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 생존률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4 seconds

최적의 입지유형에 위치한 점포의 5년 이상 생존에 미치는 영향 -편의점 사례 중심-

  • Gwon, Yong-Seok;Gwon, Myeong-Ju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26-26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실제 창업하여 5년 이상 생존한 편의점이 최적의 입지유형에 위치한 것이 크다는 영향을 증명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주요 지역의 5년 이상 생존 점포 사례를 본인과 지인의 사례 점포, A 메이저 프랜차이즈 편의점 직원이 제공한 자료를 토대로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실제 창업 생존률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실증분석결과, 첫째로 입지요인은 편의점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적의 입지유형에 위치한 점포는 5년 이상 생존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의 입지유형에 위치한 편의점 창업은 5년 이상 생존하는데 상당한 영향을 미치므로 입지유형에 대한 인식과 실전 적용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창업시장으로 보면 편의점과 같이 상품의 동질성이 높은 업종이나 위치에 중점을 둔 창업인 경우 까지 확대하여 창업가의 실패를 줄이고 장기적 생존률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가 확대 되어야 할 것이다.

  • PDF

The Effect of Equity Crowdfunding on Job Creation (주식형 크라우드 펀딩이 고용창출에 미치는 효과)

  • Chun, Hesu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2
    • /
    • pp.541-549
    • /
    • 2015
  • Research about U.S. and European countries demonstrated that startups and young firms account for nearly all net job creation. If we want to bring down unemployment and to increase economic growth rate, we need to create new companies and to make them to grow. Credit availabil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entrepreneurs as they attempt to start or expand a business. For young firms, access to credit for business growth can mean the difference between survival and failure. Equity crowdfunding is an innovative means of raising capital for businesses. Crowdfunding campaigns can give new business access to a large pool of investors. This brings huge benefits for marketing and increase provability of success of business and ROI, so it leads follow-on investment from Venture Capital and Angel investors. In Korea, the survival rate of startups and average growth rate of survivors is far lower than those of the U.S or other countries due to lack of funds for startup or early business growth. Equity crowdfunding can be a new funding source for venture or startups. It can increase startup and survival rate, in addition to the growth rate of survivors, resulting in decreased unemployment rate. In Korea, Equity crowdfunding will be available from 2016.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whether the impact of crowdfunding in Korea on job creation will be similar to its impact in the U.S.

벤처창업기업의 혁신과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벤처투자 활성화제도와 혁신형기업의 생존 및 고용창출 분석

  • Jeong, Dae-Yeong;Gang, Sin-J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11a
    • /
    • pp.27-32
    • /
    • 2021
  • 정부는 더불어 잘사는 경제, 성장의 과실이 국민 모두에게 골고루 돌아가는 경제를 국정과제로 제시하면서 역동적인 벤처창업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창의적인 벤처기업과 혁신적 창업자 육성을 중점 추진하고 있다. 정부의 다양한 노력에 힘입어 벤처투자금액 및 기술창업기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등 벤처창업 생태계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COVID-19 이후 성장률이 급격히 낮아지고 청년층의 실업률이 급등하는 등 우리 경제는 저성장 국면이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경제의 성장 활력을 증진시켜 부가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벤처창업기업의 혁신과 성장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 당면과제로 부각되고 있고 특히 4차 산업혁명 환경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혁신형기업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경제의 당면 과제인 성장잠재력 회복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기술 기반 중심의 벤처창업의 활성화가 가장 효과적인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벤처창업기업의 혁신과 성장을 위한 정부의 다양한 육성시책을 고찰하고 기술 기반 벤처창업기업의 생존과 성장, 및 일자리에 미치는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벤처투자금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민간 금융기관 입장에서 벤처창업기업이 여전히 고(高)위험-저(低)수익 대상으로 여기고 있는 벤처투자시장의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The Effect of Mentoring Function on Management Performance of Start-up Companies: Focusing on Entrepreneurial Alertness (창업멘토링 기능이 창업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적 기민성을 중심으로)

  • Lee Jeong Ha;Lee Dong Myu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8 no.5
    • /
    • pp.45-61
    • /
    • 2023
  • The start-up rate is increasing due to the government's start-up support policy, but it is true that the continuous survival rate and growth rate of companies are lower than that of the start-up rate. As part of increasing the survival and growth rate of startups, the importance of start-up mentoring has been highlighted, and companies selected for the Government's startup support project are increasingly having mentoring opportunities for corporate growth.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art-up mentoring and entrepreneurial alertness as a way to generate management performance, this study examined how start-up mentoring affects entrepreneurial alertness and management performance. In addition, the government's support project was divided into companie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start-up and companies with more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which are the criteria for early and leap companies, and analyzed whether each group has a moderating eff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entoring problem-solving fun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bility to evaluate entrepreneurial alertness, and the motivation function of mentor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factors of entrepreneurial alertness. In addition, although mentoring functions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entrepreneurial alertness depending on the work history between companies less than 3 years and companies for more than 3 years, there was a difference in factors affecting entrepreneurial alertness between groups with low and high work histor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start-up mentoring programs by studying the impact of mentoring factors on entrepreneurial alertness when providing mentoring to start-up companies selected for the government's start-up support project.

  • PDF

대한민국 창업생태계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창업가, 예비창업가, 학생을 중심으로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 Kim, Seong-Hun;Nam, Jeong-M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88-92
    • /
    • 2016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주요 국가들은 이러한 상황의 생존전략으로 창업 및 기업가정신의 부활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경기침체 및 청년실업률 증가와 같은 장기불황을 극복하기 위해 '국민행복, 희망의 새 시대'라는 국정비전하에 '일자리 중심의 창조경제' 실현을 제1의 국정목표로 설정하였다. 2016년 4년차에 접어드는 창조경제는 수많은 예산과 인력을 투입하여 창업지원사업을 하고 있지만, 그 효과성에 대해서는 의문이 든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창업을 하거나 준비 중인 창업가, (예비)창업가, 학생을 중심으로 현 창업생태계의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이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부,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의 창업지원사업에 바람직한 지원방향을 제시하여 건강한 창업생태계 구축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정부의 창업지원 정책의 문제점은 보겨 주기식 창업지원사업 및 행사라고 응답한 비율이 41.5%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국내 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해 제 역할을 충분히 하지 않은 당사자는 34.1%가 중앙정부, 28.3% 국내 대기업이라고 응답하였다. 창업경험 유무에 따른 창업과정의 애로사항은 자금조달이 46.1%로 가장 높았고, 창업 초기자금 조달방법은 응답자의 절반인 50.4%가 개인자금으로 창업 초기자금을 조달한다고 응답하였다. 창업이 주저되는 주요 이유로는 창업자금 마련 및 기회비용이 40.4%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창업 시 가장 필요하고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지원정책으로는 자금 및 투자 지원이 26.6%, 사무실공간지원 13.5%, 마케팅 및 판로 지원이 13.5%의 응답률을 보였다.

  • PDF

성공적인 사내 분사창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부 지원 프로그램 케이스 스터디

  • Meyer, Marc H.;Lee, Chae-Won;Kim, Ga-Y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04a
    • /
    • pp.17-24
    • /
    • 2022
  • 국내 창업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내벤처 기업의 생존률 및 성과가 일반 창업기업 대비 더 높게 나타난다는 연구결과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는 2017년부터 사내벤처 및 분사창업기업 육성을 위한 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정부의 개입이 분사창업기업의 창업과 성장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9년 1차년도 사내벤처 육성프로그램에 참여한 7개의 기업 중 11개의 분사기업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주된 영역은 (1)분사 칭업자의 특성에 따른 기업가적 의도 및 (2) 모기업의 지원정책, (3) 정부의 정책 개입에 따른 분사창업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3개월의 이노베이션 부트캠프 과정 이후 2022년까지 해당기업의 CEO 인터뷰 및 기사를 통해 추적한 결과, 사내벤처팀 모두 모기업의 지원정책과 본인의 업무를 기반으로 창업을 시작하였으며, 모기업 및 유통파트너를 첫 소비자로 하는 경우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모기업은 재정직 지원 제공하는 한편, 정부에서 요구한 '실패시 재입사 가능'의 조항을 준수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정부의 정책개입은 중소기업의 사내벤처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정부의 사내혁신을 통한 혁신창업 활성화에 이론적, 실무적,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기업의 특성과 스타트업 생태계 특성이 데스밸리 극복에 미치는 영향: 벤처캐피탈과 개방형혁신의 조절효과

  • Park, Hyeon-Suk;Na, Hui-Gyeong;Mun, Gye-W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04a
    • /
    • pp.197-204
    • /
    • 2022
  • 국가차원의 창업장려책으로 인해 제2의 벤처붐이라고 부를 만큼 스타트업 및 벤처 창업이 활성화되면서, 데스밸리를 극복하고 창업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업이 생존율을 높이고 성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죽음의 계곡에 직면하는 가장 큰 부분인 자금 조달 및 투자유치에 대한 고민과 대책이 필요하다. 창업의 활성화는 창업초기의 높은 실패율을 낮출 수 있는지의 여부가 그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기업의 생존은 기업의 내적 요인뿐만 아니라 기업의 외적요인인 시장이나 산업의 상황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혁신 부서를 보유한 기업의 전략적 지향성과 외부지식활용 능력인 흡수역량이 스타트업의 데스밸리 극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스타트업 생태계 특징인 개방형혁신과 벤처캐피탈 지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종속변수는 기업이 손익분기점을 달성 한 후의 매출액, 순이익, 시장점유율, 종업원 수의 증가를 봄으로써 데스밸리 극복의 기준으로 삼고자 한다. 분석결과 전략적 지향성은 데스밸리 극복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을 밝혀졌다. 흡수역량과 개방형혁신, 벤처캐피탈의 지원의 조절효과는 표본수가 적고 결측값 있으므로 유의미한 영향을 확인하지 못하였지만 추후 표본수를 늘려 다시 측정한 후 그 결과를 보고자 한다.

  • PDF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Activities in Busan on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Reduction of Unemployment Rate (부산지역 창업활동이 지역경제 성장과 실업률 저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 Kim, Ji Young;Lee, Ye Lim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1 no.6
    • /
    • pp.111-122
    • /
    • 2016
  • Support and efforts are being strengthened at the national level for entrepreneurial activities that are expected to revitalize our economy. Generally,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it is known that entrepreneurship positively affects economic growth and the reduction of unemployment rate through employment creatio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activities on economic growth and job creation is mainly based on 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In this paper, however, the impact of start-up activities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on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employment improvement. In this study, the dummy variables were assigned to firms within three years, five years, and ten years after start-up according to the period since the start-up of the firm.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value of dummy variable of the start - up firm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analysis of the sales growth rate as the dependent variable according to the preceding study by Evans(1987).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growth rate of the start - up company i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companies and it is positive for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In addition, the coefficient of the dummy variable decreases from the enterprise analysis to the latter within three years, five years, and ten years after the start-up, and confirms that the coefficient of the firm's start-up years has a negative value. I could see more clearly. On the other hand, in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start-up firms on unemployment rate reduction, the growth rate of regular workers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firms. This suggests that it positively affects the reduction of the unemployment rate in the region. In addition, in the dynamic analysis using the Almon estimation formula and the Koyck model, the effect of log-transformed net start-up firms on the growth rate of new workers is very significant. As a result of the above model, It is reaffirmed that start-up activity has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growth.

  • PDF

The Effect of Technology Orientation and Market Orientation on Managerial Performance of Technology Start-Up: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Location Environment (기술창업기업의 기술지향성과 시장지향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입지환경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Yoon, Jae-Man;Choi, Jong-I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8 no.2
    • /
    • pp.95-111
    • /
    • 2023
  • Korea has achieved a high startup rate by promoting government-led startup policies for national economic and industrial development. However, as high as the startup rate is, the closure rate of startup companies can be judged to be insufficient for the qualitative growth of the domestic startup ecosystem.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o improve the survival rate of startups by overcoming the valley of death from a location environment perspective. It analyzes the effects of technology orientation and market orientation of start-ups 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economic, accessibility, and network factors that constitute the location environment.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start-up companies that received corporate support projects from innovation intermediary organizations. The results show that R&D capability of technology orient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market information generation and market information response of market orient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As for the moderating effect, accessibility, a sub-factor of the location environment, ha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managerial performance, and the location environment (economy, accessibility, and network) ha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information generation and managerial performanc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previous studies on the success and failure of start-ups and identified common factor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startups through empirical analysis and interview with stakeholders. For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analyze start-ups in metropolitan areas and non-metropolitan area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startups that have moved out of the region and into the metropolitan area to find ways to develop the regional startup ecosystem.

  • PDF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Startup' Activities of Preparatory Stage and Early Stage on Performance (창업기업의 준비 및 초기단계 활동들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Yoon, Byeong seon;Seo, Young wook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1 no.4
    • /
    • pp.1-15
    • /
    • 2016
  • Startups in Korea are experiencing for themselves the laws of survival through competition in the local and international market, and are performing active business movements based on these. Korea's economic growth rate is 2.6% due to the slump in the domestic demand and reduced exports brought by the MERSC incident in 2015. The Korea Development Institute has estimated the economic growth rate in 2016 to be around 3.0%. South Korea's economy is facing the crisis of low-growth solidification due to the decrease in economic growth, and it is forecasted that growth without employment and polarization will worsen. Startups in the high-tech industrial generation of a particular field wherein the market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must maintain a competitive advantage with the capabilities and functions exclusive to them.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y maintain a competitive edge by utilizing the capabilities exclusive to startup companies. Likewise, the accumulation of resources is also crucial in determining the success of a startup business. In a poor local startup ecosystem, majority of the startup companies are performing their business activities while striving for survival, rather than success. About 80% are struggling to survive and are failing to overcome the "Death Valley" faced 3-5 years after establishing the company. Since majority of the startups fail to achieve results during the initial stages of foundation,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business activities and achievement during the early stages of establishment is being raised. In accordance to this, this research has performed an actual analysis on how the activities of startups during their preparation phase and early stages affect their achievements. A survey was done on the CEOs or executives (people in a position to make decisions) of local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at are considered start-ups, and 203 vali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the discoveries and utilized activities necessary for the businesses of startup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achievement through the entrepreneur resources and external partners' cooperation; additionally, the relate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