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찰스 S. 퍼스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찰스 S. 퍼스와 마이클 폴라니의 회의론과 믿음(belief)에 대한 비교 연구 (Against Skepticism: Doubt and Belief in C. S. Peirce and Michael Polanyi)

  • 김동주
    • 기호학연구
    • /
    • 제54호
    • /
    • pp.7-36
    • /
    • 2018
  • 마이클 폴라니의 암묵적 지식이라는 개념은 비판철학 전통 안에서 과학적 객관성이 철학적 사유를 제한하고 있다는 취지에서 나온 것으로,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명시적으로 증명되어 학습한 지식 이외에도 의미의 영역에 묻혀 살고 있음을 강조한 개념이다. 특히, 한 사회 안에서 사람들이 공유하고 있고 증명의 대상으로 판단되지 않아서 언변으로 표면화하지 않는 지식을 그는 암묵적 지식이라고 규정하였다. 이 개념을 통해 폴라니는 비판철학 전통 안에서의 의심과 회의의 역할이 시공간적 맥락에 따라 변화함을 지적하고 비판철학을 극복한 포스트-비판철학을 구상하였다. 퍼스도 근본적인 회의가 가능하지 않음을 지적하면서 데카르트를 비판했으며, 의심과 믿음의 관계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인식의 확실성이 어디에서 오는지 탐구하였다. 이 논문은 퍼스와 폴라니의 반회의론적 입장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퍼스가 과학철학뿐만 아니라 과학사회학의 영역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짐을 강조한다. 폴라니의 철학적 사유는 자신의 경험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에서 출발하는 것에 비해, 퍼스의 가추법은 논리학과 수학에 바탕을 두고 엄밀한 인식과 사유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퍼스의 믿음과 습관에 대한 고찰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믿음과 습관에 대한 설명에서 퍼스도 과학적 탐구의 과정을 사회적으로 파악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폴라니는 과학적 인식이 명확한 원칙이나 엄밀함으로만 가능하지는 않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으며, 자연과학 분야 과학자들의 공동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중심으로 자신의 이론을 펼친다는 점이 퍼스와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퍼스는 당시까지의 논리학과 수학에 대한 비판과 자신이 정의한 가추법을 지속적인 탐구의 과정과 과학자들의 공동체에 적용했으나, 폴라니는 현실 공동체에서 시작한 암묵적 지식의 개념을 충분히 발전시키지 못하고 개인적 지식이라는 영역 자체의 사회적 구조와 함의를 모호하게 남겨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퍼스의 기호학적 관점에서의 BTS 이미지 분석 (Analysis of BTS Images From Peirce's Semiotic Perspective)

  • 이지아;서승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25권5호
    • /
    • pp.114-13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BTS's image based on Peirce's semiotics. Methodologies of this study are literature study to analyze the structure of idol image based on Peirce's theory of signs, case study and FGI analyzing the semiotic characteristics of BTS images. The research results of analyzing the semiotic features of BTS images by period of the BTS album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arly days of their debut, they emphasized the image of hip-hop and expressed their will to resist and rebel against the older generation with a challenging and strong image. Second, during the 'The most beautiful day of life' period, image of wandering, rebellion, growth, and youth of teenagers was expressed. Third, in the 'Love Yourself' period, BTS showed various image changes between natural and pure image to splendid image by expressing the process of finding confidence during chaotic moment of growing. Fourth, during the 'Map of the Soul' period, the exploration and reflection on themselves were expressed in an outwardly splendid and bright manner, while at the same time expressing the inner darkness in a contrasting manner. Fifth, in the 'pandemic period', they expressed hopeful energy and willness with the image of mature and attractive man and bright and casual image. Their growth and change have been directly linked to the change of their image, and their image showed a successful signification with complementary combination of icons, indexes, and symbols.

건축의 문화적 현대화에 있어 신화와 기호의 의미에 관한 연구 -철학가 카시러와 기호학자 퍼스의 사유방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aning of Myth and Sign in the Matter of Cultural Modernization of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thinking of Ernst Cassirer and Charles Sanders Peirce -)

  • 변태호
    • 건축역사연구
    • /
    • 제12권4호
    • /
    • pp.49-62
    • /
    • 2003
  • Vesely explains, the main source of our confusion and nihilism comes most probably from the ambiguous relationship between modem architecture, technology and aesthetics. Also, to overcome such crucial problems, many theorists recently emphasize to take part in cultural civilization and to preserve creative genes of great culture that is based on our interpretation of 'ethical and mythical nucleus of mankind,' rather than in technical modernization that constitutes a sort of subtle destruction of mytho-ethical nucleus of a society. They for architecture also strongly stress on a mythopoetic imagination and an ontological construction of building, which could make a form symbolic and mythical rather than mathematical and aesthetic representation. On this point, 'myth' becomes a vital idea for constructing and construing architectural form and space. And it is also one of the essential concepts to understand both the motive power of cultural continuation of place and the meaning of architecture. Nevertheless, its meaning and the citation of word in architectural essay are still obscure. It might be because the original concept of myth not only has been lain in the matter of philosophical contemplation. Thus, the intention of the research is focused on lightening the meaning of myth in architectural term. Especially, it is, first, concentrated on interpreting philosopher Ernst Cassirer's reflections which were written in order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ythical consciousness' for the world's cultural civilization. And, the second, it will continue to interpret the myth as a sign within the semiotic concept of Charles Sanders Peirce, and further to emphasis the significance of mythic signs for the continuance of artistic and cultural idea including architecture. The contents of the paper is not that of architectural planning and design methodology, rather architectural philosophy and epistemology. Nevertheless, in regard to architecture, the research will, against today's un-discriminated use of symbolic motifs and instrumental representation of form, suggest a concrete architectural and aesthetic theory of myth and sign, especiall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a of semiology and the function of cultural continuity.

  • PDF

문화연구의 방법론으로서 가추법이 갖는 유용성 (Abduction as Methodology of Cultural Studies)

  • 이희은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4권
    • /
    • pp.76-97
    • /
    • 2011
  • 가추법은 문화연구의 방법론으로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이 논문은 문화연구의 방법론 논의가 연구방법이 아닌 인식론적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고, 이를 위해 가추법의 의미를 문화연구의 방법론의 측면에서 재해석한다. 논리학자이자 기호학자인 찰스 샌더스 퍼스는 연역법이나 귀납법으로는 불가능한 새로운 명제나 지식을 발견하기 위해 가추법을 제안한다. 근대의 과학적 실증주의가 객관성과 확실성의 논리에 기대고 있다면, 가추법은 경험된 현상으로부터 새로운 전제를 찾아내는 발견의 논리로서 의미를 지닌다. 이 논문에서는 학문과 지식의 생산 구조와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형성된 과학적 연구방법의 신화를 비판한다. 그리고 사회와 문화를 연구하는 방법론적 대안으로서 가추법이 갖는 의의를 살펴보고, 가추법이 문화연구의 방법론에 던져주는 시사점은 무엇인지 논의한다. 이를 통해 문화연구가 방법론으로서 갖추어야 할 세 가지 요소, 즉 '직관'과 '공감'과 '지적 협업'의 중요성과 의미를 탐색한다. 결국 문화연구는 관찰할 수 있는 현재로부터 알 수 없는 실재를 찾아내는 발견의 논리가 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 PDF

퍼어스 기호론과 심볼마크의 이해 (A Study on the Peirce's Semiotics and Understanding of Symbol Marks)

  • 황현택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5-16
    • /
    • 2005
  • 본 연구는 방대한 기호학 학문과 영역 탓에 이해하기 어렵고 또한 명확하지 않은 기호학 분야의 연구에서 찰스 샌더스 퍼스(Charles Sanders Peirce)의 기호학을 명확히 이해하고, 그의 기호학적인 연구의 업적을 아이덴티티 디자인 분야에 활용 할 수 있도록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연구는 기존의 기호학과 관련된 디자인관련 논문들을 재 고찰하고, 퍼스의 삼원적 기호학에 대한 진의와 범주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기업의 심볼마크를 설명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심볼마크는 관습적으로 한 제품, 서비스, 기업 자체를 의미하며 따라서 표현체적인 측면에서는 법칙 기호이다. 2) 심볼마크는 하나의 기호로서 대상체를 상징하므로 대상체의 세범주적 구분에 의해서 상징 기호이다. 3) 퍼스의 기호학적 정의에서 볼 때, 기업의 심볼마크는 사회적인 규칙을 통해서 존재하므로, 이는 논항 기호로 이해가 되어야만 한다. 4) 기업의 심볼마크는 과거부터 기업 혹은 조직들이 사용해 온 것이고, 대중들은 이를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이 자신의 제품에 심볼마크를 부착하고 대중에게 표상체로서 심볼마크를 보이는 것은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사실, 즉 있는 그대로의 사실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심볼마크는 해석체적인 측면의 발화 지시적인 개별기호이다. 퍼어스의 기호학적인 측면에서의 심볼마크의 분류와 이해는 기호의 다양한 상호관계와 연계를 가지는 범주의 법칙과 여러 유형에 대한 이해를 단지 조형적인 측면에서의 구분이 아닌 개념적으로 또한 포괄적인 이해를 요구한다.

  • PDF

왕가위(王家衛) 영화의 공간 특성 연구: 홍콩도시 공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ce Characteristics of Wong Kar-wai's Movie: Focusing on Hong Kong's Urban Space)

  • 이정운;김유진;박은광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461-470
    • /
    • 2023
  • 본 논문은 홍콩 영화감독 왕가위의 작품에서 현실, 촬영, 서사로 구성된 공간 표현과 그러한 공간이 홍콩의 도시문화, 인식 및 사람 간 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왕가위 감독의 영화를 분석하기 위해 찰스 샌더스 퍼스의 기호학 개념과 폴 비릴리오의 공간 개념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왕가위 감독의 영화 공간에 내포한 의미가 어떻게 영화 성공의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왕가위 감독은 주제 표현에서 사회가 형성한 인륜이라는 가치에 초점을 맞추어 인간 정신세계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며 관객들로 하여금 그에 대해 사고하게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왕가위 감독의 영화에서 표현한 공간을 공공, 개인 그리고 연결공간으로 구분하여 홍콩 젊은이들의 주거 환경과 정서를 보여주는 수단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왕가위 감독의 영화 속 공간 표현이 홍콩 시민 의식의 동서양 문화와 사회적 연결 지점에서 문화 해석 기능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결론적으로, 왕가위 감독의 작품은 동시대 사람들의 삶과 감정, 도시 공간에 대한 풍부한 이해를 제공하며, 홍콩의 영화 산업과 문화적 가치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