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의성검사

Search Result 275, Processing Time 0.02 seconds

The Effects of Creative Problem-Solving Instruction Model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Clothing Education (의생활교육의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 적용이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 Chung, Me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9
    • /
    • pp.1563-1570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의생활수업에 대한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 적용에 있어 창의성 증진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는 중학교 1학년 2개 학급의 남·녀 8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가정과 의복의 재활용 단원 수업을 실험반과 비교반으로 나누어 동일한 교사에 의해 주당2시간씩 4회 실시하였다 실험반에는 창의적 문제 해결 수업모형이 적용되었으며, 비교반에는 전통적 수업이 적용되었다. 창의성검사는 한국창의성연구소의 창의성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가 동일 검사지로 이루어졌다. 자료의 분석은 사전검사에서 두 학급간의 창의성에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 두 학급간의 창의성의 차검증에서 사전검사의 영향력을 배제하기 위하여 ANCOVA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창의성의 유창성 , 융통성 , 독창성 세 개의 하위요인 점수와 이를 합산한 전체 창의성 점수에서 모두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 모형을 적용한 실험반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볼 때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을 의생활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창의성이 증진된다고 할 수 있으며 , 중학교 뿐 아니라 고등학교 및 초등학교에서의 창의성 증진을 목표로 하는 의생활 수업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보며 후속 연구의 수행을 제안하는 바이다.

  • PDF

전향력 탐구 활동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Kim, Eun-Ju;Yun, Il-Hui;Lee, Hyo-Nyeong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2a
    • /
    • pp.213-22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창의성을 신장시키고자 렌줄리의 3단계 학습모형에 적용하여 전향력 탐구활동 프로그램을 개발 하였고, 현장에 적용 후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창의성 신장을 위한 전향력 탐구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교수 학습을 적용하였다. 창의성의 신장 정도와 전향력 개념의 이해 정도를 측정하고자 사전 사후 검사로 창의성은 토렌스의 창의성 검사(TTCT)로, 전향력 개념은 성취도 검사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실험집단이 전향력 개념 성취도 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창의성 검사(TTCT)에서도 실험집단의 사전 검사보다 사후 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본 수업 프로그램의 과정을 통해 평소 어렵다고 생각했던 전향력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전향력 탐구 활동 프로그램은 고등학생들의 창의성을 신장시키고 전향력 개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 PDF

창의적 수학문제해결력 검사도구의 요소

  • Yu, Yun-Ja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7
    • /
    • pp.159-168
    • /
    • 2003
  • 본 연구는 창의적 수학문제해결력의 검사도구의 요소들을 제시하고 있다. 수학적 창의성을 과정적 관점에서 출발하여 수학적 창의성을 창의적 수학문제제해결과 동일시하고 그에 따른 검사도구의 기본요소들을 Polya의 문제해결기법에서 나타나는 메타인지적 전략과 수학적 마인드를 검사하는 요소들로 구성하였다.

  • PDF

수학 영재 판별을 위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

  • Jo Seok-Hui;Hwang D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Conference
    • /
    • 2006.04a
    • /
    • pp.211-226
    • /
    • 2006
  • 이 연구는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바탕으로 수학 영재를 판별하기 위해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개발하고, 유창성만으로 수학 창의성을 평가한 이 검사 방법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10개의 개방적인 수학 문제를 개발한 바, 수학적으로는 직관적 통찰력, 정보 조직력, 추론능력, 일반화 및 적용력, 반성적 사고력을 요구하는 문제들이다. 이 10문항을 영재교육기관에 입학하고자 지원한 초등학교 5학년 2,2029명에게 실시했다. 교사들은 각 문제에 대해 타당한 답을 제시한 빈도로 유창성을 측정했다. 학생들의 반응은 Rasch의 1모수 문항반응모형을 기반으로 한 BIGSTEPTS 로 분석했다. 문항반응 분석결과, 이 검사는 창의성을 유창성만으로 측정할 때도 영재판별 검사로서 신뢰도, 타당도, 난이도, 변별도가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덜 정의되고, 덜 구조화되고, 신선한 문제가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지원한 학생들의 수학 창의성을 측정하는데 좋은 문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 검사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우수하며, 영재교육원에 지원한 학생들이 수학영재학급에 지원한 학생들보다 더 우수함을 확인해 주었다.

  • PDF

Investigation of Domain-specificity and Domain-generality of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창의성의 영역 한정성과 영역 보편성에 관한 분석과 탐구)

  • Han, Ki-Soon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0 no.2
    • /
    • pp.47-69
    • /
    • 2000
  •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in contemporary research of creativity, whether a person"s creativity is domain-specific or domain-general, was investigated with 109 second grade children in the present study. The purposes of this study sere to empirically examine (1)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creative performances measured by three product-based assessments (story-telling, collage-making, and math word problems) in three domains, and (2)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general creative thinking sills, measured by two divergent thinking tests, and children's creative performan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the position that creative ability in young children is rather (but not absolutely0 domain-specific. Children exhibited a range of creative ability across different domains rather than a uniform creative ability in diverse domains, indicating there is considerable intra-individual variation in creative ability by domain. Divergent thinking measures did not have great power in predicting creative performance in at least two of three, if not all, domains assessed in the study. It is implied from the study that it is not possible to reliably predict a child"s creative ability in one domain based on his/her creative ability in other domains or his/her overall divergent thinking ability. Implication of the study in connection with educational practices for gifted children is discussed.

  • PDF

The Relationship Among Domain-General Creativity, Linguistic Intelligence, Korean Language Grade and Linguistic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초등학생의 일반창의성, 언어지능, 국어성적과 언어창의성 간의 관계연구)

  • Park, Jung-Hwan;Hong, Mi-Sun;Lew, Kyoung-H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8
    • /
    • pp.3760-376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domain-general creativity, linguistic intelligence, Korean language grade and linguistic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And to confirm the relative predictive power of domain-general creativity variables in predic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nguistic creativity.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TCT', 'Essay writing' and 'Linguistic intelligence ' and school grade of Korean language. Self-reported response data on these instruments from 338,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were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s,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ANOVA by using SPSS 18.0.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among domain-general creativity, Korean language grade and linguistic creativity were significant. Second, Abstractness of title were the best predictor of linguistic creativ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ing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tudents' Creative Process and Product - Focusing on Biology - (초등학생의 창의 과정과 산물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과학 창의성 검사 도구 개발 -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

  • Kim, Minju;Lim, Chaeseong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0 no.4
    • /
    • pp.520-544
    • /
    • 2021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tudents' creative process and product. For this, the researcher reviewed the literatures of scientific creativity and developed the items based on the constructs of creative process and product. After a review conducted by nine science education specialists, a pilot test, and additional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of observation test, the test, consisting of two sets-"animals" and "plants"-was finally conducted on 105 fifth-grade students.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statistical analysis software. WinSteps, SPSS, and AMOS. The main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it comes to scientific creativity, creative process consists of science knowledge, inquiry skills,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divergent, convergent, and associative thinking skills). Creative product in science is a new and scientifically useful idea realized in a certain form. Second, observation, which was selected as a representative inquiry skill in this research, should not be related to creative thinking skills. Third, among the rest of the items, usefulness had the lowest averages, as it was, perhaps, difficult to satisfy the teachers' criteria for the scientific validity and usefulness. Fourth, the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items of "animals" and "plants" to find out the parallel-form reliability were significant, except for the item of originality. Fifth, the test was satisfactory with regard to the three aspects of construct validity-convergent, discriminant, and nomological. This study concludes by discussing the usefulness of this test, which has the possibility of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process and product and of playing a role as an authentic evaluation tool in school.

Development of a Creativity Test for Children from 4 to 7 years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위한 창의성 검사 도구 개발)

  • Kim, Ho
    • Journal of Creative Information Culture
    • /
    • v.5 no.3
    • /
    • pp.265-273
    • /
    • 2019
  • This study develops and examines the validity of a Creativity Test for children from of 4 to 7. 47 items were constructed through the validity of the literature and expert's content valid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2 items with three factors. These factors are flow and independence, expansion of thinking, curiosity and openness. The tests scale was examined about item's response distribution, item's discrimination, and construc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it was adoptabl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est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is suitable for measuring the creativity of Korean children from 4 to 7 years in a simple manner, and it measures relatively well the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Creativity test tool for children from 4 to 7 years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active progress of research on creativity for young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수학적 창의성의 평가에 대한 고찰 (II)

  • Kim, Bu-Yun;Kim, Cheol-Eon;Lee, Ji-S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241-251
    • /
    • 2005
  • 수학적 창의성의 평가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이를 직접 다루기보다는 주로 일반적 창의성에 기반을 두고 창의성의 증진이나 육성 방안의 검증을 위한 검사 문항의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수학적 창의성이 일반적 창의성과 다르게 가지는 요인을 언급하고, 수학적 창의성의 평가에 대한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평가목표를 제시하고 수학적 창의성의 하위 구성요소인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태도에 대한 검사가 일관되게 연결되어, 궁극적으로 수학적 창의성의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고에서는 우선 창의적 사고력에 대한 평가에 관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평가에서 개방형 문제가 중요함을 역설하면서 계속적인 문항 개발이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 PDF

수학적 창의성의 개념

  • Yu, Yun-Ja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3 s.20
    • /
    • pp.81-94
    • /
    • 2004
  • 수학적 창의성의 개념을 과정적 정의로서 창의적 문제해결력으로 규정하여 수학적 영재의 판별을 문제 발견의 창의성과 문제해결의 창의성으로 나누고 각각에 대한 판별검사 도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