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착용센서

Search Result 23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sign of the Lower Limb Exoskeleton for the Walk-Assistance (보행 보조를 위한 하지 착용 외골격 설계)

  • Park, Min-Joo;Lee, K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17-18
    • /
    • 2014
  • 현대사회와 미래사회는 가속화되어지는 IT기술에 의해서 융합되어진 작업의 효율 및 성능의 발전이 이슈화되고 있다. 따라서 1990년대부터는 군사 및 재활분야와 함께 제조업 및 유통업 등 전반적인 산업 모두에서 근력보조기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과거에는 일반인이 무거운 짐을 운반하는 것을 완전한 로봇이 대체하거나 몸이 불편한 사회적 약자가 휠체어 및 지팡이 또는 전동 휠체어와 같은 보조 개념이 아닌 완전한 대체의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웨어러블이 대두됨에 따라 기계와 인체가 합쳐지는 상호작용 근력보조기구가 탄생했다. 근력보조기구는 힘/토크 센서를 통한 인간과 로봇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인간의 다양한 상지 및 하지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근력 강화용 웨어러블 로봇 등이 있다.

  • PDF

Human-Computer Interface Based on Bio-Signal (생체신호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 Kim, J.S.;Kim, H.K.;Jeong, H.;Kim, K.H.;Im, S.H.;Son, W.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0 no.4 s.94
    • /
    • pp.67-81
    • /
    • 2005
  • 생체신호 기반 인터페이스 기술이란 근전도 및 뇌파와 같은 인위적으로 발생 가능한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노약자나 장애인이 컴퓨터를 이용하는 데 있어서의 인터페이스(Human-Computer Interface)로 사용하거나 휠체어 등의 재활기기 구동 제어를 위한 명령어를 생성하기 위한 기술을 의미한다. 생체신호 기반 인터페이스는 센서를 몸에 부착하여 사용하며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 자연스럽게 생성된 생체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가상현실, 착용형 컴퓨터나 지체 장애인용 인터페이스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생체신호 기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국내외 기술 동향과 현재 개발중인 HCI 시스템에 대한 개요에 대해 논하고자한다.

A Study on Finger-click Recognition of a Wearable Input Device using Inertial Sensors (관성 센서를 이용한 착용형 공간 입력장치의 클릭 인식에 관한 연구)

  • Soh, Byung-Seok;Kim, Yoon-Sang;Lee, Sang-Goo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5a
    • /
    • pp.120-122
    • /
    • 2004
  • Wearable input device that can make free-space typewriting possible is introduced. We named this device as $SCURRY^{TM}$. To measure the angular velocity of hand and the acceleration rates at the ends of fingers, we buried MEMS inertial sensors in this keyboard. We processed sensor signals to get the information on hand movement and finger-click motion. With this signal processing, apparent finger movements were depicted over the virtual keyboard shown on output device of a target computing system. In this paper, a finger-click recognition method is proposed to improve the recognition performance for finger clicking of $SCURRY^{TM}$. The proposed method is composed of three parts including feature extraction part, valid click part, and cross-talk avoidance part.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proposed algorithms.

  • PDF

Development of an Automatic Emergency Calling System using RF Wireless Communication (RF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 응급호출 시스템의 개발)

  • Jang, Duk-Sung;Han, Song-Hee;Sun, Joo-Hyung;Kim, Sang-Hyun;Choi, Seung-Cha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0.11a
    • /
    • pp.1406-140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호출기를 착용한 환자가 낙상/전도 사고를 당했을 때, 자동으로 구조요청 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자동 호출기에는 사고의 감지, 사고발생 위치의 추적, 관제센터로의 통신 등의 기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3축 가속도센서를 탑재하고, 낙상판단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MCU에 포팅하고, RF 송수신기와 알람을 집적하였다. 자동 호출기와 관제소와의 통신방법으로는 400MHz 대역의 RF 송수신기를 채택하였다.

Development a Blood Pressure Management Service System for Web and Mobile Clients (유·무선 통합 혈압관리 서비스 시스템 개발)

  • Lee, Jong-Hyun;Yoon, Min-Seok;Han, Seok-Ju;Ha, Sangho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1.11a
    • /
    • pp.1132-1135
    • /
    • 2011
  • 최근에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스마트폰의 보급 확대로 언제 어디서든지 질환관리가 가능한 착용형 센서 기반 질환관리 서비스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논문에서는 웹 클라이언트와 스마트폰 클라이언트의 두 가지 이용 유형을 효과적으로 통합하는 혈압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MVC 구조에 기반하여 개발한다. 논문 방법은 서비스의 이용 범위 확대, 유용 가능성, 연속성의 이점을 제공한다.

Machine Learning based Fall Detection (기계학습 기반의 낙상 검출)

  • Kim, InKyung;Kim, DaeHee;Heo, Seongsil;Lee, JaeKoo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20.05a
    • /
    • pp.547-550
    • /
    • 2020
  • 노인인구의 급증에 따라 노인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노인 낙상을 발견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도 함께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낙상 사고의 경우 낙상을 일으킨 원인보다 낙상이 제때 감지되지 않아 발생하는 이후의 상황이 더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낙상이 발생했을 때, 바로 낙상을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다양한 낙상 검출을 위한 방법이 존재하지만 그 중 착용이 쉽고 원격지에서 관찰 및 관리가 가능한 웨어러블(Wearable) 기기의 센서 데이터를 사용한 낙상 검출을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머신 러닝 모델들을 사용해서 낙상 검출 성능 비교 및 적절한 모델을 제안한다. 기계 학습 기반의 모델인 결정 트리(Decision Tree), 랜덤 포래스트(Random Forest),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사용하여 실제 측정된 데이터에 낙상 검출 학습 능력을 정량화하였다. 또한, 모델의 입력 값에 적용한 데이터 분할, 전처리 및 특징 추출 방법을 통해서 효율적인 낙상 검출을 위한 기계학습 관점에서의 타당성을 판단하고자 한다.

A Study on Intelligent Safety Helmet Development (지능형 스마트 안전장구(안전모) 개발에 관한 연구)

  • Song, Ji-Min;Lim, Do-Gyeong;Kim, Hyum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22.11a
    • /
    • pp.899-901
    • /
    • 2022
  • 본 연구는 '지능형 스마트 안전모 개발'에 관한 것으로, IoT 기술을 기반으로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스마트 안전모를 개발하고, 기존 안전모에 존재하는 한계를 극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IoT 기술인 비콘, 블루투스를 활용하여 작업자 주변 환경을 실시간으로 판단하고 작업자를 주변 위험요소로부터 보호한다. 각종 생체센서를 활용하여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여부와 건강상태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송수신한다. 또한 LoRaWAN의 P2P LR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공사현장의 특성인 통신음영지대를 제거하여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AI-based Construction Site Safety Assistance System (AI 를 활용한 건설현장 안전지원 시스템)

  • Tae-In Han;Jong-Hak Kim;Sung-Gyu Lee;Seung-Hwan Lee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24.10a
    • /
    • pp.898-899
    • /
    • 2024
  • 본 시스템은 객체인식용 인공지능을 사용하여 건설현장의 현장 안전 관리자의 업무를 지원하는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CCTV 를 통해 제공된 화면으로 노동자의 안전 장비 및 건설 기기에 대한 객체 인식을 행하는 AI 와 안전이 확보되지 않은 구역의 출입을 제한하는 센서로 구성된다. 그 결과, 안전 장비 착용 미흡, 건설 기기 출입을 파악하여 그에 따른 조치를 통해 사고 예방을 지원한다.

Gesture interface with 3D accelerometer for mobile users (모바일 사용자를 위한 3 차원 가속도기반 제스처 인터페이스)

  • Choe, Bong-Whan;Hong, Jin-Hyuk;Cho, Sung-Ba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378-383
    • /
    • 2009
  • In these days, many systems are equipped with people to infer their intention and provide the corresponding service. People always carry their own mobile device with various sensors, and the accelerator takes a role in this environment. The accelerator collects motion information, which is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gesture-based user interfaces. Generally, it needs to develop an effective method for the mobile environment that supports relatively less computational capability since huge computation is required to recognize time-series patterns such as gestur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2-stage motion recognizer composed of low-level and high-level motions based on the motion library. The low-level motion recognizer uses the dynamic time warping with 3D acceleration data, and the high-level motion is defined linguistically with the low-level motions.

  • PDF

A Precise Tracking System for Dynamic Object using IR sensor for Spatial Augmented Reality (공간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적외선 센서 기반 동적 물체 정밀 추적 시스템)

  • Oh, JiSoo;Park, Jinho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3 no.3
    • /
    • pp.115-122
    • /
    • 2017
  • As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egan, augmented reality showed infinite possibilities throughout society. However, current augmented reality systems such as head-mount display and hand-held display systems suffer from various problems such as weariness and nausea, and thus space-augmented reality, which is a projector-based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attracting attention. Spacial augmented reality requires precise tracking of dynamic objects to project virtual images in order to increase realism of augmented reality and induce user 's immersion. The infrared sensor-based precision tracking algorithm developed in this paper demonstrates very robust tracking performance with an average error rate of less than 1.5% and technically opens the way towards advance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such as tracking for arbitrary objects, and Socially, by easy-to-use tracking algorithms for non-specialists, it allows designers, students, and children to easily create and enjoy their own augmented reality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