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관심도

Search Result 32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성공적인 정보통신 신기술기반기업의 창업 핵심요소 분석

  • 이정우;강상구;양태용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1999.05a
    • /
    • pp.63-70
    • /
    • 1999
  • 최근 신기술기반기업 (New Technology Based Firm; 이하 NTBF)이 국가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및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국가적인 차원에서 이들의 지원을 위한 조치들과 이들의 창업을 촉진시키고 육성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NTBF 들이 성공적인 창업을 달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들을 분석함으로써 우월한 기술과 아이디어들을 활용하여 시장에 진입하려는 NTBF 들의 성공적인 창업의 기회를 넓히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먼저, 기존의 문헌 분석을 통하여 성공적인 창업의 핵심요소로 알려져 있는 항목들을 분석하였으며 다음으로, 문헌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창업과정의 영향 요소들을 이용하여 NTBF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을 작성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실증 분석자료로 활용하여 각각의 항목들이 어떠한 중요도를 갖는지 분석해 보았다. 분석 절차로는 각 기업의 성과에 대한 측정 지표를 만들고 이와 상관관계가 있는 NTBF 창업활동 요소들을 분석함으로써 성공적인 창업의 핵심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있어서 실증분석 대상으로 한 NTBF의 수가 적어 통계적 의미가 약함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향후 핵심 성공 요소들의 도출에 있어서 보다 많은 설문 집단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는 것과, 설문의 방법이 아닌 다른 분석 방법들도 시도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Development on Educator for Entrepreneurship Program (창업교육을 위한 교육자 양성)

  • Choi, Jong-In;HwangBo, Yu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7 no.1
    • /
    • pp.207-214
    • /
    • 2012
  • Interest in the education for the technology entrepreneurship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ast decade but it is not enough for the educator. That is the reason that one educator has field experience without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others have theory without the practical experience. Government ask to university to enhance the entrepreneurship training in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level. Our study focus on the what is important for the entrepreneurship educators. Among the evolu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is paper suggest three factors for the educators, the development of teacher and coach who has embedded entrepreneurship algorithm, teachers who has many practice and know-how, and last one is balancing and harmony teamwork of coaches and teachers.

  • PDF

기업가정신역량기반 창업교육과 지원성과간 관계 연구

  • Byeon, Ji-Y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123-127
    • /
    • 2020
  • 4차산업 이래 급변하는 산업환경과 경기악화로 인해 청년실업율이 지속적 사회문제로 부상하고 있으며, 산업구조 변화로 사회에서 요구하는 진로역량에 영향도 변화하고 있다. 이에 일자리창출의 새로운 동력원으로 창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다 대학 창업교육은 양적 성장세를 이어 왔고, 더불어 주요 창업지원성과라 볼 수 있는 창업자수·고용인원수·매출액 성과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 창업교육이 어떠한 질적 성장을 이루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할 것이다. 창업교육은 주로 국내 교육 및 해외교육 현황이나 일부 역량관점으로 대학 창업교육을 다루는 선행연구가 있으나 아직 역량관점에서의 창업교육에 대한 연구는 도입단계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 지고 있다. 대학에서는 실질적인 창업지원 성과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창업교육과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 또한 충분치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점들을 반영한다면 사회 변화와 요구에 따라 창업교육의 양적성장에 이은 질적 고도화를 위한 다각적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겠다. 창업교육의 질적 측면에서 살펴보자면 유럽에서는 수년간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기업가정신역량을 국민의 전생애역량으로 인식하고 평생교육에 적용해 오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대학 별로 3~5단계 내외의 교육체계를 세우고 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디자인씽킹이나 캡스톤디자인식 등의 창업교과목과 같은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기업가정신에 대한 교육도 다소 증가하고는 있으나 주로 창업스킬 중심의 교육으로 편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대학은 창업교육을 통해 사업가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기업가를 육성해야 하는 기관이다. 그러므로 대학별 특성에 따른 교육체계의 다양성에 더하여 이제는 국내 대학 창업교육의 체계성을 높이기 위한 통합적인 접근 또한 필요한 시점이라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역량관점으로 창업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실질적인 창업지원성과 간 관계를 밝혀 창업교육 고도화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업가정신역량(Entrepreneurship Competence) 개념을 기반으로 4년제 창업선도대학의 역량별 창업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대학정보공시자료를 활용하여 기업가정신역량기반 창업교육과 지원성과 간 연관성을 밝혀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업교육 지원체계를 고도화 함에 더하여 대학에서의 기업가정신역량기반 창업교육을 통하여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역량을 제고시킴으로써 실질적인 창업지원성과를 높이고,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써 사명감을 가지는 바람직한 기업가를 발굴하고 육성함에 있어 좀 더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Self Efficac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 Focused on Bio-Healthcare Workers (기업가 지향성과 자기 효능감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바이오·헬스케어 산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 Jongsoo Hyun;Youngjun Kim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1
    • /
    • pp.627-633
    • /
    • 2023
  •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and self efficac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among workers in the bio-healthcare industry in Korea. As interest in health increases in the age of aging, the bio-healthcare industry is attracting a lot of attention for start-ups as an industry that can create high added value, but there are also aspects that take a relatively long time to develop technology, require a lot of money, and have a relatively high probability of failure.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level of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and self efficacy of bio-healthcare industry workers and identified the degree of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Studies have shown that innovativeness, progressiveness, and risk-taking among entrepreneurship orientations a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ddition, self efficacy has been shown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veness, progressiveness, risk-taking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개인적특성과 창업환경이 10대, 20대, 30대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연구

  • O, Hui-Seon;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163-166
    • /
    • 2020
  • 저출산으로 경제활동인구가 감소했는데도 청년실업자가 늘어난 나라는 한국, 이탈리아, 그리스인데 이는 OECD국가 중 유일하다. OECD 청년고용률은 2009년 40.5%에서 2019년 43.5%로 증가했지만 순위는 30위에서 32위로 하락했다. 코로나19사태로 매출이 감소한 국내 301개사는 채용을 미루거나 포기한 비율이 전체 50.5%애 이르면서 앞으로 청년 취업 상황을 악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양질의 일자리가 증가하면 이를 통해 개인은 경쟁력을 확보하게 되고 산업은 고급 인력을 바탕으로 성장구조를 만든다. 따라서 민간과 정부는 창업을 적극적으로 독려하고 활성화 시킬 필요가 있다. 청년창업대상자를 중심으로 진행하는 사업은 중소벤처기업부의 청소년 비즈쿨 사업과 창업에듀, K-스타트업, 청년창업사관학교, 학생창업유망팀 300등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원 사업이 초기창업단계에 지원역량이 강화되어 있고 공급자 위주로 창업지원 사업을 운영하다보니 창업 성과는 미미하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대는 생계유지에 대한 문제와 창업자금으로 인해 창업을 망설이고 30대는 가족을 돌보는 것에 대한 부담감과 기업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창업을 기피 하는데 이는 40대이상 다른 연령층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개인적, 환경적 요인이 연령에 따라 창업의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분석하여 일자리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청년창업지원대책 기초자료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청년창업대상자의 금전에 대한 태도, 창업역량, 성공한 롤모델, SNS 활용능력, 창업지원정책, 사회적지지, 인적네트워크, 해외시장 관심도가 창업의지에 어떤 상관 관계를 갖는지 비교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10대의 경우 취업과 창업을 고민하는 특성화고등학생 150명, 20대 150명, 30대 150명으로 총 450명의 데이터를 가지고 SPSS 23을 통해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고 원인을 비교해 앞으로의 정책이 창업을 독려하고 지속력을 갖기 위한 방향으로 시사점을 제안한다.

  • PDF

사회적 기업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Lee, Ha-Yeon;HwangBo, 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177-180
    • /
    • 2018
  • 우리나라는 외환위기 이후 경제가 급속도로로 발전했으나 변화하는 과정에서 여러 사회문제들이 발생했다. 저 출산 및 고령화, 환경오염, 실업률 증가, 지역 사회 붕괴, 사회적 가치 창출 및 공유 미흡등 사회적인 약자가 증가하고 그들에 대한 배려가 부족해지면서 사회적 서비스가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 사회적 기업은 영리기업과 비영리 기업의 중간 형태로, 사회적 목적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면서 재화/서비스의 생산 및 판매 등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조직을 말한다.(사회적기업진흥원, 2017) 사회 전반적으로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과 사회적 기업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 도전들은 많다. 하지만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기업 창업을 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을 통해 본 논문에서는 현재 대학생, 대학원생들의 사회적 기업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사회적 기업 창업과 벤처 창업 의지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 하였다. 사회적 기업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으로는 개인적 특성(위험 감수성, 혁신 추구성, 진취성, 사회가치지향성), 사회문제 상황인식(문제인식, 관여도), 대학의 사회적 기업 정보등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요인을 바탕으로 국내 대학생과 대학원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신뢰성,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등을 통해 본 연구에서 설계한 가설을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사회적 기업을 창업? 잠재적인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의 창업을 도와주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만드는데 도움이 되며, 사회적 기업 창업에 관한 연구 확산에도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경험이 사업가적 도전성에 미치는 영향

  • Han, Mi-Gyeong;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97-102
    • /
    • 2021
  • 최근의 사회 경제적 현상에 비추어 우리나라 젊은이들은 취업에 많은 고민을 하고 있으며 이의 극복을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할애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경제규모가 세계 10위권대 임에도 불구하고 취업시장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어서 돌파구가 있어야 하는 상황이다. 지금의 세계경제는 4차 산업시대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은 세계적 대기업이 아닌 IT기반의 플랫폼 사업의 개인 창업가들이며, 이 개인 창업가들이 엄청난 속도로 성장하여 지금의 글로벌기업을 이끌고 있다. 최근 창업에 관한 인식변화와 함께 관심을 갖고 실제로 창업에 도전하는 현상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의 성공여부가 본인은 물론 우리나라의 경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를 통해 생애전반에 걸쳐 교육과 취업이나 창업의 많은 사회적 경험활동이 사업가적 도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경험자들이 창업에 도전성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경험활동이 기업가적 도전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는 연구로 개인적 특성, 사회적 경험, 창업실패에 대한 인식이 사업가적 도전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사회적 지지가 사업가적 도전성에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창업이 국가의 경제성장이나 개인의 취업 및 경제활동 욕구를 충족시키는 요소라면 사업가적 도전성을 개개인의 사회적 경험에 앞서 학교 교육과정에서부터 체득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서 창업에 도전성이 더욱 더 성장될 수 있도록 성장과정에서 교육적 사회적 책무를 가지고 환경조성을 한다면 사회적 경제적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건정한 사회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 PDF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의 지원이 초기 창업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액셀러레이터 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Lee, Gyeong-Ho;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43-47
    • /
    • 2021
  • 2020년 8월 중소벤처기업부는 '20년 상반기 벤처기업 및 벤처투자 받은 기업의 일자리 동향, 벤처투자 및 펀드결성 동향 등을 분석한 결과 '20년 상반기 혁신 벤처·스타트업의 투자는 줄었지만, 일자리는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전년 동월대비 1.3%(35.2만명) 감소한 것을 고려하면 괄목할 만한 성장으로,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운 상황에서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 경제성장률 감소폭이 적었던 것은 창업기업이 우리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중소벤처깅업부, 2020). 예비 창업기업 및 초기 창업기업을 위한 전문보육 및 투자를 맞춤형 패키지로 지원하는 엑셀러레이터의 역할은 대중화된 창업생태계 속에서 기대효과가 크다(김선우, 2015). 2020년 8월에 개정된 벤처투자총진법 시행은 액셀러레이터의 제도가 구체화 되고 초기 창업기업에 대한 투자가 보다 활발해져 실질적인 지원이 가능해 질 것을 기대된다. 이러한 액셀러레이터에 대한 관심은 선행연구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국내의 엑셀러레이터는 빠른 확산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그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상황이며, 엑셀러레이터의 지원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체계가 요구되고 있다(김용재, 2014). 액셀러레이터 지원 및 역량과 초기창업기업 성과 간의 연관성을 연구할 필요한 연관성이 있다고 제시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 이내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로부터 보육 및 투자지원을 받은 초기창업기업 관계자를 대상으로 초기 창업기업 성과와 액셀러레이터 지원간에 관계에서 액셀러레이터 역량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role of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ial management in the diffusion of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culture (창업 및 창업문화 확산을 위한 창업대학원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창업비지니스센터의 역할을 중심으로)

  • HwangBo, Yun;Lee, Il-Ha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7 no.2
    • /
    • pp.45-53
    • /
    • 2012
  • A policy of entrepreneurship support increases recently. A policy of entrepreneurship support provide from infra to direct support in various. Quantity scale increase but quality levels are inadequate. In this paper, we provide an overview of the role of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ial management on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in Korea. This study aims exploratory research that the role of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ial management in the diffusion of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culture. This study review the support of entrepreneurship structure(youth entrepreneurship, domestic support of entrepreneurship system, abroad support of entrepreneurship system) and the propulsive strategy(the business of SOE, 4th Generation Business Incubator, organizational structure of entrepreneurship business center, conten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 PDF

Study on the Policy of Supporting University Students in the Beauty Field through Social Big Data Analysis: Based on exploratory data analytics (소셜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한 미용분야 대학생 창업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탐색적 데이터 분석법을 기반으로-)

  • Mi-Yun Yoon;Nam-hoon Park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9 no.6
    • /
    • pp.853-863
    • /
    • 2022
  • In order to revitalize start-ups in the beauty field,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characteristic patterns of changes in demand and differences in emotions and meaning for 'beauty start-ups' by dividing the period by year from 2019 to 2021 based on exploratory data analysis (EDA). Most of the search terms related to the keyword "beauty start-up" showed more interest in institutions or certificates that can learn beauty skills than professional start-up education, which still does no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tart-up education, and as an alternativ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stomized start-up education programs for each major. We establish hypotheses through exploratory data analysis and verify hypotheses by combining traditional corroborative data analysis (CDA). There has never been an exploratory data analysis method for beauty startups, and rather than mentioning the need for formal start-up education, analyzing changes in interest in beauty startups and the requirements of prospective start-ups with exploratory data will help develop customized start-up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