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착용형 컴퓨터

Search Result 8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rends of Haptic Interface for Wearable Computers (착용형 컴퓨터를 위한 햅틱 기술 동향)

  • Sohn, M.S.;Shin, H.S.;Park, J.S.;Han, D.W.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0 no.5 s.95
    • /
    • pp.149-155
    • /
    • 2005
  • 착용형 컴퓨터를 위한 햅틱 기술은 착용형 컴퓨터가 신체와 밀접하게 접촉되어 있다는 점을 이용해 피부를 통해 정보를 인지하고 표현하는 상호작용 기술을 의미한다. 피부는 신체 중 가장 표면적이 넓은 기관이면서 정보 전송을 위한 잠재적인 가능성을 가지는 통신 매개체이나 착용형 혹은 모바일 컴퓨터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interface) 분야로 활용된 사례는 드물었다. 최근 시각, 청각에 이어 피부 감각을 UI 분야로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피부 감각을 이용한 햅틱 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와 이를 착용형 컴퓨터를 위한 인터페이스로 활용 시 고려할점과 향후 기술 동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Analyses and Considerations for Research Trends of User Interface on Wearable Devices (착용형 디바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연구동향 분석 및 고찰)

  • Kang, Anna;Lee, Jae Dong;Park, Jong 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713-1715
    • /
    • 2013
  • 최근 기계와 인간과의 소통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착용형 디바이스에 관한 연구에 집중되고 있다. 전통적인 UI가 갖는 부자연스러움과 응용프로그램과의 병목현상 발생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다양한 상호작용 요소를 포함하는 자연스러운 UI 기술이 제안 되고 있으며, UI 기술이 필수적인 착용형 디바이스와 함께 논의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착용형 디바이스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과 연구 동향에 대해 살펴보며, 이를 기반으로 착용형 디바이스의 핵심기술과 디바이스 형태별 UI 기술에 대해서 논의한다.

Wearable User Interface based on EOG and Marker Recognition (EOG와 마커인식을 이용한 착용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 Kang, Sun-Kyoung;Jung, Sung-Tae;Lee, Sang-Seo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1 no.6 s.44
    • /
    • pp.133-141
    • /
    • 2006
  • Recently many wearable computers have been developed. But they still have many user interface problems from both an input and output perspective. This paper presents a wearable user interface based on EOG(electrooculogram) sensing circuit and marker recognition. In the proposed user interface, the EOG sensor circuit which tracks the movement of eyes by sensing the potential difference across the eye is used as a pointing device. Objects to manipulate are represented human readable markers. And the marker recognition system detects and recognize markers from the camera input image. When a marker is recognized, the corresponding property window and method window are displayed to the head mounted display. Users manipulate the object by selecting a property or a method item from the window. By using the EOG sensor circuit and the marker recognition system, we can manipulate an object with only eye movement in the wearable computing environment.

  • PDF

Development of an EMG-based Wireless and Wearable Computer Interlace (근전도기반의 무선 착용형 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 Han, Hyo-Nyoung;Choi, Chang-Mok;Lee, Yun-Joo;Ha, Sung-Do;Kim, J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240-244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an EMG-based wireless and wearable computer interface. The wearable device contains 4 channel EMG sensors and is able to acquire EMG signals using signal processing. Obtained signals are transmitted to a host comput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EMG signals induced by the volitional movements are acquired from four sites in the lower limb to extract a user's intention and six classes of wrist movements are discriminated by employ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This interface could provide an aid to the limb disabled to directly access to computers and network environments without conventional computer interface such as a keyboard and a mouse.

  • PDF

Type of Mask Recognition in 20s (20대의 마스크 인식유형)

  • Cha, Su-J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337-33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마스크 착용이 필수가 된 시대를 살고 있는 20대를 대상으로 하여 마스크에 대해서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그 인식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람들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마스크를 사용하는가와 어떤 제품을 원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에는 쿼넬 pc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마스크에 대한 인식유형은 3개로 분류되었다. 유형 1은 마스크를 늘 착용하며 마스크가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착용자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상시 착용 영향 중시형'이었다. 유형 2는 마스크를 세균을 막기 위해 착용하며 마스크가 부정적 영향이 크다고 생각하는 '기능 중시 부정 인식형'이었다. 유형 3은 얼굴을 가리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고 마스크 착용 시 사람이 젊어 보인다고 생각하는 '은폐 착용 긍정 이미지형'이었다. 본 연구는 20대만을 대상으로 하여 다른 연령대의 마스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지 못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대의 마스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볼 필요가 있으며, 인식유형에 따른 마스크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Personal Wearable Display Technology (개인 착용형 디스플레이 기술)

  • Yang, U.Y.;Kim, K.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8 no.5
    • /
    • pp.133-144
    • /
    • 2013
  • 컴퓨터로 시뮬레이션 되는 가상의 콘텐츠를 사실감 있게 가시화 시키고 이를 체험할 수 있는 가상/증강/혼합현실 기술의 활용에 대한 이슈는 차세대 콘텐츠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개인 착용형 디스플레이도 범용화된 스마트폰의 다음 세대를 대표하는 차세대 개인용 정보 인터페이스로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첨단 기술의 활용을 다루는 미디어 매체에 익숙한 소비자가 기대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에 대한 환상적인 경험과 실제 시장에 보급된 기술의 현실 사이에는 많은 차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개인 착용형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기술의 역사를 간단히 소개하고, 주요 구성 기술을 정리한다. 그리고, 최근 세계 시장에 소개된 제품 및 기술에 대한 동향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논문과 특허 및 시작품 개발 사례 등을 중심으로 국내외 연구 동향을 살펴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