회를 이끌어 갈 제9대 이창호 회장과 신임 임원들에게 격려의 뜻을 전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 PDF

강풍에 대비한 창호보호장치의 보강성능 평가 (Evaluation of Reinforcing Performance of Window Protection Device Against Strong Wind)

  • 박원빈;김홍진
    • 한국풍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55-161
    • /
    • 2018
  • 현대 사회에서 도시화와 온난화로 인한 태풍 등 강풍에 의한 피해는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 개발된 창호보호장치의 보강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비 보강된 판유리와 보강된 판유리의 2점 가력실험과 등분포하중 실험을 수행하였다. 창호보호장치의 보강성능은 휨 성능평가를 토대로 평가하였다. 창호보호장치의 이론적 성능 산정은 탄성하중법과 처짐 곡선의 미분방정식을 이용한 수식해석과 Midas-Gen을 이용한 전산해석을 통해 수행하였다. 실험값과 이론 산정 값의 최대하중 가력시의 판유리 중앙부 최대 처짐 비교를 통해 산정방법의 유효성을 검토하였다. 창호보호장치 부착 시 실험조건하에서 40%까지의 응력감소효과와 동일 하중하에서 71.4%까지의 처짐 감소 효과가 있었다. 판유리를 보요소로 해석한 결과보다 판유리를 판 요소로 해석한 결과가 오차가 적으므로 성능 판단 시 가능하면 판 요소로 해석을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유지관리단계의 하자 재발생을 고려한 창호공사 시공단계의 중점관리요소 분석 (Analysis of Major Factors of Window Work in Construction Phase Considering Recurrence of Defects in the Maintenance Phase)

  • 정우진;김대영;임지영;박현정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53-664
    • /
    • 2021
  • 최근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의 건설기준 강화에 따라 고효율 주택의 수요가 증가하며, 창호공사의 비중이 함께 증가하고 있다. 창호는 사용빈도가 높고, 시공 시 특성에 따라 많은 하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정부 기관이 공공임대주택에서 발생한 하자 민원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접수된 민원 중 창호공사의 하자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해보았고, 국내의 기존연구들은 창호공사의 시공 특성과 유지관리의 중요성을 반영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또한, 기존의 국외 연구들은 비용적 측면을 함께 고려해 시공자와 거주자의 입장을 모두 고려하였으며, 하자와 원인의 관계를 구조화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호공사의 시공단계에서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해 시공 특성을 반영하고, 하자 보수 후 재발생 가능성에 기초한 유지관리의 중요성을 함께 고려해 중점관리요소를 도출할 것이다. 또한, 궁극적으로 하자 유형과 원인의 인과관계를 분석해 직관적 판단이 가능한 하자 유형별 중점관리요소를 선정함으로써 실효성 높은 하자관리 방안을 제시해 시공단계 하자를 예방하고 유지관리 비용을 저감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RF-Magnetron Sputtering으로 제조된 근적외선 차폐용 나노 박막 소재를 이용한 고투과성 단열창호 연구

  • 김혜진;이건희;서문석;한종훈;신권우;김선민;조진우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1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221-221
    • /
    • 2011
  • 최근, 대외적으로 기후변화협약 등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내에서도 온실가스 배출이 큰 에너지의 22.3%를 소비하고 있는 건축물로 인한 환경부하에 관심이 높아지며 고효율 창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Low-E (저방사) 유리는 적외선을 반사시켜 단열 유리로서 겨울철에 유리하지만, 건물 전면에 약 50~95% 창호가 사용되는 office 건물에는 여름철 냉방에너지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단열뿐만 아니라 일사 차폐가 가능한 근적외선 차폐유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Low-E 유리의 문제점인 근적외선 투과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근적외선 영역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박막코팅 물질(흡수체, 반사체) 및 Low-E 대체용 Themochromic 등 나노 박막을 RF magnetron sputtering으로 제조하여 복층유리 구조로 조합해 UV-visible을 측정하였으며 IR Lamp와 태양광 아래에서 온도변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기존 Low-E 복층유리 대비 본 실험에서 사용한 복층유리의 근적외선 차폐효율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 PDF

창호 유리의 단열필름 시공에 따른 생애주기비용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Life Cycle Cost on the Window Glass and the Insulation Film Coated Glass for Window)

  • 정민구;김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83-59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인 창호공사 방안을 확인하기 위해 단열필름이 시공된 창호유리와 일반유리의 생애주기비용을 분석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Window 6.3과 ECO2-OD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유리 유형별 창호의 열성능 데이터를 측정하고 사례 건물에 적용하여 냉 난방 유지비용 및 LCC를 산출하여 경제성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단열필름을 추가적으로 시공함으로써, 냉 난방 유지비용 측면에서는 하절기 태양열이 실내로 투과하는 것을 막아 냉방비용 절감 효과가 있지만, 이로 인해 동절기에는 난방비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애주기비용 측면에서 볼 때, 냉방비용 절감 효과가 난방비용 증가량과 필름 시공 및 수선으로 발생하는 추가비용을 상쇄하지 못하기 때문에 단열필름의 시공은 적절한 방법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2차원 정상전열해석을 통한 교육시설의 알루미늄 창호 열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rmal Performance of Aluminium Alloy Window Frame considering 2D Steady-state Heat Transfer applied to Educadtional Facility)

  • 강정훈;곽용건;노승욱;박대호;이주호;홍완표;황인규;박동소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122-12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기존 교육시설에 설치된 알루미늄 합금 창의 2차원 정상상태 전열해석을 통한 열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교육시설의 주요 창호재료로 적용된 알루미늄은 열전도율이 $175 \;Kcal/m^2h^{\circ}C$ 정도로 플라스틱 소재와 비교하여 매우 불리하여 기존 시설에 설치된 알루미늄 창호는 열손실의 주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충남 서산지방에 위치한 대학건물의 알루미늄 합금 창호의 열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해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1) 2차원 정상상태 전열해석을 위한 경계조건은 국토해양부고시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의 [별표 6] 중부지방 냉난방장치의 용량계산을 위한 설계 외기온 기준과 [별표 7]의 실내온도 기준을 적용하여 여름철 실내 $27^{\circ}C$, 실외 $31.3^{\circ}C$, 겨울철 실내 $21.0^{\circ}C$, 실외 $-9.6^{\circ}C$ 로 설정하고 해석한 결과 열관류율은 알루미늄 합금 창호는 $U=9.631 \;W/m^2K$, 복층유리 $U= 2.382 \;W/m^2K$로 여름철과 겨울철 동일한 해석결과치가 산출되었다. (2) 산출된 열관류율 해석결과를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별표 3] 열교차단재가 적용되지 않은 금속제 창의 단열성능 중 일반복층창 성능기준인 $4.0 \;W/m^2K$와 비교할 때, 알루미늄 창틀을 통하여 225%의 열량이 손실됨을 보여 주고 있다.

  • PDF

자연채광 요소기술 도출을 위한 창호시스템과 건물요소와의 통합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gration of Pre-manufactured Window Systems with Conventional Building Design Elements)

  • 김정태;정인영;정유근
    • KIEAE Journal
    • /
    • 제2권2호
    • /
    • pp.15-22
    • /
    • 2002
  • Importation of mass production of building elements with standardization are vital way for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al planning, which it makes the lifespan of a building longer than normal with easier maintenance and remodeling. The advantage might be magnified here in Korea since typical types of apartment house are dominated in our construction market. For the purpose, a series of pre-manufactured window systems is one of the optimal elements to be prototype building modules. In the design process of the system windows, lots of consideration should be involved and they include aesthetics, thermal performance, noise reduction, airtightness, and so forth. A real survey on the ready-made window systems has been performed and its optical issue related to luminous peculiarity is what is of major interest in this study. In addition, technical review on more advanced window products and their adaptable potential for the integration with fundamental architectural design elements were carried out.

플로팅 건축물 창호의 개방감 평가를 위한 사례 연구

  • 김익현;도근영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3-284
    • /
    • 2013
  • 플로팅 건축물은 일반 건축물과 달리 광활한 수상에 위치하며 따라서 개구부를 통해 보이는 조망에 의해 재실자의 거주 만족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바다라는 특수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육상에 비해 외부 기후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특히 창호 등의 외장재는 비교적 높은 열관류율과 낮은 강도로 인해 무분별한 확장을 실행할 경우 실내 냉 난방에너지 소비가 증대와 태풍 및 월파 등으로 인한 인명 재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플로팅 건축물에서 대부분의 재실자가 충분한 만족을 느낄 수 있는 창호 크기의 범위를 알아내기 위해서 일반 건축물의 조망 및 실내 개방감 평가에 관련된 국내외 연구의 사례를 조사하고 플로팅 건축물에서의 적용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인체의 시야각을 이용해 내부 공간에서의 개방감을 측정하는 방법과 실물 축소모형을 이용해 개방감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