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 Title/Summary/Keyword: 착용센서

Search Result 23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Performance Analysis of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System Module Combined LED Light Device (LED조명 디바이스를 접목한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 모듈 성능 분석)

  • Jang, Tae-Soo;Lee, Jun-Myung;Park, Keon-Jun;Kim, Yong-Kab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11
    • /
    • pp.2431-2436
    • /
    • 2012
  • This paper is implemented simpl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by combining the communications through LED lighting. It uses a variable PD sensor to the receiver and 1~12 the LED light-emitting device to the transmitter to realize LE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nitial distance value of the developed transmission and receiver is more than 0~1.5m for LE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the overall system transmission rate is organized with thousands kbps variability visible light media transmission system. It was measured the performance experiment during lens wearing or not wearing in order to increase the overall efficiency of the LED module, configures the LED and PD to existing PC module for th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implemented research, experiments the maximum communication distance of the transmitter/receiver according to LED count and the transmission rate, check about application methods and the possibility.

Analysis of User Head Motion for Motion Classifier of Motion Headset (모션헤드셋의 동작분류기를 위한 사용자 머리동작 분석)

  • Shin, Choonsung;Lee, Youngho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2 no.2
    • /
    • pp.1-6
    • /
    • 2016
  • Recently, various types of wearable computers have been studied.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ead motion inform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motion classifier produced motion headset that the user can use while listening to music. The prototype receives music from smart phone over bluetooth communications, and transmits the mo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to the smart phone. And the smartphone classifies the motion of the head through a motion classifier. we implemented a prototype for our experiment. The user's head motion "up", "down", "left" and "right" were classified using a Bayesian classifier. As a result, in case of the movement of the head "up" and "down", there are a large changes in the x, z-axis values. In future we have a plan to perform a user study to find suitable variables for creating motion classifier.

Development of Insole Sensor System and Gait Phase Detection Algorithm for Lower Extremity Exoskeleton (하지 외골격 로봇을 위한 인솔 센서시스템 및 보행 판단 알고리즘 개발)

  • Lim, Dong Hwan;Kim, Wan Soo;Ali, Mian Ashfaq;Han, Chang 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32 no.12
    • /
    • pp.1065-1072
    • /
    • 2015
  • This paper is about the development of an insole sensor system that can determine the model of an exoskeleton robot for lower limb that is a multi-degree of freedom system. First, the study analyzed the kinematic model of an exoskeleton robot for the lower limb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gait phase detection of a human. Based on the ground reaction force (GRF), which is generated when walking, to proceed with insole sensor development, the sensing type, location, and the number of sensors were selected. The center of pressure (COP) of the human foot was understood first, prior to the development of algorithm. Using the COP, an algorithm was developed that is capable of detecting the gait phase with small number of sensors. An experiment at 3 km/h speed was conducted on the developed sensor system to evaluate the developed insole sensor system and the gait phase detection algorithm.

Research for effective accelerometer signal processing to detect the falling activity (낙상 검출을 위한 가속도 센서의 효율적인 신호처리 기법 연구)

  • Lee, Young-Jae;Lee, Pil-Jae;Yang, Heui-Kyung;Kim, Choong-Hyun;Lee, Jeong-Wh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794-179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가속도 센서의 값을 디지털 신호 처리 과정을 통하여 저역통과 필터(low pass filter), 벡터의 크기(vector magnitude), 롤(roll) 그리고 피치(pitch)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필터의 경우 IIR(Infinite Impulse Response)을 이용하였으며 차수는 9차로 하였다. 피험자의 연령은 25±5세의 10명을 기준으로 실험하였으며 앞, 뒤, 좌, 우 방향으로 직각 낙하하도록 하였고 센서 모듈은 오른쪽 허리의 정중앙에 착용하도록 하여 피험자간의 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환자의 낙상을 검출하기 위해서 벡터의 크기를 사용하였고 롤과 피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낙상 방향을 검출하였다. 결과적으로 피험자 10명의 경우 낙상의 검출률은 100% 였으며 낙상 방향에 따른 앞, 뒤, 좌, 우 판별 정확도는 95% 정도이다. 낙상 방향의 판별은 사고 후 환자를 다룰 때의 주의할 신체부위를 참고하며 재활 운동 시 하체의 어느 쪽이 낙상의 주요인인지 분석하는 보조 자료가 될 수 있다.

  • PDF

Hand Motion Pattern Modeling of Surface Electromyography for Mobile U-Health Device Interfacing (휴대용 U-Health 장치 인터페이싱을 위한 표면 근전도의 손동작 패턴 모델링)

  • Park, H.C.;Lee, C.K.;Kim, J.K.;Lee, M.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480-481
    • /
    • 2008
  • 본 논문은 U-Health 장치 인터페이싱을 위하여 표면 근전도를 이용한 손동작 특징들의 모델링 알고리즘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지금까지 연구에서는 표면 근전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전완의 여러 부위에서 신호를 측정하였지만 휴대용 U-Health 장치들의 특성상 센서를 부착 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 되어있기 때문에 한 채널당 손동작의 인식률이 높아야하고 착용하기 편한 위치예서 신호를 측정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손목 근처의 수지신근(finger extensor)과 소지신근(extensor digiti minimi) 사이에 생체신호 센서를 부착하는 것을 제안했으며, 적은 수의 센서에서도 손동작에 따른 충분한 근전도 패턴을 구분해 내기 위하여 3차원 공간상에서 시간과 스케일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다해상도 웨이블릿을 이용하였다. 정밀한 근전도 분석을 위하여 모 웨이블릿을 신경 신호의 활동전위(action potential)와 가장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Daubechies 4 (db4)로 선택하였고, 이렇게 웨이블릿 분석을 통하여 1차원 신호를 16레벨로 나누어 각 신호에 대하여 에너지를 200 ms 간격으로 평가함으로서 7가지 손동작 인식을 위한 패턴 모델을 구하였다.

  • PDF

A Basic Study on The Sleep Posture Recognition System Using Kinect and Pressure Sensor (키넥트와 압력센서를 이용한 무구속 수면자세 인식 시스템의 기초 연구)

  • Na, Ye-Ji;Lee, Sang-Jun;Wang, Chang-Won;Jeong, Hwa-Young;Ho, Jong-Gab;Min, Se-Do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6.04a
    • /
    • pp.653-65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키넥트와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수면자의 수면자세를 인식할 수 있는 수면자세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기존 수면 모니터링 시스템은 장시간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과 구속감으로 인해 수면의 질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 압력센서와 키넥트 카메라를 이용하여 무구속 저비용의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현하였고, 수면 매트형식으로 제작하여 그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면자세 모니터링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수면자세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수면시간 및 상태를 파악하여 건강한 수면습관을 들이는 방법을 권고할 수 있다. 향후에는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웰니스 및 헬스케어 모바일 응용 서비스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A Basic Study on the Fall Direction Recognition System Using Smart phone (스마트폰을 이용한 낙상 방향 검출 시스템의 기초 연구)

  • Na, Ye-Ji;Lee, Sang-Jun;Wang, Chang-Won;Jeong, Hwa-Young;Ho, Jong-Gab;Min, Se-Do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5.10a
    • /
    • pp.1384-1387
    • /
    • 2015
  •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들은 노화과정에 의한 보행능력의 감소 및 근력 약화와 같은 신체적 변화로 인해 잦은 낙상을 경험한다. 이에 따라 낙상 사고를 감지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낙상은 사전 예방도 중요하지만 사고 발생 후의 신속한 대처도 중요하다. 낙상을 감지하고 의료진에게 즉시 낙상정보를 제공하여 후속적 조치를 취하는 것은 사고 후 대처의 핵심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환경에서 사용자의 낙상 후 방향을 판별하기 위해 두 가지 센서 데이터의 특정 값들을 추출하였으며, 이에 5 가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착용한 상태로 전후좌우 4 방향 낙상 실험을 진행하며 스마트폰 내에 내장된 3 축 가속도 센서와 3 축 자이로 센서값을 측정한다. 피험자 11 명을 대상으로 낙상 실험 결과, 5 가지의 분류기 중 k-NN에서 98.6%의 인식률을 나타내었다. 뽑아낸 특징 값과 분류 알고리즘은 낙상의 방향 검출에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NoSQL-based Sensor Web System for Fine Particles Analysis Services (미세먼지 분석 서비스를 위한 NoSQL 기반 센서 웹 시스템)

  • Kim, Jeong-Joon;Kwak, Kwang-Jin;Park, Jeong-Mi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9 no.2
    • /
    • pp.119-125
    • /
    • 2019
  • Recently, it has become a social problem due to fine particles. There are more people wearing masks, weather alerts and disaster notices. Research and policy are actively underway. Meteorologically, the biggest damage caused by fine particles is the inversion layer phenomenon. In this study, we designed a system to warn fine Particles by analyzing inversion layer and wind direction. This weather information system proposes a system that can efficiently perform scalability and parallel processing by using OGC sensor web enablement system and NoSQL storage for sensor control and data exchange.

A Study on the LED-based Media Transmission Mechanics VLC System Module and Efficiency (LED 조명 기반 미디어 전송기법 가시광통신 시스템 모듈 설계 및 효율 연구)

  • Lee, Jun-myung;Kwon, Jae-hyun;Choi, Jung-won;Park, Keon-Jun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6 no.1
    • /
    • pp.51-56
    • /
    • 2013
  • In this paper, we had design the module of the LED-based media transmission mechanics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To implement the media transmission system through visible light communication transmitter, receiver module the using high brightness, we propose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to implement communication distance of up to a maximum transmitter-receiver distance using a variable PD sensor to the receiver and 1~12 the LED light-emitting device to the transmitter. It was increased efficiency of approximately 20% by measuring the performance during lens wearing or not wearing on the LED modu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media transmission system.

Development of Wearable Robot for Elbow Motion Assistance of Elderly (노약자의 팔꿈치 거동 지원을 위한 착용형 로봇 개발)

  • Jang, Hye-Yoen;Han, Chang-Soo;Kim, Tae-Sik;Jang, Jae-Ho;Han, J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25 no.3
    • /
    • pp.141-14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lgorithm which can control muscle power assist robot especially for elderly. Recently, wearable robots for power assistance are developed by many researchers, and its application fields are also variable such as for medical or military equipment. However, there are many technical barriers to develop the wearable robot. This study suggest a control method improving performance of a wearable robot system by using a EMG signal of major muscles and a force sensor signal as command signal of system. The result of the robot Prototype efficiency experiment, the case of Maximum Isometric motion it suggest 100% power of muscle, the man need only 66% of MVIC(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to lift 5kg dumbbell without robot assist. However the man needs only 52% of MVIC to lift 5kg dumbbell with robot assist. Therefore 20% muscle power increased with robot assist. Also, we designed light weight robot mechanism that extract the command signal verified and drive the wanted mo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