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호(窓戶)

Search Result 4,16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the Reduction of Cooling Load of the Multiple Skin Windows for Plant Factory using Cool Tube (쿨튜브를 적용한 식물공장 다중창호의 냉방부하 저감에 관한 연구)

  • So, Jae-Hyun;Kim, Woo-Ta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579-58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쿨튜브를 적용한 식물공장 이중창호와 삼중창호의 열전달 차단성능을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이중창호 설계변수인 유입구의 개수와 중공층 두께조건에 따라 창호를 통해 식물공장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열전달량을 분석하였다. 쿨튜브를 통해 중공층으로 유입되는 공기속도가 이중창호에서는 0.95 m/s, 삼중창호의 경우는 0.50 m/s 이상일 때 창호를 관통하여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열에너지가 차단되는 결과를 얻었다. 삼중창호의 경우에 중공층 유입 공기속도를 0.50 m/s 이상으로 증가시킬 경우 오히려 식물공장 내부의 열에너지가 중공층으로 빠져나가 실내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지역별 기후데이터의 온도조건을 고려한 분석을 추가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 PDF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Window Constructions in Small-scale Private Archite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Rating System (소규모 민간건축에 있어서 에너지소비효율등급제를 고려한 창호공사 현황분석)

  • Kang, Suk-Pyo;Jin, Eun-Mi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5 no.1
    • /
    • pp.43-51
    • /
    • 2015
  • At present, in the case of small and medium window manufacturers in South Korea, glazing and window frame manufacturers are divided into separate businesses. However, in the fenestration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rating system and the energy-saving design criteria for buildings, the coefficient of overall heat transmission standard for windows is defined by window sets, which integrate glazing and window frames. At most construction sites, windows are constructed by installing separately supplied glass and frames. Research that can integrate the reality and the system is therefore necessary. The present study first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on-site situation of the fenestration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results, whil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fenestration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rating system was high, satisfaction with it was low, and the general practice at construction sites was to use windows assembled on site rather than integrated window systems manufactured at factories, thus making it difficult to confirm that the current rating system was well applied on site. Consequently, the reality of industrial sites must be reviewed and a realistic alternative to the fenestration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rating system must be presented instead of focusing on theory.

A Research on Air-tightness and Thermal performance of windows system classified by Windows type (에너지효율화를 위한 창호 유형별 기밀 및 단열성능에 관한 조사 연구)

  • Choi, Gyeong-Seok;Kang, Jae-Sik;Yang, Kwan-Seob;Lee, Seung-Eon
    • Proceedings of the SAREK Conference
    • /
    • 2009.06a
    • /
    • pp.120-123
    • /
    • 2009
  • 건물에서 에너지손실이 큰 창호에 대해 최저소비효율기준 및 에너지소비효율 등급기준(안) 도입을 통해 지속가능한 고효율 창호의 보급 활성화 촉진과 관련 산업의 기술 및 산업력 향상을 적극적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호의 에너지 효율화를 위하여 고효율기자재(고기밀성 단열창호)로 인증받은 약 100여개 제품과 기타 제품에 대하여 창호 유형별 기밀 및 단열성능의 조사 분석을 통하여 창호 관련 제도 개정에 기초자료로 활용 에너지절약과 기후변화협약 관련 건물부문의 구체적 실천 대응방안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외부창호의 차음성능 향상방안

  • 김성완;김하근;김명준
    • Journal of KSNVE
    • /
    • v.3 no.3
    • /
    • pp.209-219
    • /
    • 1993
  • 본 글에서는 아파트단지의 교통소음도 예측프로그램인 "TRANOIS-93"을 통하여 교통량, 도로, 방음벽, 수림대 등 각종 영향요인을 검토하여 1차적으로 소음저감대책 수립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이를 분석하여 외부창호에 의해서 소음을 차단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창호의 차음설계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창호의 기밀성, 유리의 두께, 이중창 사이의 공간층에 설치된 흡음재, 이중창에서 바깥창과 안쪽창과의 간격, 유리창의 크기 등의 요인에 대해서 실험을 통하여 차음개선량을 파악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서 창호제작 및 설계업무에 활용될 참고자료를 소개하고자 한다. 소개하고자 한다.

  • PDF

Numerical Analysis of Optimum Door Frame for Enhancing Thermal Efficiency (한옥 창호 격자 구조의 전산해석을 통한 한옥 에너지 효율 향상 방안)

  • Ahn, Eun-Young;Kim, Jae-Wo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5 no.5
    • /
    • pp.672-676
    • /
    • 2012
  • This investigation relates generally to windows and doors for traditional Korean houses(Hanok) and, more particularly, to windows and doors for traditional Korean houses which have a lattice structure that can minimize heat loss in the winter.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i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or for traditional Korean houses, including a structure of a lattice door framed with vertical lattice frames and horizontal lattice frames which are arranged in a regular periodic pattern.

Smart Windows and Doors Platform for Providing Optimized Inner Environment (최적의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창호 플랫폼)

  • Cho, Yo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5 no.5
    • /
    • pp.464-469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the smart system platform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windows and doors system(WDS), which gathers and analyzes the state of WDS and the environmental data for preventing crimes and keeping a pleasant indoor. In particular, standard API between the smart WDS platform and the smart home platform has been presented to be easy to a home services, such as security, safety, and home appliance control. The private gateway of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s has been developed to remotely control and monitor the WDS for anytime and anyplace solving the crime prevention and ventilation problem. Web-and App-based user interface in order to detect the opening and shutting states and remotely control WDS have also been developed to support the mobile environment, respectively.

Analysis of the Heating and Cooling Energy Load of the KNU Plant Factory with Single Skin Windows (단일창호를 적용한 KNU 식물공장의 냉난방 에너지 부하 해석)

  • Lee, Chan-Kyu;Kim, Woo-Ta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575-578
    • /
    • 2012
  • 단일창호를 적용한 KNU 식물공장 모델의 냉난방 에너지 부하를 DesignBuilder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상추의 적정생육온도인 $20^{\circ}C$를 기준으로 이중창호를 적용한 경우와 에너지 소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단일창호가 이중창호에 비해 연간 냉방부하는 약 128 MWh 감소하고 난방부하는 약 26 MWh 증가하여 단일창호가 냉방부하저감에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KNU 식물공장의 중앙에 위치한 공간의 상부를 지붕구조물로 닫거나 계절별로 개폐하면서 냉난방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하였다. 지붕구조물을 설치하게 되면 단위유닛이 취득하는 태양열이 감소하여 냉방부하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지붕구조물을 상시 닫아두는 것이 계절별로 여닫는 것보다 냉방부하 저감에 유리하다. 식물공장 측면벽에 overhang과 sidefin을 설치하면 차양효과로 냉방부하가 감소하지만 감소비율은 크지 않았다. 에너지 부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냉방부하를 낮추기 위해 구조물이나 차양을 설치할 수 있으나 절감효과에 비해 설치비가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 경제성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창호 기술 현황

  • Jang, Cheol-Yong
    • Journal of the KSME
    • /
    • v.50 no.7
    • /
    • pp.47-50
    • /
    • 2010
  • 이 글에서는 건물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단열 외피 중의 하나인 창호 부위에서 발생하는 열손실 획득으로 인한 실내 냉난방 부하를 저감하기 위한 국내 창호 기술 현황에 대해 설명한다.

  • PDF

A System Development for Remotely Controlling Windows and Doors in Mobile Environment (모바일 환경에서의 원격 창호 관제시스템 개발)

  • Cho, Yong-Hyun;Ryu, Sung-Won;Ahn, Kyung-Gyu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5 no.4
    • /
    • pp.334-341
    • /
    • 2015
  • This paper develops a new system for remotely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windows and doors in mobile environment. We design and implement the opening and shutting unit, the gateway, and the control server system, respectively. The opening and shutting unit consists of the driver using DC motor and the motion controller which monitors the state and transfers the control information. The gateway supports TCP/IP and CDMA protocol, which is the interface of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for transferring the current state and control information. The control server consists of the program to store and process the control information, the middleware to support the processing of various state message, and DB for monitoring the state and remotely controlling the system. Especially, an application software and the Web-based user interface have also been developed to support the mobile environment. The operation performances, environment influences, driving persistences, and operation failure ratio, which are based on PC and smart-phone, have been tested in 2 authorized agencies.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developed system has a superior performance.

Examination of Method of an Aircraft Noise Reduction -Mainly the Window Installation Conditions- (항공기소음 저감방안에 대한 검토 -창호설치조건을 중심으로-)

  • Yang, Jae-Hoon;Kim, Kyoung-Woo;Yang, Kwan-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8.04a
    • /
    • pp.260-263
    • /
    • 2008
  • 공항에 인접한 주거지역에서 항공기 소음문제로 인하여 거주자들에게 소음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항공기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 중 건물외피를 차음성능이 높은 구조로 변경하여 건축물의 차음량을 개선시키는 수음원 대책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건축물 방음시설 설치는 건물외피 중 외부소음에 가장 취약한 창호의 차음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효과적인데, 본 연구에서는 기존 창호에 비하여 차음성능이 높은 창호를 교체 설치하여 건축물의 차음량 개선치를 $L_{max}$, SEL, $L_{eq}$로 각각 검토 비교함과 동시에 창호의 기밀성능을 위한 기밀재 및 추가 모헤어의 설치조건에 따른 차음성능을 검토해 보았다. 측정결과 방음시설 설치 후 항공기소음을 $L_{max}$, SEL, $L_{eq}$로 차음량 개선치를 각각 평가한 결과 1.8dB 이내의 편차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 차음성능 개선치는 기밀재 설치 후 $R'45^{\circ}$,w가 5dB, 기밀재 및 추가 모헤어 설치 후 8dB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