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참깨박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32초

Bacillus sp. CW-1121이 생성하는 단백 분해 효소를 이용한 참깨박 단백질의 용출 (Extraction of protein from defatted sesame meal using the enzyme from Bacillus sp. CW-1121)

  • 최청;천성숙;조영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2호
    • /
    • pp.121-126
    • /
    • 1993
  • 참깨박에 함유되어 있는 불용성 형태의 단백질을 가용성 형태의 단백질로 용출시키기 위하여 Bacillus sp. CW-1121이 생성하는 효소를 작용시켰다. 이때 참깨박의 단백질 용출을 위한 최적 pH는 7.5였으며, 최적 온도는 $40^{\circ}C$였고 최적 조건하에서 2시간의 소화로 약 60%의 용해도를 보였다. 단백질의 용해도는 참깨 단백질이 pH4.5에서 가장 낮아 등전점을 보였고, pH3.0과 pH6.0 이상에서는 크게 증가하였다. 효소처리 참깨박 단백질을 전기영동한 결과 수용성 단백질은 4개, 염용성 단백질은 2개의 밴드가 관찰되었다. 분리 단백의 아미노산 조성은 수용성 단백질의 경우 serine이 17.24 mg/g, 염용성 단백질은 glutamic acid가 10.77 mg/g,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가 6.55 mg/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특히 필수아미노산의 조성도 상당히 좋은 편이었다.

  • PDF

Protease 처리에 의한 폐단백자원의 단백질 용출 및 기능성 변화 (Change of Funtional Properties and Extraction of Protein from Abolished Protein Resource by Protease)

  • 천성숙;조영제;손규목;최희진;최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1호
    • /
    • pp.13-17
    • /
    • 1998
  • 폐단백질을 활용하는 방도의 하나로 폐단백질 자원으로 부터 불용성 단백질의 분리 효율성을 높이고 기능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protease를 생산하는 Aspergillus sp. MS-18균주를 토양으로 부터 분리하고 이 균주가 생산하는 효소를 이용한 단백질 추출 최적 조건을 규명하고 추출 단백질의 기능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참깨박 단백질의 용출을 위한 최적 pH, 최적 온도, 최적 처리 시간과 최적 첨가 효소량은 pH 9.0, $60^{\circ}C$, 8시간 처리, 40 unit 이었다. 효소 처리된 참깨박 단백질은 효소 처리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기포 형성력과 기포 안정성이 매우 증가하였고, 참깨박 단백질의 유화력은 효소 처리구의 경우 전 pH의 범위에서 유화력과 유화 안정성이 매우 증가하였다. 참깨박 단백질의 유지 흡착력과 수분 흡착력은 효소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높은값을 나타내었다.

  • PDF

과산화수소, Papain처리 및 Acyl화가 분리참깨박 단백의 품질 및 기능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_2O_2$ and Papain Treatments, and Acylation on 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Defatted Sesame Oil Cake Protein)

  • 김성렬;심현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05-411
    • /
    • 1988
  • 참깨박 단백질의 식용화를 목적으로 참깨박에 hydrogen peroxide papain처리 및 아실화가 분리참깨박단백의 품질 및 기능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hydrogen peroxide papain 및 papain 과 hydrogen peroxide를 병행처리한 경우 alkali처리시보다 참깨박 단백질의 추출율, 분리단백의 단백질 함량이 높았으며 분리 단백의 아미노산 조성은 lysine을 제외한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이 비교적 우수하였고 분리단백의 색상, 기능적 성질 및 pepsin소화성이 현저히 향상되었다. 또한 아실화에 의하여 제1 제한아비노산인 lysine의 함량증가와 용해도, 용적밀도, 수분흡착도. 지방흡착도 및 유화성이 현저히 개선되었으나 기포성 및 소화성은 약간 저하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 PDF

Phytase 처리에 의한 폐단백자원의 단백질 용출 및 기능성 변화 (Change of Functional Properties and Extraction of Protein from Abolished Protein Resource by Phytase)

  • 천성숙;천성숙;조영제;김영활;우희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6-50
    • /
    • 1998
  • 폐단백질을 활용하는 방도의 하나로 폐단백질자원으로부터 토양에서 분리한 Aspergillus sp. 균주가 생산하는 phytase를 이용하여 불용성 단백질의 분리 효율성을 높였으며 추출 단백질의 기능성을 살펴보았다. 참깨박에 함유되어 있는 불용성 형태의 단백질을 가용성 형태의 단백질로 용출시키기 위한 최적 pH, 최적 온도, 최적 처리시간과 최적 첨가효소량은 4.0~5.0, $50^{\circ}C$, 8~10시간, 120unit였고, 효소처리된 참깨박은 phytase 처리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기포형성력은 크게 증가하지 않았으나 기포안정성은 다소 증가하였다. 참깨박 단백질의 유화력은 다소의 유화력과 안정성의 증가가 관찰되었고, 유지흡착력과 수분흡착력은 대조구에 비해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Mouse hepatoma 세포를 이용한 농산부산물로부터 quinone reductase활성물질의 탐색 (Screening of Quinone Reductase Inducers from Agricultural Byproducts Using Mouse Hepatoma Cell Line)

  • 김정상;남영중;김주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72-977
    • /
    • 1995
  • Quinone reductase(QR)를 포함한 2상효소계를 활성화시키는 성분들은 많은 동물실험에서 발암물질의 세포내 작용을 억제함으로서 항종양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농산부산물로서 미강, 밀기울, 탈지대두박, 두유박, 참깨박, 들깨박등 6종의 시료에 대한 암예방효과를 갖는 물질의 존재여부를 탐색하기 위하여, mouse hepatoma cell line(Hepalclc7 cells) 을 이용하여, quinone reductase활성유도 여부를 측정하였다. 참깨박과 들깨박의 80%메탄올 추출물은 0.5mg/ml 농도에서 강력한 QR 유도활성을 나타냈으며, 같은 농도에서 다른 시료들은 거의 QR 효소활성을 증가시키지 않았다. 한편 QR효소활성을 유도하는 성분을 찾아내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TLC를 수행한 결과, 참깨박과 들깨박의 메탄올 추출물 가운데 사용한 전개용매(n-butanol : n-propanol : 2N ammonium hydroxide(10 : 60 : 30)에서 가장 빨리 이동하는 분획(Rf=0.70)이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현재 활성성분의 동정이 진행중에 있다.

  • PDF

방사선 조사에 의한 참깨박 단백질의 용출 및 기능성 변화 (Change of Physical Properties and Extraction of Sesame Meal Protein by Gamma Irradiation)

  • 조영제;김진구;차원섭;박준희;오상룡;변명우;천성숙;김순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924-930
    • /
    • 1999
  • 폐단백질을 활용하는 방도의 하나로 참깨박으로부터 불용성 단백질의 분리 효율성을 높이고 기능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온에서 5 kGy에서 20 kGy까지 방사선을 처리하였다. 조사선량 5 kGy에서 참깨박 단백질의 용출율은 최대를 나타내었으며 그 이상의 고선량에서는 용출율이 다소 감소하였다. 방사선처리된 참깨박단백질은 거품형성력과 거품안정성이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고, 유화력과 유화안정성도 방사선처리구가 비처리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수분흡착력은 별다른 변화가 없었으나, 유지흡착력은 방사선처리구가 비처리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 PDF

참깨박(粕) 단백질(蛋白質)의 분리(分離)와 조성(組成) (Separation and Composition of Sesame Meal Protein)

  • 김준평;심우만;김종익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3권1호
    • /
    • pp.14-22
    • /
    • 1980
  • 흰참깨에 20.5%, 검정참깨에 19.20%, 참박(粕)깨에 44.7%의 조단백질이 함유되어 있다. n-hexane을 용매로하여 지방을 추출한 것이 수율이 가장 높았다. 조단백질의 분리에 있어서 pH가 알칼리성으로 갈수록 수율이 좋았다. 참깨의 globulin은 70.9%이었고 prolamin는 1.6%였다. 전(全)참깨의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가 17.1%로 가장 많았고 globulin의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acid 14.6%이었고 필수 아미노산도 다량 고루 함유되어 있었다. 흰참깨와 검정참깨의 albumin 및 globulin의 단백질은 Disc gel 전기영동상에서 각각 $12{\sim}13$개 그리고 2개의 band로 나타났다. 참깨박(粕) 단백질의 주단백질인 globulin의 Sephadex G-100 및 G-200 column 분리하고 이를 disc gel 전기영동으로 검색하였다.

  • PDF

효소에 의한 참깨박 단백질의 최적 가수분해 조건 (Optimal Conditions for the Enzymatic Hydrolysis of Isolated Sesame Meal Protein)

  • 이선호;조영제;김성;안봉전;최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3호
    • /
    • pp.248-253
    • /
    • 1995
  • 참깨박 단백질의 기능개선을 위한 가수분해 조건을 검토한 결과 분리된 참깨박단백질에 대한 각 효소의 최적작용조건은 papain의 경우 pH 6.0, $60^{\circ}C$,효소 대 기질의 비는 기질량에 대해 3%, 기질농도 1.5%에서 최적이었으며, pepsin은 pH 2.0, $50{\sim}60^{\circ}C$, 효소의 농도는 기질량에 대해 3%, 기질농도 1%에서 최적이었다. 그리고 trypsin은 pH 9.0, $60^{\circ}C$, 효소의 농도는 기질량에 대해 1%, 기질의 농도 1%에서 가장 높은 효소작용을 보였다.

  • PDF

한국 참깨 연구의 역사적 고찰 (Historical Study of Sesame Research in Korea)

  • 류시승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36-541
    • /
    • 1996
  • 한국은 참깨의 주요 소비 구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공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참깨에 대한 연구는 1973년 이후부터 시작되었으며, 총 121편의 학술논문이 발표되었다. 그 주요 주제는 참깨의 성분 분석, 참깨의 조성, 참깨의 육종 재배와 참기름의 진위 판별이었다. 식용시 매우 중요한 것은 향미성분 이지만, 그에 대한 연구는 참깨의 품종간의 차이, 배전 조건, 추출 여과의 조건 등이었다. 이것으로써 참깨에 대한 더 면밀한 연구와 관능 검사에 대한 확실한 연구가 요구되며, 참기름의 압착수율의 향상, 참깨박의 이용 등이 부족함을 알았다.

  • PDF

볶음과정에서의 참깨의 물리화학적 특성변화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same with Roasting Temperature)

  • 김현위;정소영;우순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137-1143
    • /
    • 1999
  • 볶음참깨 및 참기름 제조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볶음온도$(110^{\circ}C{\sim}230^{\circ}C)$변화에 따른 참깨의 물리적 변화 및 화학적 변화를 알아보았다. 볶음참깨의 물리적 특성에 있어서 수분함량, 부피변화, 착유수율, 참깨박함량 및 색도는 $170^{\circ}C$이상에서 유의적으로 변하였고, 참깨박 중의 지방함량 및 단백질함량은 약간 변화하였다. 착유수율과 관능적 특성을 고려할 때 볶음최적온도는 $220^{\circ}C$로 판단된다. Arginine, serine, threonine, lysine, cystine, tyrosine 등의 총아미노산과 대부분의 유리아미노산, 그리고 유리당 중의 sucrose는 $170^{\circ}C$$190^{\circ}C$ 이상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당과 아미노산 함량의 감소는 볶음참깨의 갈색색소 및 고소한 맛과 풍미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추측한다. 이러한 반응은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수분이 적고, 기름함량이 많은 식품계에서 당과 아미노화합물의 상호작용에 의한 열분해반응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