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참여도

Search Result 19,486,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Influence of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y by Female Teacher in Physical Education Class (스포츠활동 참여가 초등 여교사의 체육수업에 미치는 영향)

  • Kim, chae-woon;Kim, se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67-169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여교사의 스포츠활동 참여가 체육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스포츠활동 참여유무, 참여유형, 참여정도(빈도, 강도, 기간)에 따라 체육수업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t-검정, 일원변량 분산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스포츠활동 참여자는 비참여자에 비해 체육수업 인식 및 체육 교수활동에서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스포츠 참여자 중에서 스포츠 참여 유형에 따른 체육수업은 간접적 대결 활동군이 수행기록 활동군과 심미적 활동군에 비해 체육 교수활동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스포츠 참여정도에 따른 체육수업은 참여빈도에서 주 2회 이상 참여한 여교사가 주 1회 이하로 참여한 여교사보다 체육교수활동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여교사의 스포츠활동 참여가 체육수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겠다.

  • PDF

A Survey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Study Group (대학생의 학습동아리 참여 실태)

  • Nam, Sangz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29-130
    • /
    • 2017
  • 학습동아리는 대학생들에게 학업보충 뿐 아니라 자격증취득, 취업준비 등 여러 목적으로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동아리 참여 실태에 대한 조사를 연구 범위로 한다. 조사방법론으로는 대전의 한 대학교의 학생들에게 설문을 통하여 학습동아리 참여 여부와 미참여 시의 이유, 그리고 참여 시 참여 이유 등을 파악하는 설문방법을 취한다. 먼저 성별과 학년별 학습동아리 참여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미참여 이유와 참여 이유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와 학년에 따른 차이를 SPSS 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검증한다. 검증 결과는 남학생의 학습동아리 참여가 높고 학년별로는 신입생보다 재학생들이 당연히 참여 비율이 월등히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참여 이유로는 자발적 필요성이 70%에 달해 월등히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한편 미참여 이유는 아르바이트 등으로 시간이 없다는 응답이 50%를 넘어 경제적 형편을 반영하고 있다. 성별, 학년별 참여, 미참여 이유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task value, and class participation of college students on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flip learning (플립러닝 학습법을 통한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수업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Ju, Hyeon Jeo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7 no.4
    • /
    • pp.211-225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task value, behavioral participation, cognitive participation, emotional participation, and initiative particip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in 462 college students who took a flip learning class. Results, As for the direct effect of variables affecting learning satisfaction, behavioral participation was the largest factor, followed by initiative participation, task value, emotional particip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se variables explained 86% of learning satisfac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task value had an indirec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behavioral, emotional, and proactive participation. In the multi-group moderating effect with the upper-middle class (B+ or higher) and the lower-middle class (below B) group as the moderating variables, there was a partial moderating effect because the path coefficients of leading particip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differed between the groups. It is necessary to seek various ways to increase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to develop an intervention strategy through a program tailored to each individual.

최고경영층의 인지유형과 MIS 참여

  • 문용은;이재범
    • Korean Management Science Review
    • /
    • v.5 no.1
    • /
    • pp.18-28
    • /
    • 1988
  • MIS 개발에 최고 경영층의 참여에 관한 기존 연구에는 참여의 범위와 정도, 방법, 참여 지침 그리고 MIS 성공과의 관련성 등을 밝히고 있지만 최고경영층의 MIS개발에 참여를 결정하는 요인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고경영층의 MIS참여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인지유형을 채택하여 인지유형별로 MIS참여 정도가 다를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는 최고경영층의 MIS참여 방향을 제시하고 최고경영층의 MIS교육과 훈련에 유용한 자료가 되며 궁극적으로 성공적인 MIS구축을 위한 지침이 된다. 최고경영층의 인지유형은 융의 분류를 따랐고, MIS개발에 관한 7개의 참여범위와 5단계에 걸친 참여정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인지유형에 따른 최고경영층의 MIS참여에 대해서 3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최고경영자들로부터 직접 회수한 설문지로 Mann-Whitney U 검증법과 Kruskal-Wallis 검증법을 이용하여 실증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최고경영층의 MIS 참여정도는 인지유형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인지유형별로 최고경영층의 MIS 참여지침과 참여범위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는 MIS 개발 단계별로 최고경영층 참여의 중요도에 관한 가중치가 고려되지 않았고, 시스템 자체의 성격(DP 혹은 DSS)이 고려되지 않은 제한점 등이 있다.

  • PDF

Analysis of the Effect of Learning Participation on Achievement in Programming Courses (프로그래밍 교과의 학습참여도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Kim, Ji-Sim;Kim, Kyoung Ah;Ahn, You Jung;Oh, Suk;Jin, Myung 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497-49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래밍 교과에서 학습참여도가 성취도에 끼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학습참여도는 예습참여도, 수업참여도, 복습참여도로서 학습활동별로 측정되었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세 개의 독립변수는 성취도를 설명하는 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습참여도는 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두 요인 중 상대적 기여도는 복습참여도, 수업참여도 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프로그래밍 교과의 성취도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Effects of Visual Scaffolding for Encouraging e-Learning Participation (이러닝 학습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시각적 스캐폴딩 효과 연구)

  • Jin, Sung-Hee;Kim, T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15-216
    • /
    • 2015
  • 연구의 목적은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학습자들의 학습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시각적 스캐폴딩을 개발하고 그것이 학습참여, 개별학습, 팀프로젝트학습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시각적 스캐폴딩에는 개별 참여도, 팀 참여도, 팀활동에 대한 개인 기여도, 팀간 상호작용 정도가 표상되도록 설계하였다. 시각적 스캐폴딩의 교육적 효과는 실험연구를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시각적 스캐폴딩은 학습참여도 및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nalysis of the Impact of Residents Participation Activities on Continued Motivation in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Focused on Sajik-dong, Cheongju-si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민참여활동이 지속적 참여 동기에 미치는 영향 분석: 청주시 사직2동을 중심으로)

  • Sung, Sun-Ah;Oh, Hoo;Hwang, Hee-Yu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0 no.4
    • /
    • pp.393-406
    • /
    • 2015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residents participation activities on continued motivation in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For the analysis, this study was conducted the survey residents who participated in Cheongju-si urban regeneration project. Based on the survey, this study examined residents' awareness and analyzed the resident participation activities that affect the participation motivation(reward, sense of achievement, sense of expectation)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first of the results, the rewards obtained through participation activities is not affected by all resident participation activities. Second, sense of achievement obtained through participation activities such as pride or satisfaction is affected by both promotion and management of project and daily meeting activities. Finally, sense of expectation for the change of the town is only affected by daily meeting activities. These results help to find out required resident participation activities to give participation motivation inducing the continued participation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 PDF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the Participation in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by Types of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 Focusing on Chungcheongnam-do (평생교육 참여유형별 시민참여교육 참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 Jeong, Jae-Hun;Lim, Se-Young;Kang, Hyun-J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1
    • /
    • pp.331-340
    • /
    • 2018
  • This study used data from '2016 Chungnam Citizens' Lifelong Education Needs Survey'. This analyzed the basic situa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It also typifies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tention of lifelong education by region, and compared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ten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Through this, we intend to provide concrete basic data for activating the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in Chungnam. We analyzed data of 4,108 people in 2016 lifelong education needs survey. This was named enjoy learning type, bias earning type, and elderly learning type. Second, the enjoy learning type group is a group that enjoys participating throughout lifelong education area. bias earning type group is a group that perceives that lifelong education is limited to vocational ability education, culture art education, and liberal arts education. These are groups that are interested and participating only in three areas. The elderly learning type group is a group that shows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learners and is a group that is concentrated on participation in culture arts education. Third, enjoy learning type group is the second most experienced participant. They are the group with the highest participation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tention. bias earning type group is the group with the highest participation experience. They are also the second highest group of participating interests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elderly learning type group is the group with lowest participation experience, participation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tention. Finally, we suggest the ways to revitalize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in lifelong education.

The Effect of Teaching Methods Applied to the Remote Practical Technique Classes on Learning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 Focusing on Design Classes (비대면 실기 수업 적용 교수법이 학업성취도와 학습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디자인 수업을 중심으로)

  • Lee, Hee-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5
    • /
    • pp.697-710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e the structural relation of how effective teaching methods in remote design courses affects learning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data was acquired and analyzed with case study of design classes. The scale of remote practical classes, learning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measured and the data acquired were verified using SPSS and AMOS to prove the influ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sing the lecture method in remote classes appear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participation. Second, flipped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and emotional participation but no effect was found on behavioral participation. Third, PBL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participation. Fourth, videos did not have any meaningful effect on cognitive and emotional participation but had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participation. Fifth, only cognitive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ut no relations were found between emotional and behavioral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eded combining actual classes with the PBL method and flipped learning and creating different programs.

Mobil Agent based User Group Management for Distributed Virtual Environment (분산 가상 환경을 모빌 에이전트 기반 참여자 그룹 관리)

  • 이승근;탁진현;이세훈;왕창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236-238
    • /
    • 1999
  • 컴퓨팅 능력의 발달과 네트워크의 대용량화로 인해서 다중 참여자를 고려한 분산 가상 환경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분산 가상 환경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된 다중의 참여자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참여자 그룹 관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기존의 분산 가상 환경에서의 참여자 그룹 관리는 참여자의 가입, 탈퇴 처리와 현재 상태의 제공 기능 등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형태의 참여자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현재 상태의 정보 뿐만 아니라 다양한 그룹 활동의 지원과 각각의 참여자가 수행한 작업의 형태와 그룹에 대한 정책등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작업은 기존의 참여자 그룹 관리 방식에는 중앙 서버에 지나친 부담을 주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하기 위한 고려도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모빌 에이전트를 기반한 분산 가상 환경을 위한 참여자 그룹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시스템의 특징은 하나의 그룹내에 다수의 소그룹이 존재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그룹 활동을 지원하며, 그룹의 현재 상태 정보 뿐만 아니라 그룹에 참여하는 각각의 참여자들의 행위 정보와 이동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참여자를 진단을 욕하는 응용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모빌 에이전트 형태로 설계함으로써 중앙 서버에 대한 지나친 부담 문제를 해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