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의력 교육

Search Result 38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컴퓨터를 통한 창의력 수학 프로그램 개발

  • Jo, Han-Hyeok;An, Jun-Hwa;U, Hye-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625-63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LOGO를 개발한 Papert의 철학에 따라 아동이 자유롭게 학습할 수 있는 Microworld를 통해 수학을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하고, 아동에 맞게 수학을 재구성하여 제공한다는 적극적인 교육적 배려에서 정규교육과정(교실), 특기적성, 자기 주도 학습 등 다양한 학습 환경에 가능한 컴퓨터 창의력수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많은 관심에 비해 창의력 교육이 구체적으로 학습과 관련되어 있지 않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따라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컴퓨터 교육 역시 한글 워드나 Excel과 같은 기능 위주의 학습으로 컴퓨터 학습에서 기대하는 알고리즘 학습은 소홀히 다루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창의력 교육과 컴퓨터 교육에 대한 문제점에 주목하여 학교 교과과정과 연계된 컴퓨터 알고리즘 학습과 수학 학습이 함께 가능한 컴퓨터를 통한 수학적 창의력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에 학교 교과과정에 연계하여 컴퓨터 알고리즘 학습과 수학적 창의력 향상에 적합한 매체로 LOGO 마이크로월드를 택하고, 이를 이용한 컴퓨터 창의력 수학 프로그램이 가지는 특징을 살펴본다. 이렇게 개발된 프로그램은 검증을 위해 봄학기 초등학교에서 실험연구가 계획되어 있다.

  • PDF

The Effects on Improving Creativity with a PBL-based Robot Education Program - Case of a Science High School - (문제중심학습(PBL)에 기초한 로봇교육 프로그램이 창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과학고등학교사례 -)

  • Suh, Hyeong-Eob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0 no.4
    • /
    • pp.93-12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ystematic and effective PBL-based robot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creativity, and to analyze its effect on improving creativity of students in a science high school. The programs for 22 classes, designed to be used in a science high school, were developed and implemented. 8 teams got the abilities to independently build their own robots throughout all the process. The resultant improvement in creativity was analyzed in terms of gender and academic achievements. In the TTCT tes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reativity, especially the greatest in a subcategory 'originality.'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eativity by gender,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in creativity by academic achievement. Especially the lowest group (Ha) showed the greatest improvement in creativity. This robot education program is expected to be used as an introductory one for the college of engineering.

동기유발과 창의력 증진을 위한 칠교판의 활용 방안

  • Lee, Gang-Seop;Kim, Ji-Hy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2 s.19
    • /
    • pp.359-370
    • /
    • 2004
  • 제7차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자기주도적 학습을 이루기 위한 첫 걸음은 동기유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에서의 주된 화두는 창의력의 증진에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칠교판을 활용하는 수업모형을 제시하여 기하영역의 학습에서 동기유발의 소재로 삼고 이를 통하여 창의력의 증진을 도모하였다.

  • PDF

A Study on Fashion Design Pedagogy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With Emphasis on Intuition- (창의력 개발을 위한 패션디자인 교육 방안 연구 -직관력을 중심으로-)

  • Lee, Bong-Do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0 no.3 s.151
    • /
    • pp.487-496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the pedagogical approaches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fashion design education for the 21 st century.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the creativity was analyzed with the purpose of devising detailed educational methods by investigating into cognitive and pedagogical natures of the constituents of creativity. One of the most crucial aspects of the creativity is problem solving capability and it was reviewed how creative problem solving capability is applied to the areas of arts and designs. This study particularly explored the specific roles intuition plays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sights are very important in enhancing and maintaining creativity and it was shown that intuition can stimulate and reinforce the insights. Also it was suggested was that the development stages of intuition are consistent with the development sequences of creativity in arts and designs.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included.

초등학교 수학교육에서 개방형 학습법이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 Jeon, Pyeong-Guk;Mun, Jeom-A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231-243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수학교육에서 개방형 학습법이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수학적 창의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수학 교수-학습법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 2개 반을 선정하여 한 반은 실험집단으로 하고 다른 반은 비교집단으로 하여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개방형 학습법에 의한 수업을 전개하였고,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수업을 전개하였다. 그 결과로서, 오직 답이 하나로 제한되고 닫힌 통상적인 문제가 아니라 결과가 하나로 결정되지 않는 문제상황을 제재로 하여 거기에 내재하는 결과의 다양성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개방형 학습법에 의한 수업이 일반적인 수업보다 수학적 창의력 향상에 있어서 더 효과적이며, 수학적 창의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에서 남 ${\cdot}$ 여간에 차이가 없이 남과 여 집단에서 모두 효과가 있었다.

  • PDF

Education Based Robot for Improving Initiativeness (창의력 향상을 위한 로봇 이용 교육)

  • Lho, Young-Uhg;Jung, Duk-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8a
    • /
    • pp.117-120
    • /
    • 2008
  • 지식정보화 사회에서는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과 탐구력, 문제해결력, 창의성을 갖춘 인재가 필수적이며 이러한 인재를 키우는 것이 한 나라와 사회의 미래를 결정 짖는 핵심적이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의 요소들을 분석하고 초중등학교에서의 로봇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동향을 분석한다. 그리고 대학에서 로봇 이용 교육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로봇이용 방법론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Instruction on the Creative Ability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독서교육의 영향에 관한 연구)

  • Cho Mi-A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0 no.3
    • /
    • pp.53-7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different types of reading instruction programs and reading methods influenced the creative ability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lass A was taught to use 'The Author-Reader-Inquirer Cycle'. which concentrated on the writing-centered reading program model. Class B was taught to use 'The Literature Circles'. which concentrated on the speaking and listening-centered reading program model. After reading instruction. the creative ability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creased. The writing-centered reading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than the speaking and listening-centered reading instruction. The reading instruction during the long-period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during the short-period. The 'intensive reading' among the reading method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reative ability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reative Games using programing element (프로그래밍 요소를 소재로 한 창의력 놀이 개발)

  • Kim, Jung-Ah;Kim, Jong-Hoo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1a
    • /
    • pp.109-114
    • /
    • 2008
  • 과학 기술과 정보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컴퓨터 교육은 갈수록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게다가 현재 우리나라는 전 세계적으로 IT강국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반면, 컴퓨터 교육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의 기능 위주의 교육을 강조한 결과 문제해결력과 창의력 증진에 대한 교육 부분은 소홀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요소를 추출하여 그 원리를 이용한 창의력 놀이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함으로써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 PDF

Intelligence and Creativity of Students in the Mentorship Program at the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과학영재교육원 사사교육 대상자들의 지능과 창의력 수준 분석)

  • Cho, Sun-Hee;Lee, Kun-Ho;Kim, Heui-Baik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7 no.1
    • /
    • pp.123-143
    • /
    • 2007
  • In this study, intelligence and creativity of students selected for the mentorship program at the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were tested and those levels were related to the examination for the mentorship program. Diverse psychometric tests(WAIS, RAPM, TTCT-verbal, TTCT-figural) were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in both courses(biology course: n=19, physics course: n=21) at the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Students selected for the mentorship program had high intelligence scores(WAIS IQ>98%). On the other hand, their creativity scores were not as high as their intelligence scores.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ose scores and examinations for the mentorship program, examination for the biology program was correlated with WAIS and TTCT-verbal, whereas that for the physics program was correlated with RAPM. These results show that students for the mentorship program have higher score in intelligence than in creativity and the examination for the mentorship program tests mainly intelligence. Thus, educational effort should include an emphasis on the assessment of creativity.

문제제기 수업이 수학 문제해결력과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 Bang, Seung-Jin;Lee, Sang-W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2 s.22
    • /
    • pp.417-434
    • /
    • 2005
  • 본 연구에서 문제제기 수업이 수학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제제기 수업과 기존의 교사 주도식 수업방식에서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창의력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8주 동안 문제제기 수업을 실시하여 수업을 한 후, 문제해결력 검사지와 수학적 창의력 검사지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제기 수업을 활용한 수업방식이 기존의 교사 주도식 수업방식에 비해 문제해결력 신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제기 수업이 교사 주도식 수업에 비해 수학적 창의력 신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수학적 창의력 하위 요소 중 유창성과 융통성 신장에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문제해결력 신장과 수학적 창의력 신장을 위해서 학교수업에서 문제제기 수업 활동의 도입을 제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