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착용센서

Search Result 22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urvey on Wearable Sensor Applications (착용센서 활용 조사연구)

  • Yim, Jaeg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419-420
    • /
    • 2017
  • 착용센서가 스포츠, 복지, 건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연구되고 있다. 착용센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데이터획득, 데이터전처리, 특징값 추출 그리고 분석 단계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착용센서 시스템 각 단계별 연구 현황과 착용센서 활용 연구현황을 살펴본다.

  • PDF

Wearable Elbow Rehabilitation Robot Capable of Mirror Therapy (거울치료가 가능한 착용형 팔꿈치 재활로봇)

  • Yang, J.H.;Baek, J.S.;Moon, I.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 /
    • v.8 no.2
    • /
    • pp.73-78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wearable elbow rehabilitation robot applied the mirror therapy for elbow rehabilitation. To implement the mirror therapy, a data suit for measuring healthy elbow motion is developed. A powered elbow exoskeleton wearing in paralyzed arm is controlled by the measured data from the healthy elbow motion. In experiments, the elbow rehabilitation exercise by the mirror therapy is perform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we show the wearable exercise robot including the data suit is applicable to the mirror therapy for elbow rehabilitation.

  • PDF

The effect of wearable sensor wear on muscular activity of the head posture during smartphone use (웨어러블 센서 착용이 스마트폰 사용 시 발생하는 전방머리자세의 근활성에 미치는 영향)

  • Park, Sung-Hyun;Kang, Jong-Ho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7 no.5
    • /
    • pp.47-5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earable sensor wear on the muscle contraction of cervical erector spinae and upper trapezius causing the forward head posture induction in order to reduce the stress induced by the use of smartphon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uscle activity of healthy adults in the 20th to 30th generations by dividing them into the control group using the smartphone, the non-wearing group conscious the posture of the head posture, and the wearing group wearing the wearable senso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uscle activity between cervical erector spinae and upper trapezius compared to the control, non - wearing, and wearing groups. In addition, the changes in muscle activity of cervical erector spinae muscles were increased in all groups, but the muscle activity of upper trapezius muscles were in the wear group compared to the non-wear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at is, wear of the wearable sensor may be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conscious posture, but it may cause the compensation of another part.

가슴 착용형 보행 재활로봇의 개발

  • Kim, Hyeon;Gwon, Jeong-Gwan;Song, Sang-Yeong;Gang, Seok-Il;Kim, Jeong-Yeop
    • ICROS
    • /
    • v.21 no.2
    • /
    • pp.25-3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간병인의 도움없이 자가 보행 재활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가슴 착용형 로봇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로봇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첫째, 구조적 특징으로써, 하박에 착용하는 기존 지팡이 타입의 엘보 크러치와 달리 개발된 로봇은 가슴에 착용되어 착용자의 두 팔을 자유롭게 하는 동시에 팔의 부담을 제거하여 준다. 둘째는 구동 알고리즘의 특징으로써, 가슴부에 부착된 압력센서로부터 사용자의 보행의도를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로봇의 다리를 이동시킨다. 또한 착용자의 안전을 위해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착용자 전방에 장애물이 나타날 시 보행을 멈추고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마지막으로, 스카치요크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지지다리의 상승과 하강 시 지면 반발력으로 인하여지지 발 상/하강 모터에 과도한 토크가 부과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러한 세 가지 특징으로부터 개발된 로봇이 자가 보행 재활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보였으며, EMG (Electromyography) 센서를 이용하여 근력 보조 성능을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 PDF

Check system for wearing hard hat with wireless sensor network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안전모 착용 확인 시스템)

  • Jang, Mun-Suck;Yeom, Mun-Jin;Song, In-Yong;Kwon, Oh-Sang;Lee, Eung-Hyck;Choi, Sang-Ba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0a
    • /
    • pp.209-21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해 근로자의 안전모 턱끈 착용을 도와주고 안전관리 감독자가 쉽게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는 전자식 안전모 착용 확인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안전모 착용을 확인하기 위해 마그네틱 근접 센서를 안전모 턱끈에 장착하여 안전모 착용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424.700MHz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 모듈을 개발하여 안전모의형에 장착하여 센서 노드(Sensor Node)를 구성하였으며, 메쉬 토폴로지(Mesh Topology)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중앙 관리실에서 근로자의 상황 인지를 위한 안전모 확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으로 인하여 근로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안전 사고에서 근로자의 부상 및 인명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건설용 엘리베이터 안전 상황 인지, 타워크레인 안전 문제등의 시스템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PDF

Wearable System for Real-time Monitoring of Multiple Vital Signs (인체 착용형 다중 생체신호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 Lee, Young-Dong;Chung, Wa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5a
    • /
    • pp.249-252
    • /
    • 2008
  • A wearable ubiquitous health care monitoring system using integrated ECG and accelerometersensors based on WSN is designed and developed. Wireless sensor network technology is applied for non intrusive healthcare in some wide area coverage with small battery support for RF transmission. We developed wearable devices which are wearable USN node, sensor board and base-station. Low power operating ECG and accelerometer sensor board was integrated to wearable USN node for user's health monitoring. The wearable ubiquitous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allows physiological data to be transmitted in wireless sensor network from on body wearable sensor devices to a base-station connected to server PC using IEEE 802.15.4. Physiological data displays and stores on server PC continuously.

  • PDF

Development of Smart Helmet based on Realtime Information (착용자의 실시간 정보 전송에 기반한 사고 예방 스마트 안전모 개발)

  • Ahn, Hyeong-Wook;Park, No-Il;Kim, Sunmyeng;Oh, Du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209-1210
    • /
    • 2017
  • 착용자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빠른 대처가 가능한 스마트 안전모를 개발한다. 안전모 내부에는 라즈베리파이와 아두이노, 보조배터리, 각종 센서 모듈들이 내장되어 있다. 라즈베리파이는 카메라 모듈과 통신 모듈을 갖고 있다. 아두이노에는 소리센서와 도어락센서, 충격센서가 장착되어 있다. 카메라 모듈을 통해 작업자의 주변 상황에 대해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관리자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각 센서들은 여러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자 서버로 전송한다. 관리자 서버는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상황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위험 상황에 대해 적절한 대처를 수행한다. 이러한 여러 기능을 통해 스마트 안전모는 무선통신 환경에서 상황에 따른 센서들의 동작에 의해 착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Pedestrian Walking Velocity Estimation based on Wearable Inertial Sensors and Lower-limb Kinematics (착용형 관성센서 및 인체 하지부 기구학 기반의 보행자 속도추정에 관한 연구)

  • Kim, Myeong Kyu;Kim, Jong Kyeong;Lee, Donghu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41 no.9
    • /
    • pp.799-807
    • /
    • 2017
  • In this paper, a new method is proposed for estimating pedestrians' walking velocity based on lower-limb kinematics and wearable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sensors. While the soles and ground are not in contact during the walking cycle, the walking velocity can be estimated by integrating the acceleration output of the inertial sensor mounted on the pelvis. To minimize the effects of acceleration measurement errors caused by the tilt of the pelvis while walking, the estimated walking velocity based on lower-limb kinematics is imposed as the initial value in the acceleration signal integration process of the pelvis inertial sensor. In the experiment involving outdoor walking for six minutes, sensor drift due to error accumulation was not observed, and the RMS error in the walking velocity estimation was less than 0.08 m/s.

Heel Trajectory Analysis Method of Walking using a Wearable Sensor (착용형 센서를 이용한 보행 뒤꿈치 궤적 분석 방법)

  • Hee-Chan Kim;Hyun-Jin Choi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8 no.4
    • /
    • pp.731-736
    • /
    • 2023
  • Walking is a periodic motion that contains specific phases and is a basic movement method for humans. Through gait analysis, various musculoskeletal health conditions can be identified. In this study, we propose a calf wearable sensor system that can perform gait analysis without space limitations. Using a ToF(: Time-of-Flight) sensor that measures distance and an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sensor that measures inclination the heel trajectory of walking was derived by proposed method. In case of abnormal gait with risk of fall, gait is evaluated by analyzing the change pattern of the heel trajectory.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플렉서블 센서 응용 기술 동향

  • Kim, Min-Hoe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0 no.2
    • /
    • pp.9-15
    • /
    • 2015
  • 사물인터넷 시대를 맞이하여 센서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전자 센서에 대한 요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플렉서블 유기 트랜지스터는 유연성과 뛰어난 감도를 지니고 있고 값싼 생산이 가능하여 웨어러블 전자센서의 구현을 위한 가장 적합한 후보 중 하나이다. 본 글에서는 플렉서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물리 센서와 생체 센서로의 응용에 대해 살펴보고 관련 기술의 발전방향에 관하여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