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착용 만족도

Search Result 20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신체인지도 및 신체만족도에 따른 선호스타일과 착용스타일 비교

  • 이경림;박숙현;이영주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9a
    • /
    • pp.65-67
    • /
    • 2003
  • 사람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스타일의 의복을 착용하기를 원한다. 하지만 다수의 사람들이 자신의 체형 부위별로 본인이 생각하기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로는 선호하는 스타일이 아닌 자신의 체형을 커버하는 디자인의 의복을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장류 착용 경험이 많고 사회 활동을 많이 하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신체인지도 및 만족도에 따른 아이템(재킷, 팬츠, 스커트)별 선호스타일과 착용스타일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를 살펴보고,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요인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중략)

  • PDF

Mobile Shopping Platform Development based on Model Attracting for Improvement of Clothes Purchase Satisfaction (의류 구입 만족도 향상을 위한 모델 참여형 모바일 쇼핑 플랫폼 개발)

  • Park, Sung-Jin;Kim, Si-Hyung;Kim, Sung-Soo;Kim, Nam-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403-404
    • /
    • 2018
  • 최근 모바일 환경의 발달은 손안의 쇼핑을 완벽히 구현하고 있다. 특히, SNS 및 패션커머스의 발전으로 소비자는 자신이 원하는 의류를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다. 하지만, 모델 착용샷, 설명, 사진 및 댓글 등을 통해 판단하고 구입하기 때문에, 의류 특성상 직접 입어보고 판단해야 하는 실 소비자는 만족도가 떨어지고 판매자 입장에서는 반품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비자의 만족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는 2가지 요소를 감안한 모바일 쇼핑몰을 소개하고자 한다. 첫째, 소비자 체형과 유사한 모델 착용샷을 제공함으로써 구매 당시 소비자의 구매 만족도를 높인다. 둘째, 의류를 구매한 소비자가 자신이 착용한 사진을 쇼핑몰에 올림으로써 모델로써 활동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커머스 SNS가 구축되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착용샷을 올리는 회원들을 위한 수수료 구조를 효율화하고 판매사, 소비자, 모델들이 활동하는 플랫폼을 구성한다.

  • PDF

생활한복 디자인 교복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지이미지와 만족도

  • 양정화;황춘섭;이영숙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4.04a
    • /
    • pp.144-146
    • /
    • 2004
  •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법에 의해 실행되었으며, 현재 생활한복 디자인 교복을 착용하는 2개 고등학교 학생과 양장교복을 착용하고 있는 2개 고등학교 학생 560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표본은 2003년 10월 조사 당시 모든 조사대상자는 7개월 이상의 교복 착용경험기간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자료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t-test때 의해 분석되었다. (중략)

  • PDF

Correlation and Effects between Benefits of Pursuing Clothes and Attitude & Satisfaction Towards Wearing School Uniform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중.고등학교 학생의 의복추구혜택과 교복착용 태도의 관계 및 교복착용 태도가 교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Kim, Ha-Young;Park, Myung-Ja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5 no.4
    • /
    • pp.47-61
    • /
    • 2013
  • This study is aimed to find correlation between benefits of pursuing clothes and the attitude towards wearing school uniform, as well as the effects that wearing attitude has on the satisfaction. This research is carried out by investigating and researching in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ound capital regions in the hopes of enhancing their satisfaction to their uniforms and their desire for self-expression, resulting in a positive notion to uniforms being settled in among the students. In the regards of benefits of pursuing clothes, female students are highly pursu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esthetics, and economy all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factors. It is notable that students in Seoul are pursuing those elements more strongly than those in Gyeonggi-do. As for the attitude towards wearing school uniforms, the safety weighs a lot among female students. Meanwhile, those in Gyeonggi-do were more inclined to economy as they prefer wearing uniform more often than not. Students who are pursu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s are less likely to pursue economy, whereas those who are pursuing practicality are pursuing better economy. Those in favor of economy, meanwhile, are pursuing aesthetics, safety, as well as economy. When it comes to the attitude towards wearing school uniforms, the result showed that it is more likely for those who are considering aesthetics, safety, and economy to be satisfied with the aesthetics, practicality, and the convenience aspects of school uniforms.

  • PDF

20대 여성의 신체 만족도 및 이상형에 관한 연구

  • 정재은;남윤자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1-6
    • /
    • 1998
  • 의복은 사람의 신체적인 특징에잘 맞고 심리적으로 만족을 주는 것이어야 한다. 식죽(1989)은 인간관계와 사회구조가 복잡하게 서로 얽혀 이루어진 현대사회에서는 의복에대한 욕구는 다면적이고 모든 기능을 동시에갖는 것이 요구되어진다고 하였고 정삼호(1988)는 성인여성들은 연려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체형변화를 의복으로 최대한 보완할 수 있는 디자인을 선택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의복을 통해 자기 자신을 표현함으로서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얻으려고 노력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의복 착용 자가 의복을 통해얻는 심리적 만족도는 신체적 만족도와 관련되어 형성된다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신체 적 만족도는 체형과 관련되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정재은,1992). 이에 신체적 만족도와 의복행동 및 체형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옥연(1984), 식죽(1988), Labat-Delong(1990), 김용숙 (1990), Shim(1991), 구자명.이명희(1994), 고애란.김양진(1996) 등은 신체 만족도와 의복행동간에 관련 이 있음을 밝혔으며, 임숙자(1986), 김양진.강혜원(1992)은 신체의 결함을 의복으로 보완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고, 김정숙(1984)은 자신에게 어울리는 의복을 선택하므로써 안정감을 갖게된다고 하였다. 또한, Douty. Brannon(1984)은 여성은 마른것을 선호한다고 하였고 Clayton 등(1987)은 의복 착용자의 체형에 따라 의복 유행성 지각이 다름을 밝혔다. 그러나, 이에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심리 학적 입장에서 행하여진 연구로 신체의 종합적인 만족도, 선호를 취급하고 있을 뿐 신체각 부위의 만족 도나 선호에 관한 자세한 고찰을 하고 있지 않으며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실제체형과의 비교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인식도 및 실제 신체 측정치와 만족도와의 관계 및 이상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체에 대한 이상형은 시대의 여러 여건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의복 착용자가 의복을 통해서 표현하고자 하는 이상형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이상형에 대한 설문지 조사와 신체측정을 통하여 신체 크기에대한 만족도를 객관적인 척도로 고찰하고, 이상형과 실제 체형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도한, 1992년도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시대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이상형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한 의복원형 제작 및 의복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의복의 맞음새가 좋을뿐만 아니라 의복착용자들 에게 심리적 만족을 줄 수 있는 의복 제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study on the understanding and contentment of training of using soft contact lenses (연성 콘택트렌즈 관리교육의 이해도·만족도 조사)

  • Shin, Jang Cheol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7 no.2
    • /
    • pp.13-18
    • /
    • 2002
  • This study conducts the soft contact lenses user's understanding and contentment of training while at the place of purchase. It is based on a questionnaire to the residents in and outside the Masan area, aged between ten to thirty, who have worn soft contact lenses. It examines the training of using contact lenses and lens-care products, the period of wearing lenses, exchanging lenses, sterilizing lenses, side effects of using lenses or the periodic examination, and the understanding and contentment of the users during the train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below : First, the understanding of training of using lenses, using lens-care products, the period of wearing lenses, exchanging lenses was high, but it was low for the training of sterilizing lenses, side effects of wearing lenses or the periodic examination. Second, the contentment of training of using lenses, lens-care products, the period of wearing lenses, exchanging lenses was high, but low for the training of sterilizing lenses, side effects of wearing lenses or the periodic examination. Therefore, the trainer of the contact lenses must easily and sincerely explain sterilizing lenses, the side effects of using lenses and the periodic examination, cheek with the users, and provide guidelines so a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and the contentment of training of using contact lenses.

  • PDF

Comparison and Analysis for the Effects of Functional Progressive Addition Lenses on Binocular Vision of University Students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가 대학생들의 양안시기능에 미치는 영향 비교 분석)

  • Kim, Chang Jin;Kim, Hyun Jung;Kim, Jai-Min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5 no.1
    • /
    • pp.105-116
    • /
    • 2010
  • Purpose: To analyze and compare differences between single vision lenses and functional progressive addition lenses and improvement to binocular visual function wearing functional lenses for pre-presbyopes altered their single vision lenses to functional progressive addition lenses with low addition. Methods: Healthy 32 subjects aged 24.03${\pm}$1.87 (male 23, female 9) who were recruited from university students wore functional progressive addition lenses (EYE-T, Chemilens Co., Korea, ADD 0.750) for 2 months. Objective refraction, corrected visual acuity at distance and near, near point of convergence, near point of accommodation, accommodative facility, phoria at distance and near were measured. And subjective satisfaction was investigated by using a questionnaire designed to fatigue, comfort, discomfort, overall satisfaction and preference. Results: Functional progressive addition lenses were better than single vision lenses at near point of convergence and accommodation, accommodative facility. Exo phoria measured at distance with single vision and functional progressive addition lenses. Exo phoria measured at near with functional progressive addition lenses was higher than that with single vision lenses. As a survey, the satisfaction was increased in questions related near work. However, single vision lenses were preferred in distance test of overall satisfaction, easy 10 adapt, lime to adapt. A survey showed thai preference of functional progressive addition lenses were increased 75.00% to 81.26% for near work, 50.00% to 65.63% for visual fatigue, 47.75% to 50.00% for visual comfort and 31.25% to 46.88% for overall comfort. Conclusions: Comparing between single vision lenses and functional progressive addition lenses, binocular visual function related near work, subjective satisfaction and preference was improved after wearing functional progressive addition lenses. This study suggested that functional progressive addition lenses were useful for long time near work.

Perception toward wearing school uniforms (미국 고교생의 교복에 대한 연구)

  • ;Marilyn DeLong;Karen LaBa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6
    • /
    • pp.1167-1178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미국 내에서 교육 개혁의 한 방편으로 공립학교 학생들에게 교복을 착용하도록 하는 도시가 증가함에 따라 교복 정책에 대한 여론은 찬반론이 교차하고 있고, 이를 뒷받침 할 연구는 부족하여 교복 착용에 관련된 요인들간의 관계를 알아보아 교육정책에 제안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미국 미네소타 주, 도심 지역의 세 남녀 공학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세 고등학교는 학교 의복 착용에 대한 서로 다른 규율을 갖고 있었다. School R은 학교에서 지정한 교복만을 착용 해야 하는 규율을 갖고 있고 School F는 학생들에게 학교가 선정한 색상에 일치하는 의복을 통학복 으로 입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동적인 교복 정책을 갖고 있었다. School N은 특정한 학교 교복은 없고 학생들에게 통학복 착용에 대한 규율은 있었다. 세 학교의 학부모, 교사,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는 부모, 교사는 교복 착용이 학생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인지한 반면 학생들은 전체적으로 그렇지 않다는 태도를 보였다. 학생들에게 선호도가 높은 교복은 School F의 교복처럼 통학복에 색상 제한을 하는 약간은 자유로운 형태로 나타났으며 해당 학교 학생들의 교복에 대한 만족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교복을 입지 않는 School N의 학부모들은 학생들 통학복에 대한 지출이 다른 두 학교 부모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복을 착용한 경험이 오래된 학생일수록 교복 착용에 더 긍정적인 관점을 보인 것으로 보아 미국 내에서의 교복 정책은 초등학교부터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받아 들여 진다.

  • PDF

A Study on Leggings for Athletic Leisure (애슬레저용 레깅스에 관한 연구)

  • Cha, Su-J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323-324
    • /
    • 2021
  • 본 연구는 애슬레저 레깅스의 주 소비층인 20대 여성의 체형에 적합한 레깅스 패턴을 개발하기 위한 선행연구로,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레깅스의 착용실태를 알아보고 애슬레저 레깅스의 선호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대 여대생 18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글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레깅스는 운동용으로 착용하고 검은색의 발목까지 오는 밀착되는 기본 레깅스 디자인에 대한 선호가 높았으며, Y존 부위에 대한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다. 동작 시에는 허리가 노출되는 것에 대한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다. 선호 브랜드는 아디다스가 가장 많았고 레깅스에 몸매 보정 기능이 추가되기를 원하였다. 선호하는 브랜드를 구매했을 경우 디자인, 치수, 소재, 활동성, 내구성 등 대부분 항목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원단을 고려하여 레깅스를 구매한 경우에는 봉제상태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브랜드를 고려하여 구매한 경우 가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는 데 주의하여야 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좀 더 포괄적인 연령대와 남성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