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팀

Search Result 9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창업자의 특성이 창업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팀 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om, Seung-Gwon;Hwang, Bo-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167-170
    • /
    • 2019
  • 최근에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ICT와 같은 기술기반 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창업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어, 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개인 수준뿐만 아니라 팀 수준의 특성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더 현실적인 상황을 반영하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판단된다. 팀창업일 경우 기업의 성과는 개인-팀 역량의 혼합 결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창업기업의 성공과 실패를 가름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제시해왔으나, 이러한 요인은 창업자의 개인적 특성, 보유하고 있는 자원 등에서 찾는 선행연구가 대부분이다. 관련 연구들을 종합하면 창업기업의 성장은 창업가 특성, 자원, 전략, 산업, 그리고 조직 구조 및 시스템의 함수로 정리된다. 그러나 창업팀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기 창업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으로 창업가의 특성인 창업역량(entrepreneurial competency)에 초점을 두고, 창업팀의 역량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살펴본다. 개인의 특성에 집중해온 기존 연구에서 더 나아가 창업역량의 영향력을 창업가 개인 수준 및 팀 수준으로 구분하여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예비 창업가 및 초기 창업기업이 안정적인 사업화를 위해 팀구성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정부 지자체 민간 등에서 창업지원사업 운영 시 팀구성이 잘 된 창업기업을 선발하는 기준을 수립하기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창업팀의 다양성이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다양성 수용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Park, Jae-Hwan;Jeon, Hye-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153-158
    • /
    • 2018
  • 국내외 창업 교육 및 창업 현장에 있어 창업자 개인이 아닌 팀 단위의 역량을 중요시하고 있다. 다양한 창업지원 사업에서 팀의 구성에 따라 당락을 결정할 정도로 팀은 창업 초기에 빠르게 나아가기 위한 원동력이자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창업팀의 활동을 통해 구성원들의 역량이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에 실패를 용인하고 재도전할 기회를 주는 등 사회 분위기도 개선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기존의 창업가(entrepreneur) 중심에서 창업팀(entrepreneurial team) 단위의 연구로 흐름이 변화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더욱이 국내 연구에 있어 창업팀에 대한 연구는 초기 단계로 해외의 연구 결과에 의존하고 있어 한국의 창업환경에 맞는 창업팀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의 부족은 창업팀이라는 연구 대상이 한정되어있다는 점, 시간의 부족을 겪고 있는 창업 팀원들에게 의미 있는 자료를 끌어내기 어려운 점 등도 애로사항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업팀의 특성 중 학습 행동을 유발하는 요인을 찾기 위해 창업팀의 지각된 다양성과 그 다양성을 수용하는 태도에 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원들의 지각된 사회범주 다양성과 지각된 정보다양성이 높을수록 다양성을 수용하고자 하는 의지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정보 다양성과 가치 다양성을 수용하는 태도가 좋을수록 자발적인 학습 행동이 더 많이 발생했다. 셋째, 단순히 다양한 사람들을 섞어 팀을 구성하는 것 자체로만은 학습 행동을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지각된 사회범주다양성은 정보다양성의 수용태도를 매개로 자발적인 학습 행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정보다양성은 정보다양성과 가치다양성 수용태도를 매개로 학습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팀은 긍정적인 영향과 함께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하여 구성원간의 갈등을 야기시키며 창업실패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본연구는 이러한 팀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서 향 후 창업팀의 육성과 지원 시 팀의 구성원간의 문제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팀의 특성과 관련한 연구의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PDF

V+인(人)SIDE_창업진흥원 창업기반지원팀 조영수 과장 - 예비창업인의 든든한 지원군, '창업진흥원'

  • 벤처기업협회 편집부
    • Venture DIGEST
    • /
    • s.136
    • /
    • pp.48-48
    • /
    • 2009
  • 창업의 꿈을 펼치고 싶지만 막상 아무런 준비 없이 무턱대고 창업을 할 수는 없는 일이다. 창업 아이템은 무엇으로 할 것이며, 어떻게 창업을 해야 하고, 과연 성공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불안감으로 망설이고 있다면 창업진흥원 창업기반지원팀의 문을 두드려 보는 것은 어떨까. 조영수 과장을 만나 성공적인 창업에 대한 밑그림을 제시하는 창업기반지원팀의 지원 내용을 들어본다.

  • PDF

A Study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Outcomes : Focusing on Hackathon Education b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ffectiveness analysis (기업가정신과 창업교육 성과간의 연구 - 해커톤 교육을 중심으로 한 변혁적리더십 효과성 분석 -)

  • Nam, Jung Mi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0 no.1
    • /
    • pp.45-53
    • /
    • 2015
  • This study validates the effectiveness of Hackathon Education which is popular entrepreneurship education method. And to reveal how entrepreneurship affects willingness of entrepreneurship and its team commitment.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its performance. The results show that entrepreneurship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but has positive impact on the willingness of entrepreneurship. However, moderating effect was proved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willingness of entrepreneurship. Therefore, entrepreneurship has positive effect on willingness by 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urthermore, entrepreneurship has positive impact on its team commitment and even though statistically not proven but als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an affect its team commitment by interaction of entrepreneurship.

  • PDF

V+인(人)SIDE - 성공을 준비하는 기술창업자들의 든든한 조력자 - 창업진흥원 기술창업지원팀 -

  • 벤처기업협회
    • Venture DIGEST
    • /
    • s.137
    • /
    • pp.50-50
    • /
    • 2009
  • 아무리 좋은 아이템이 있다고 해도 맞춤형 정보와 함께 철저한 준비를 해야지만 창업에 성공할 수 있다. 우수한 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지만 기술창업의 벽이 높다고 느끼는 예비창업자가 있다면 '창업진흥원 기술창업지원팀(팀장 성승호)'의 도움을 받아보자. 기술창업자들의 성공을 돕는 것에 큰 보람을 느끼고, 아이디어가 넘치는 역량 있는 팀원들로 구성된 창업진흥원 기술창업지원팀을 소개한다.

  • PDF

A Study about the Effect of Team Members' Entrepreneurial Intention, Diversity, and Supporting Activities of Assistants on Team Learning Effectiveness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in the Entrepreneurial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rough Team Learning (팀 학습을 통한 대학생의 창업교육에 있어서 팀원의 창업의지, 다양성 및 조력자의 지원활동이 팀 학습 유효성 및 창업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Choi, Joong Seo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2 no.4
    • /
    • pp.159-17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rough team learning positively influences the effectiveness of team learning and the satisfaction of entrepreneurship curriculum. To do this, we analyzed the questionnaire data of 149 students who took the entrepreneurship course that was conducted by the team learning method focused on problem solving task among the entrepreneurship courses opened in the venture autonomous major. First, we examined the effect of team learning effectiveness and entrepreneurial education satisfaction on the effectiveness of the team learning by individual's intention for startup, diversity of team members, and supporting activities of assistants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th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ed the effectiveness of team learning, and whether the effectiveness of team learning mediates between these independent variables and entrepreneurial education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hypothesis that supporting activities of assistants will influence team learning effectiveness. However, the hypothesis that individual's intention for startup or team diversity influences team learning effectiveness was rejected.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individual's intention for startup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of team learning was found to be influential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eam learning was mediating between the supporting activities of assistants and the satisfa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specially, 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ignificance of the supporting activities of assistants decreased remarkably. This suggests that the mediating path that affects the satisfa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very meaningful through the effectiveness of the team learning although the supporting activities of assistants are partially media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upporting activities of assistants are important in the team learn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individual's intention for startup is also important. Especially, supporting activities of assistants were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rough the effectiveness of team learning. Therefore, I think that it is essential to designing a practical education course that meets individual's intention for startup in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networking with the particip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experts or entrepreneurs. In addition,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think more thoughtfulness about the composition of team members in the team learning, and to provide more meticulous support to the effectiveness of the team learning.

  • PDF

국내 벤처창업팀의 인적 다양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Park, Gye-Hyeon;Kim, Do-Hye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121-125
    • /
    • 2018
  • 지금까지는 창업자 개인의 특성이나 경험을 바탕으로, 창업기회 포착과 성과를 다룬 다수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최근 학자들은 Entrepreneurship이 개인보다는 팀이 수행하는 업무이며, Entrepreneurial Team의 역동성이 Entrepreneurship 연구에 새로운 통찰력을 추가한다는 점을 재차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팀을 구성하는 데 있어 팀의 다양성 수준을 어느 정도로 하는 것이 적절한지, 어떻게 팀을 조화롭게 구성할 것인지에 대한 것이 중요한 의사결정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벤처창업팀의 인적구성 다양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팀 구성원들 각자가 가진 속성의 차이에 따라 팀 다양성의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곧 성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다양성에 관한 국내 연구들은 다양성과 성과에 대한 직접 효과에 대한 분석 중심으로, 조절효과에 대한 다양한 분석은 관련 연구가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팀 다양성과 성과 간의 관계를 과업 상호의존성과 환경 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와 차별점을 갖는 것이다. 조직 내 다양성의 혼재된 영향력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인적자본 및 사회적 자본 이론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벤처기업의 인력구성 및 관리적 측면에서 다양성이 어떠한 상황에서 성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 PDF

The Relationships between Founders' Entrepreneurial Leadership, Team Learning Behavior, Team Boundary Spanning, and Perceived Performance in the Early-Stage Startups (초기 스타트업 창업가의 기업가적 리더십, 팀 학습 행동, 팀 경계 확장 행동 및 지각된 성과의 관계)

  • Park, Jungwoo;Kim, Jinmo
    • Korean small business review
    • /
    • v.42 no.1
    • /
    • pp.135-165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founders' entrepreneurial leadership, team learning behavior, team boundary spanning, and perceived performance in early-stage startups. The following results were recorded: (i) the indirect effects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on perceived performance via team learning behavi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β=.309, p<.05). (ii) relationships between team learning behavior and perceived performance were strengthened by team boundary spanning behavior (β=.259, p<.05). In this study, three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as follows: (i) startups need to seek team learning readiness and external learning stimulus to facilitate generative and transformative team learning; (ii) accelerators need to develop an entrepreneurial leadership program for founders; and (iii) startups need to explore external information by interacting with investors, R&D institutions, and other startups to strengthen the impact of team learning behavior on performance. Furthermore, two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as follows: (i) future researchers need to test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team learning behavior based on a newly designed time-series measurement plan; (ii) the actual effects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team learning behavior and team boundary spanning on financial performance need to be tested two or three years later whe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early-stage startups usually becomes evident.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and Laboratory Startup Team Diversity on Startup Performance Based on a Network Perspective: Focusing on the I-Corps Program (네트워크 관점에 기반한 사회적 자본 및 실험실 창업팀 다양성이창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I-Corps program을 중심으로)

  • Lee, Jai Ho;Sohn, Youngwoo;Han, Jung Wha;Lee, Sang-Myu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8 no.6
    • /
    • pp.173-189
    • /
    • 2023
  • As supreme technologies continue to be developed, industr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otechnology, robots, aerospace, electric vehicles, and solar energy are created, and the macro business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Due to these large-scale changes and increased complexit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which can create new value by utilizing capital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rather than technology or asset ownership itself at the level of start-up strategy. Social capital is a concept first proposed by Hanifan in 1916, and refers to the overall sum of capabilities or resources that are latent or available for use in mutual, continuous, organic relationships or accumulated human relationship networks between individuals or social members. In addition, the diversity of start-up teams with diverse backgrounds, characteristics, and capabilities, rather than one exceptional founder, has been emphasized. Founding team diversity refers to the diversity of in-depth factors such as demographic factors, beliefs, and values of the founding team. In addition, changes in the macro environment ar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start-ups and laboratory start-ups that lead industrial innovation and create the nation's core growth engines. This study focused on the I-Corps' program. I-Corps, which means innovation corps, is a laboratory startup program launch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NSF) in 2011 to encourage entrepreneurship and commercialization of research results. It focuses on forming a startup team involving professors, researchers and market discovery activities. Taking these characteristics into account,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from a network perspective and founding team diversity on I-Corps start-up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ducational diversity of the founding team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founding team. On the other side, the gender diversity and the cognitive dimension of social capital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founding team.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more usefu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garding the diversity, social capital, and performance interpretation of the I-Corps Lab startup team.

  • PDF

2004 대한민국창업대전

  • Korea Venture Business Association
    • Venture DIGEST
    • /
    • s.64
    • /
    • pp.10-13
    • /
    • 2004
  • 미래 청년기업가들의 우수한 창업아이템과 기술이 한자리에 모인 국내 최대 창업행사‘2004 대한민국창업대전’이 12월 3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무역전시장에서 열렸다. ‘새로운 도전, 성공의 첫걸음(Challenge, Beyond Success)’이라는 슬로건으로 열린 행사에는 중소기업청 김성진 청장과 협회 장흥순 회장, 한국여성벤처협회 이영남 회장 등 유관 기관장들이 대거 참석했으며, 행사 기간 동안 4만 여명의 관람객이 행사장을 찾았다. 중소기업청이 주최하고 벤처기업협회가 주관한 이번 행사에서 학생부 69팀, 일반부 50팀 등 총 119개 팀이 참가하여 창업아이템의 열띤 경합을 벌였다. 또 1:1 맞춤상담, 기술거래장터 및 기술발표회 등의 부대행사와 창업성공을 기원하는 대굿, 패션쇼 등 다채로운 행사가 열렸다. 김성진 청장은“무한경쟁시대는 기술발전을 끊임없이 요구하고 있어 창업활성화는 미래를 위해 중요한 요소”라며“우리 경제의 희망이자 내일인 창업에 매진하고 있는 모든 이들의 성공을 기원한다”고 말했다. 중소기업청은 앞으로 창업대전이 명실상부한 종합창업행사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행사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시키고, 포상훈격 격상 및 입상자들에 대한 종합적인 사업화 연계지원 등을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