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창호(窓戶)

검색결과 4,170건 처리시간 0.037초

쿨튜브를 적용한 식물공장 다중창호의 냉방부하 저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uction of Cooling Load of the Multiple Skin Windows for Plant Factory using Cool Tube)

  • 소재현;김우태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579-58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쿨튜브를 적용한 식물공장 이중창호와 삼중창호의 열전달 차단성능을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이중창호 설계변수인 유입구의 개수와 중공층 두께조건에 따라 창호를 통해 식물공장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열전달량을 분석하였다. 쿨튜브를 통해 중공층으로 유입되는 공기속도가 이중창호에서는 0.95 m/s, 삼중창호의 경우는 0.50 m/s 이상일 때 창호를 관통하여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열에너지가 차단되는 결과를 얻었다. 삼중창호의 경우에 중공층 유입 공기속도를 0.50 m/s 이상으로 증가시킬 경우 오히려 식물공장 내부의 열에너지가 중공층으로 빠져나가 실내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지역별 기후데이터의 온도조건을 고려한 분석을 추가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 PDF

소규모 민간건축에 있어서 에너지소비효율등급제를 고려한 창호공사 현황분석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Window Constructions in Small-scale Private Archite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Rating System)

  • 강석표;진은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3-51
    • /
    • 2015
  •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창호업계는 글레이징과 창프레임 제조가 별도의 산업체로 분리되어 있다. 그러나, 창호에너지소비효율 등급제와 건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따르면, 창호의 열관류율 기준은 글레이징과 창프레임을 일체화시킨 창세트에 의해 정의된다. 대부분의 창호제조 중소업체는 글레이징과 프레임부분을 통합하는 생산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공사현장에서 창호는 별도로 납품된 유리와 프레임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시공된다. 이러한 현실과 제도를 연결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창호에너지소비효율등급제의 현장상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창호에너지소비효율 등급제에 대한 이해도는 전반적으로 높았으나, 만족도는 낮았으며, 공사현장에서는 공장제조된 일체화된 시스템의 창호가 아니라 현장조립에 의한 창호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현재의 등급제가 현장에서 잘 적용된다고 확신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창호에너지소비효율등급제'는 산업현장의 현실성을 돌이켜보고, 이론적으로 치우칠 것이 아니라,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에너지효율화를 위한 창호 유형별 기밀 및 단열성능에 관한 조사 연구 (A Research on Air-tightness and Thermal performance of windows system classified by Windows type)

  • 최경석;강재식;양관섭;이승언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20-123
    • /
    • 2009
  • 건물에서 에너지손실이 큰 창호에 대해 최저소비효율기준 및 에너지소비효율 등급기준(안) 도입을 통해 지속가능한 고효율 창호의 보급 활성화 촉진과 관련 산업의 기술 및 산업력 향상을 적극적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호의 에너지 효율화를 위하여 고효율기자재(고기밀성 단열창호)로 인증받은 약 100여개 제품과 기타 제품에 대하여 창호 유형별 기밀 및 단열성능의 조사 분석을 통하여 창호 관련 제도 개정에 기초자료로 활용 에너지절약과 기후변화협약 관련 건물부문의 구체적 실천 대응방안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외부창호의 차음성능 향상방안

  • 김성완;김하근;김명준
    • 소음진동
    • /
    • 제3권3호
    • /
    • pp.209-219
    • /
    • 1993
  • 본 글에서는 아파트단지의 교통소음도 예측프로그램인 "TRANOIS-93"을 통하여 교통량, 도로, 방음벽, 수림대 등 각종 영향요인을 검토하여 1차적으로 소음저감대책 수립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이를 분석하여 외부창호에 의해서 소음을 차단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창호의 차음설계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창호의 기밀성, 유리의 두께, 이중창 사이의 공간층에 설치된 흡음재, 이중창에서 바깥창과 안쪽창과의 간격, 유리창의 크기 등의 요인에 대해서 실험을 통하여 차음개선량을 파악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서 창호제작 및 설계업무에 활용될 참고자료를 소개하고자 한다.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한옥 창호 격자 구조의 전산해석을 통한 한옥 에너지 효율 향상 방안 (Numerical Analysis of Optimum Door Frame for Enhancing Thermal Efficiency)

  • 안은영;김재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72-676
    • /
    • 2012
  • 본 연구는 한옥의 내부기류 분석을 통한 자료를 근거로 열손실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창호에 대해 기존 창호의 아름다음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대류에 의한 열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 한옥 창호 격자문의 구조에 대한 기하학적 최적화 작업을 통해 동절기의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격자문 구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실외를 향한 창호 격자 구조를 대류 열전달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로, 동절기의 외부 냉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창호의 배열을 정의한다. 전산해석을 통해 창호 격자의 종횡비, 창호 격자 틀 돌출 길이의 격자 면적 비 등, 외부로의 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구조를 제안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한다.

최적의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창호 플랫폼 (Smart Windows and Doors Platform for Providing Optimized Inner Environment)

  • 조용현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464-469
    • /
    • 2015
  • 본 논문은 방범과 쾌적한 실내 환경 유지를 위한 창호의 상태와 실내외 환경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원격관리하기 위한 스마트 창호시스템 플랫폼을 제안한다. 특히 보안 분야, 안전 분야, 가전기기 제어와 같은 홈서비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스마트 창호 플랫폼과 스마트 홈 플랫폼 사이 표준 API를 제안한다. 제안된 플랫폼 기반으로 언제 어디에서나 방범 및 환기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원격 자동개폐 및 감시를 위한 유무선 통신인터페이스의 창호시스템 전용 게이트웨이를 개발하였다. 또한 모바일 환경에서 창호의 개폐 상태 감시 및 원격제어를 위한 웹과 앱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각각 개발하였다.

단일창호를 적용한 KNU 식물공장의 냉난방 에너지 부하 해석 (Analysis of the Heating and Cooling Energy Load of the KNU Plant Factory with Single Skin Windows)

  • 이찬규;김우태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575-578
    • /
    • 2012
  • 단일창호를 적용한 KNU 식물공장 모델의 냉난방 에너지 부하를 DesignBuilder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상추의 적정생육온도인 $20^{\circ}C$를 기준으로 이중창호를 적용한 경우와 에너지 소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단일창호가 이중창호에 비해 연간 냉방부하는 약 128 MWh 감소하고 난방부하는 약 26 MWh 증가하여 단일창호가 냉방부하저감에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KNU 식물공장의 중앙에 위치한 공간의 상부를 지붕구조물로 닫거나 계절별로 개폐하면서 냉난방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하였다. 지붕구조물을 설치하게 되면 단위유닛이 취득하는 태양열이 감소하여 냉방부하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지붕구조물을 상시 닫아두는 것이 계절별로 여닫는 것보다 냉방부하 저감에 유리하다. 식물공장 측면벽에 overhang과 sidefin을 설치하면 차양효과로 냉방부하가 감소하지만 감소비율은 크지 않았다. 에너지 부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냉방부하를 낮추기 위해 구조물이나 차양을 설치할 수 있으나 절감효과에 비해 설치비가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 경제성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창호 기술 현황

  • 장철용
    • 기계저널
    • /
    • 제50권7호
    • /
    • pp.47-50
    • /
    • 2010
  • 이 글에서는 건물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단열 외피 중의 하나인 창호 부위에서 발생하는 열손실 획득으로 인한 실내 냉난방 부하를 저감하기 위한 국내 창호 기술 현황에 대해 설명한다.

  • PDF

모바일 환경에서의 원격 창호 관제시스템 개발 (A System Development for Remotely Controlling Windows and Doors in Mobile Environment)

  • 조용현;유성원;안경규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334-341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원격으로 창호시스템을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한 새로운 관제시스템을 개발한다. 이를 위해 창호개폐기, 게이트웨이, 관제서버 시스템을 각각 설계 구현한다. 여기서 창호개폐기는 개폐를 위해 직류모터를 이용한 구동장치와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고 개폐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모션제어장치로 구성된다. 게이트웨이는 창호의 현재 상태정보와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로 TCP/IP와 CDMA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또한 관제서버는 창호 제어정보의 저장과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 다양한 상태메시지의 처리를 지원하기 위한 미들웨어, 그리고 개폐 상태를 감시하여 시스템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DB로 구성된다.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환경을 지원하는 응용소프트웨어와 웹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함께 개발되었다. PC 및 스마트폰 기반 개발된 창호 시스템의 시작품을 대상으로 동작성능, 환경영향, 구동 내구성, 그리고 동작오율 각각을 2개의 공인기관에서 시험한 결과, 우수한 성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항공기소음 저감방안에 대한 검토 -창호설치조건을 중심으로- (Examination of Method of an Aircraft Noise Reduction -Mainly the Window Installation Conditions-)

  • 양재훈;김경우;양관섭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60-263
    • /
    • 2008
  • 공항에 인접한 주거지역에서 항공기 소음문제로 인하여 거주자들에게 소음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항공기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 중 건물외피를 차음성능이 높은 구조로 변경하여 건축물의 차음량을 개선시키는 수음원 대책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건축물 방음시설 설치는 건물외피 중 외부소음에 가장 취약한 창호의 차음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효과적인데, 본 연구에서는 기존 창호에 비하여 차음성능이 높은 창호를 교체 설치하여 건축물의 차음량 개선치를 $L_{max}$, SEL, $L_{eq}$로 각각 검토 비교함과 동시에 창호의 기밀성능을 위한 기밀재 및 추가 모헤어의 설치조건에 따른 차음성능을 검토해 보았다. 측정결과 방음시설 설치 후 항공기소음을 $L_{max}$, SEL, $L_{eq}$로 차음량 개선치를 각각 평가한 결과 1.8dB 이내의 편차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 차음성능 개선치는 기밀재 설치 후 $R'45^{\circ}$,w가 5dB, 기밀재 및 추가 모헤어 설치 후 8dB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