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참고봉사연구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8초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참고봉사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Digital Reference Services of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 김달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41-26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국내 4년제 대학 도서관 중 접속 가능한 236곳의 도서관 홈페이지 분석을 통하여 디지털참고봉사의 제공 및 접근성과 이용 실태에 대해 조사하였다. 진정한 의미의 디지털 참고봉사 즉, 참고질의 응답을 제공하는 대학도서관은 236개 대학 도서관 중 $36.9\%$인 87개 기관으로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인 참고봉사의 부진이 디지털 환경에서도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디지털 참고봉사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전통적인 참고봉사의 부진을 씻고 참고 봉사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현 디지털 참고봉사 시스템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발전방향을 제언하였다.

  • PDF

협력형 참고봉사 서비스 비교 연구 -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Cooperative Reference Service: Centering on Korea and Japan)

  • 조재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9-139
    • /
    • 2012
  • 이용자의 무관심, 대체할 수 있는 인터넷 컨텐츠의 급증으로 국내 협력형 참고봉사 서비스는 정체 상태에 빠져 있다. 특히 이용자가 스스로 탐색하여 획득 가능한 인터넷 컨텐츠의 급증은 전통적 질의-응답 방식의 참고봉사 서비스의 기능과 본질에 대한 재검토와 더불어, 신뢰할 수 있는 지식베이스의 구축이라는 참고봉사의 간접서비스 영역에 대한 중요성을 새롭게 조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간접서비스 위주의 협력을 추구하는 있는 일본 도서관들의 협력형 참고봉사 서비스를 심층 조사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여, 한국의 협력형 참고봉사 서비스의 새로운 도약 가능성을 조망해 본다.

공공도서관 가상참고봉사 협력모형개발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Cooperation Model for Virtual Reference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 차미경;김수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67-383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주민에게 수준 높은 참고봉사를 제공하기 위한 공공도서관의 가상참고정보봉사 협력모형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 사례조사와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전국의 514개 공공도서관 가운데 375개관(73%)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협력참고정보데이터베이스의 구축, 가상참고데스크의 운영, 그리고 연령별 주제별 정보안내 및 교육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 '통합형 가상참고실'의 구축을 제안하였다.

국내 참고봉사 연구의 통시적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storical Trends of the Research for Reference Sevice in Korea)

  • 배순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1-125
    • /
    • 2002
  • 본 연구는 국내에서의 도서관봉사에 관련된 연구가 연구의 시작기부터 세기가 바뀌기 전 1990년대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경향으로 변천되어 왔는가를 알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의 관련 주제서지를 분석한 결과 국내의 참고봉사 연구는 1950년대를 시작기로하여 1970년대의 전환기, 1980년대의 발전기, 1990년대의 전문기로 각각 발전되어 왔으며 국내외 모두 봉사이론에 집중된 연구경향임을 알았다. 그리고 주제에 있어서는 국내외 간에 다소의 차이를 가지며 특히 국내의 연구주제에서는 도서관교육과 봉사경영을 상위 수준으로 취급하였음을 알았다.

디지털참고봉사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Building a Model of Digital Reference Services)

  • 김휘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17-133
    • /
    • 2001
  • 본 논문은 웹공간의 도서관 이용자들을 위한 하나의 서비스로서 디지털참고봉사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공통선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웹에서 도서관의 참고봉사와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는 14개 벤처기업의 전문가서비스를 대상으로 사례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각 인자별로 바람직한 요소를 발견하였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참고봉사에 오랜 경험이 있는 사서로 하여금 디지털참고봉사를 전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국내 광역시.도 교육청 교수학습지원센터의 디지털참고봉사 제공과 이용 현황 분석 (An analysis of the Digital Reference Services of Teaching & Learning Aid Centers under the Metropolitan City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n Korea)

  • 정종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73-191
    • /
    • 2006
  • 본 연구는 국내 광역시 도 교육청 웹기반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제공하고 있는 디지털참고봉사의 현황을 이해하기 위하여 전국적인 조사를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2006 년 7 월 3 일부터 7 월 15 일까지 직접 접속을 하여 참고봉사 제공관련 특성과 참고질문응답 기록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전국의 16개 광역시 도 교육청 교수학습지원센터 중 13 개 센터가 디지털참고봉사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지털참고봉사 실시여부, 인터페이스 접근 수준, 디지털참고봉사 명칭, 디지털참고봉사 커뮤니케이션 도구, 참고질문수, 참고질문 유형, 응답비율, 질문 답변자 유형을 분석하였다. 현황과 문제점이 도출되었고 교수학습지원센터의 디지털참고봉사가 확립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인터넷 기반 참고질의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rnet-based Reference Request System)

  • 박준식;방대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31
    • /
    • 2001
  • 대학도서관들은 가상공간에 존재하는 원격 이용자들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참고봉사를 개발하여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 기반 참고봉사인 인터넷 기반 참고질의-응답 서비스와 가상 참고정보원 사이트 운영이 활발하다. 그러나 단위도서관별 시스템 개발은 중복투자로 인해 예산을 낭비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전국 대학도서관들이 함께 활용할 수 있는 표준 인터넷 기반 참고질의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참고질의-응답서비스와 참고정보원 사이트를 함께 제공하고 표준 모델이 될 수 있는 인터넷 기반 참고질의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대학 도서관들이 시스템과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공동으로 사용하여 효율적인 참고봉사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참고봉사 지원시스템의 개발 (A Prototype System for Reference Service)

  • 최원태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4년도 제1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79-82
    • /
    • 1994
  • 본 연구에서 개발된 참고봉사 지원시스템은 도서관 안내정보시스템과 주제ㆍ토픽 전문가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도서관 안내정보시스템은 도서관의 이용정보, 자료이용방법, 온라인목록의 사용방법 등에 관한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주제ㆍ토픽 전문가시스템은 정보사서가 가지고 있는 석유화학분야의 정보조사제공과 관련된 경험적 지식을 이용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가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참고봉사 지원시스템은 IBM 호환기종의 개인용 컴퓨터(IBM PC AT 286 이상)에서 운영되며, 본 시스템의 개발언어로는 얘기보따리, 멀티미디어 메이커(Multimedia Maker), 1st-CLASS를 사용하였다.

  • PDF

디지털참고봉사의 이용 활성화 방안 (Digital Reference Service : Directions for Promotion)

  • 장혜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15-228
    • /
    • 2004
  • 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는 이론적 논의와 실제적 경험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 는, 우리나라의 디지털참고봉사 이용 증진을 위하여, 잠재이용자의 식별, 서비스 주지를 위한 홍보, 사용성 제고를 위한 사이트 개선,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평가 등에 관하여, 선행 연구와 외국의 성공 사례를 고찰함으로써 실행가능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디지털참고봉사의 기획과 개발 및 활성화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 PDF

통합형디지털참고봉사를 위한 기반 연구: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eparation for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in Korea University Libraries)

  • 김휘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9-186
    • /
    • 2003
  • 국내 대부분의 대학도서관이 디지털참고봉사를 제공하고 있지만 그 이용률은 매우 저조하다. 저조한 원인에는 주제전문 사서의 부족, 홍보부족 기타 관리자의 인식부족 둥으로 나타났다. 국내 대학도서관들의 환경에서 이러한 문제를 각 도서관 별로 해결하기는 어렵다.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도서관의 디지털참고봉사를 통합하는 방법을 제기하였다. 디지털참고봉사를 통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주제전문사서 양성, 이용자들이 인지하기 쉬운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개발, 관리기관 설립 등이 필요한데, 이 중에서도 주제전문사서의 양성이 우선적으로 준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