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참돔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29초

강지진동 분석의 최적화를 위한 고려요소

  • 이석태;조봉곤;이정모;조영삼
    • IUGG한국위원회:학술대회논문집
    • /
    • IUGG한국위원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7-17
    • /
    • 2003
  • 한반도에 있어서의 지진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강지진동 연구가 필수적이다. 강지진동 자료가 부족한 한반도의 특성상 모사를 통해 연구하고 있다. 강지진동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되도록 노이즈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지진파자료를 선택하여 그 지진자료의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감쇠상수 k, Q 등을 구한다. 이러한 감쇠상수 값을 통해 한반도의 진동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감쇠상수를 구하는 과정에서 감쇠상수 분석에 사용된 지진자료에 노이즈가 더해졌을 경우, 어떤 형태로 스펙트럼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감쇠상수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연구하여 노이즈효과를 제거할 수 있는 최적화된 분석에 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강지진동 모사프로그램을 가지고 노이즈효과를 적용하면서 감쇠상수에 노이즈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수치 해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합성지진파에 이 합성지진파와 전혀 다른 주파수 형태를 보이는 노이즈를 강도를 달리하면서 합성해 본 결과, 노이즈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몇 가지 요소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감쇠상수 k값을 강지진동 모사프로그램으로부터 값을 달리하며 합성해 본 결과 노이즈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감쇠상수 k를 선형회귀를 통해 $k_{s}$$k_{q}$를 구할 때의 적용 주파수 범위를 변화시켰을 때도 일정한 양상의 노이즈 효과를 보였다. 또 지진자료와 노이즈를 중첩시킨 지진파 시계열 자료의 정부분만을 감쇠상수 k를 구하는 선형회귀에 이용했을 경우에도 노이즈 효과를 보였다. 또한 계산되어 나온 감쇠상수 값으로부터 특정지역의 지반운동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스펙트럼 가속도, 최대 가속도, 및 최대속도 값에 따른 감쇠식을 구하였다. 이것을 한반도와 같은 판 내부 환경인 ENA 값과 비교하였으며 기존의 연구와도 비교하였다.심으로부터 지오이드까지의 거리, 지오이드로부터 지표까지의 거리를 정의해주었으며, 각 격자점의 수직구조를 정의하기 위해 깊이에 따른 각 매질의 밀도, P파의 속도, S파의 속도, P파에 대한 Q값, S파에 대한 Q값을 정의 해주었다. S파의 속도를 구하기 위해서 지구 내부 물질을 포아송 매질이라는 가정 하에, 관계식을 $Vp{\;}={\;}SQRT(3){\;}{\times}{\;}Vs$ 이용하였다. 획득한 모델치들을 이용해 동해와 동해 인근 지역에 대한 초기모델을 구축하였다. 약 1 × 10/sup 6/ e/sup -//sec·n㎡ 의 전자선량에 해당되며 이를 기준으로 각각의 illumination angle에 대한 임계전자선량을 평가할 수 있었다. 실질적으로 Cibbsite와 같은 무기수화물의 직접가열실험 시 전자빔 조사에 의해 야기되는 상전이 영향을 배제하고 실험을 수행하려면 illumination angle 0.2mrad (Dose rate : 8000 e/sup -//sec·n㎡)이하로 관찰하고 기록되어야 함을 본 자료로부터 알 수 있었다.운동횟수에 의한 영향으로써 운동시간을 1일 6시간으로 설정하여, 운동횟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오전, 오후에 각 3시간씩 운동시키는 방법과 오전부터 6시간동안 운동시키는 두 방법을 이용하여 품질을 비교하였다. 각 조건에 따라 운동시킨 참돔의 수분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2회(오전 3시간, 오후 3시간)에 나누어서 운동시키기 위한 육의 수분함량은 73.37±2.02%를 나타냈으며, 1회(6시간 운동)운동시키기 위한 육은 71.74±1.66%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운동조건에서 양식된 참돔은 사육초기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사육 5일 이후에는 수분함량이 증가하여 15일에는 76.40±0.14, 75.62±0.98%의 수분함량을 2회와 1회 운동시킨 참돔의 육에서 각각 나타났다. 운동횟수에 따른 지

  • PDF

Cage법을 이용한 조피볼락, 참돔의 표적강도에 관한 연구

  • 황두진;손창환;강돈혁;신형호;노영수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7-28
    • /
    • 2000
  • 일반적으로 과학어군탐지기는 임의의 수층에서 어군에 의해 산란된 신호로부터 자원량 추정을 실시한다. 따라서, 대상 어군을 구성하는 개체어의 표적강도(Target Strength ; TS)는 가장 중요한 변수이며, 이로부터 현장에서 어군의 분포 밀도를 좀더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TS를 결정하는 변수는 자세각, 어체의 체장, 부레의 유무, 주파수 등이다. TS를 알기 위한 많은 국내ㆍ외의 실험들이 죽은 어체를 이용하였으며, 살아있는 어체라도 음축으로부터 어체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센서들을 사용하여 정확한 TS의 정보를 제공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중략)

  • PDF

음향 수조내에서 참돔의 식이음에 관한 연구

  • 황두진;노영수;손창환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9-30
    • /
    • 2000
  • 오늘날 수중가청음을 이용하여 어류의 유집과 구집에 많은 활용도를 보여주고 있다. 어류는 소리에 대하여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데, 대표적으로 천적이 내는 소리에 의한 도피 행동, 같은 어류가 내는 식이음에 따른 색이 행동, 그리고 음원 주변에 모이는 유집 행동 등이 있다. 소리는 내는 어종들은 여러 수종이 알려져 있으며, 어류의 가청범위는 16∼13,000Hz 범위에서 가장 민감한 반응을 나타낸다고 한다.(전촌; 1977, 김;1981) (중략)

  • PDF

연안저서성 어류의 이동에 관한 혼돈행동 수치 모델링- I. 참돔과 넙치의 이동 추적실험

  • 김용해;안장영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1-32
    • /
    • 2000
  • 어군의 이동경로(Priede & Swift, 1993)를 어류 외적인 주변 환경변수와 어류의 내적인 생리생태 등에 따른 행동요인을 고려하여 보다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방법으로 어군탐색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어류이동경로 추적에 대한 모델링과 시뮬레이션(Arnolds & Holford, 1995) 기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저서성 어류의 이동 궤적에 관한 현장 계측자료를 해양환경요인과 관련시켜 분석하고, 어류이동에 관한 수치행동의 모델링의 주요한 변수를 파악하였다. (중략)

  • PDF

참돔의 lipoprotein lipase 유전자 다형성 (Polymorphisms of the Lipoprotein Lipase Gene of Red Seabream, Pagrus major)

  • 장요순;홍경표;노충환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551-557
    • /
    • 2004
  • Polymorphism of the lipoprotein lipase (LPL) gene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on of lipid deposition was analysed in two red seabream (pagrus major) populations (KF4, cultured KORDI line, n=100 : JPN, imported from Japan, n=100). We amplified a DNA fragment (1,091 bp) including the exon 2 region of the LPL gene, and conducted PCR-RFLP analysis using MspI and AluI. The PCR products were also sequenced. Two alleles (A and B) were found in MspI digestion and Sve alleles (A, B, C, D and E) in AluI digestion. The sequenced data revealed four nucleotide substitutions including one transversion at the MspI recognition site (nt 2,235, $C{\rightarrow}10$) and three transitions at the AluI recognition sites (nt 1,721, $A{\rightarrow}G;$ nt 2,319, $C{\rightarrow}T;$ nt 2,319, $T{\rightarrow}C$). Among them, substitutions at the nt 2,235 and 2,319 sites which are located in the exon 2 were proved to be silent point mutations. MspI polymorphism resulted in 3 genotypes, and the allele frequen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fish populations, KF4 and JPN. In the case of AluI polymorphism, the 5 alleles (A, B, C, D, E) comprised 12 genotypes of the 5 alleles. KF4 population, alleles D and I were specific to the LPL gene Polymorphisms would be useful DNA markers for red seabream population.

참돔 (Pagurus major) 치어용 사료에 있어서의 대두박의 이용성과 적정 단백질${\cdot}$에너지 함량 (Availability of Soybean Meal and Suitable Protein${\cdot}$Energy Level in Different Types of Diet of Red Seabream (Pagurus major))

  • 정관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9-17
    • /
    • 1992
  • 참돔 치어에 있어서의 식물성단백질원의 이용성의 검토와 유효이용을 꾀하기 위하여, 대두박 및 콘글루텐 밀을 배합한 여러 종류의 실험사료를 제작하여 성장, 사료효율 및 어체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사료중의 조단백질 및 조지폐함량이 각각 $47{\%}\;,20{\%}$ 구에서 뛰어난 성장 및 사료효율을 나타내었으며, 어분의 $20{\%}$를 대두박으로 대체하여도 성장 및 사료효율에는 아무튼 간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원료대두박의 Ex 처리유무 및 사료의 제조법의 차이에 의한 영양가개선을 인정할 수 없었다.

  • PDF

참돔, Pagrus major의 광주기 및 수온조절에 따른 조기산란 (Induced Spawning of Red Sea Bream, Pagrus major, by Controlling Photoperiod and Water Temperature)

  • 김형배;김종만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1
    • /
    • 1990
  • 참돔의 산란조절은 광주기 l1L: 13D, 수온 $12.2^{\circ}C$에서 시작되어 장일조건 14L:10D, 고수온으로 처리한 결과 $16.5^{\circ}C$에서 산란이 일어났다. 사육수온 $17.0^{\circ}C$ 전후로 유지시켰을 때 산란은 56일간 계속되었고, 자연상태보다 약 1개월 조기채난할 수 있었다. 총산란양은 908만 개이었고 1일 산란양은 15만 개이었다. 명주기와 암주기의 시각별 산란은 18$\~$24시에 많았으나 비교적 분산되어 일어났다. 산란중기에 산란된 난들은 부상수정률이 $71.5\%$였고, 난경은 0.95$\~$0.98mm이었으며, 산란양과는 낮은 상관(r=0.49)을 가졌다. 유구수에 따른 부화율은 1개 $85.3\%$, 2개 $76.9\%$, 3개 $74.3\%$, 4개 $76.6\%$, 5개 이상이 $63.9\%$ 로서 유구수가 많을수록 부화율은 감소하였다. 산란된 전체 난의 산란부터 부화까지의 생존율은 $65\%$이었다.

  • PDF

넙치 전 암컷 집단의 생산을 위한 연구 I. 자성발생성 이배체 유도 및 성장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All-Female Population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 . Induction of Gynogenetic Diploid and Its Growth)

  • 김윤;김경길;방인철;이종관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85-293
    • /
    • 1993
  • 넙치 양식의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의 일환으로 수컷에 비해 성장이 빠른 암컷만의 생산을 위하여 먼저 참돔 정자를 이용한 자성발생성 이배체의 유도 조건, 성장, 생존율 및 성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성발생성 이배체 넙치는 $4,800ergs/mm^2$의 자외선으로 불활성화 시킨 참돔 정자와 성숙된 넙치 난을 인공 수정시켜 수정 후 3분부터 수온 $2^{\circ}C$에서 45분 동안 제 2극체 방출의 억제에 의하여 유도되었다. 유도된 자성발생성 이배체의 성장과 생존율은 부화후 200일째까지는 대조군과 유의차가 없었으나, 부화후 300일째는 자성발생성 이배체의 성장이 대조군보다 양호하였다. 또한 자성발생성 이배체의 암컷 비율은 $92.1\%$로 대조군의 $43.6\%$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 PDF

참돔(Pagrus major)에서 온도 및 염분 스트레스가 FK506BP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rmal and Salinity Stress on Expression of FK506BP in the Red Seabream (Pagrus major))

  • 민병화;명정인;강한승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4-38
    • /
    • 2017
  • FK506BP는 일명 FK506 binding protein 12이라 불리는 작은 펩티드로서 single 도메인을 가진다. FK506BP는 면역반응 억제,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과 관련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참돔(Pagrus major)을 저수온(8℃, 33 psu) 및 저염분(20℃, 10 psu) 상태에 노출시킨 후, FK506BP 유전자의 발현을 관찰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FK506BP 유전자의 발현은 저수온(8℃, 33 psu) 및 저염분(20℃, 10 psu)상태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로서 FK506BP 유전자는 수온 및 염분 등의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생체지표유전자로서 역할을 한다고 제의한다.

울릉도 해역의 정치성 구획어업 도입을 위한 시험 연구 (Pilot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Stationary Fishery in Coastal Waters of Ulleungdo Island, thd East Sea of Korea)

  • 윤성진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2-30
    • /
    • 2018
  • 본 연구는 울릉도 수산자원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서 정치성 구획어업의 도입을 위한 시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용 어구인 삼각망은 울릉도 해역의 환경, 운영 및 관리 비용, 소형 어선 및 인력이 운영할 수 있는 조건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2017년 4월부터 5월까지 삼각망을 이용하여 11회 어획 조사한 결과, 총 개체수는 2,735개체, 중량은 983.4 kg으로 계측되었으며, 우점종은 참돔, 방어, 넙치, 한치, 전갱이, 쥐치류 등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기간 중 유용 수산자원은 어류의 경우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i), 볼락(S. inermis), 개볼락(S. pachycephalus), 쑤기미(Inimicus japonicus), 노래미(Hexagrammos agrammus), 농어목 어류 붉바리(Epinephelus akaara), 참돔(Pagrus major) 그리고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로 분류되었으며, 두족류인 한치(Uroteuthis chinensis)의 어획량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울릉도의 주요 수산자원 중 하나인 살오징어의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할 경우, 삼각망과 같은 소형 정치성 구획어업의 도입은 어민 수입 창출의 대체 수단으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