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착용상황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2초

의복 소비가치에 대한 질적 연구 (A Study on Clothing Consumption Value: A Qualitative Approach)

  • Kim, Sun-hee;Lim, Sook-Ja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621-1632
    • /
    • 2001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실제적인 의복 소비 행동을 설명할수 있는 가치 개념을 제시하기 위하여 의복 소비가치의 구체적 유형을 밝히고, 적합하고 신뢰성 있는 의복 소비가치 척도를 구성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heth(1991)의 소비 가치 이론과 의류학 및 소비자 행동분야의 다양한 이론을 토대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하여 소비가치에 대한 탐색적 접근을 시도한 결과를 논의하였다. 의복의 구매와 착용의 선택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가치는 Sheth(1991)의 5가지 소비가치 유형인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감정적 가치, 진귀적 가치, 상황적 가치 및 의복제품의 특성에 따른 자기표현적 가치로 분류되었다. 기능적 가치는 물리적 속성, 물리적 기능, 도구적 성과와 관련되었으며, 사회적 가치는 사회계층, 준거집단, 인구통계 적 특성 집단, 문화-민족적 집단과의 관련성 에 대 한 가치로 구성되었다. 감정적 가치는 긍정적, 부정적 감정 및 심미성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진취적 가치는 다양성추구행동 요인 및 유행성의. 새로움 추구 요인과 관련되었다 또한 상황적 가치는 의복착용상황, 구매상황, 커뮤니케이션 상황으로 구성되었으며, 자기표현적 가치는 성격, 이미지 표현, 개성추구, 유행추구 등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가치에 대한 양적 연구를 실시한다면, 보다 객관적인 구조를 파악하고 신뢰성 있는 측정 문항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가정환경 아동듣기평가(CHILD) 부모용 설문지의 한국어 번역 및 적용 연구 (Translation and Adaptation of the Children's Home Inventory for Listening Difficulties (CHILD) into Korean)

  • 최재희;서영란;장현숙
    • 재활복지
    • /
    • 제20권4호
    • /
    • pp.247-264
    • /
    • 2016
  • 가정환경 아동듣기평가 (Children's Home Inventory for Listening Difficulties, CHILD)는 청각장애 아동의 가정환경에서의 듣기 어려움을 평가하기 위한 부모용 설문지로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도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CHILD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국내의 인공와우 착용 유아 및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함으로써 검사의 내적 신뢰도를 평가하고 아동의 가정환경 내 의사소통 및 청각 이해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인공와우를 착용한 청각장애 아동의 부모 55명(유아 27명, 초등 28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버전 CHILD 부모용 설문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내적일치도를 확인하였으며, 연령대(유아, 초등)와 평가요인(조용한 상황, 소음 상황, 먼거리 상황, 사회적 상황, 미디어 상황)를 비교하기 위하여 혼합요인 반복측정 분산분석 및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버전 CHILD의 전체 크론바흐 알파값은 .96(조용한 상황 .96, 소음 상황 .93, 먼 거리 상황 .82, 사회적 상황 .93)이었다. 연령대와 평가요인 간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초등 연령대의 점수가 유아 연령대에 비해 모든 상황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전체 연령대에서 조용한 상황 요인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와 초등 연령대 양쪽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인 것은 사회적 상황 요인이었으며 분석 결과, 인공와우 착용아동들은 사회적 상황이 다른 듣기 어려운 상황과 결합될 때 특히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에서 CHILD 부모용 설문지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국내 임상에 적용한 결과는 유효하였으므로 한국어 버전 CHILD를 국내 가정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바이모달 정보를 이용한 기절상황인식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System of Faint Situation based on Bimodal Information)

  • 소인미;정성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25-236
    • /
    • 2010
  • 본 논문은 카메라 영상 정보와 기울기 센서 정보를 통합한 바이모달 응급상황 인식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어느 한 센서가 오작동 하거나 사용자가 착용형 기울기 센서를 착용하지 않거나, 영상 획득의 어려움이 있는 욕실과 같은 곳에 있는 경우에도 응급 상황을 감지하여 센서 간에 상호 협력과 보완을 함으로써 응급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HMM 학습 및 인식을 통해 걷는 동작, 바닥에 앉는 동작, 소파에 앉는 동작, 눕는 동작, 기절 동작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영상의 특징 벡터와 기울기 센서의 특징 벡터를 결합하여 학습하고 인식했을 때, 인식률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조명의 변화에도 적응적 배경 모델을 통해 움직이는 객체를 강건하게 검출할 수 있어서 높은 인식률을 유지할 수 있었다.

코로나 19 시대의 화장품분야 천연소재 개발방향

  • 정의수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4
    • /
    • 2021
  • 전 세계는 covid 19의 pandemic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화장품 분야의 trend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covid 19의 예방으로 마스크는 생활필수품이 되었고, 행정적으로도 사무공간에서도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으면 과태료를 부과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로 인하여 장시간 마스크 착용은 필수 불가결한 상황이며, 이로 인하여 얼굴 피부의 장벽기능(barrier function)의 와해로 인하여 피부가 예민해지고 크고 작은 피부의 trouble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화장품의 선택에 있어 피부 진정과 피부에 자극완화(anti-irritation) 및 안전성(safety)에 대한 것으로 점차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Covid 19 이전의 화장품 소재 및 제품 개발의 트렌드는 국내의 기능성화장품 범주에 있는 미백 관련, 주름관련, 자외선 차단관련, 염모관련, 육모 탈모 관련, 여드름관련, 피부장벽관련, 튼살 관련 기능성 소재 및 제품 개발과 화장품 용도외의 고기능성 부여를 위한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용 제품의 개발이 중요한 시기였다.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은 화장품(cosmetic)과 의약품(pharmaceutical)의 합성어이다. 그러나 최근 Covid 19의 상황에 따라 화장품 업계는 포스트 코로나의 트렌드로 피부 장벽기능 강화, 피부노화 억제, 식물성, 자극완화, 비건, 안전성 확보에 대한 다양한 천연 소재의 연구와 제품을 개발 출시하고 있다. 따라서, 2020년 Covid 19의 상황에 따른 화장품 분야의 천연 신소재 및 화장품 개발 방향에 대하여 자원 식물의 활용성 및 개발 동향에 대하여 논의 하고자한다.

  • PDF

유방절제환자를 위한 보정용 브래지어와 부속물 착장실험연구(III) (A Study on Wearing Tests of Mastectomy Brassieres with Prostheses)

  • Hei-Sun Choi;Kyung Mi Lee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13-21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절제수술을 받은 여성들을 위해 개발한 다섯 종류의 브래지어와 두 종류의 보정물 유형에 따른 착용감과 쾌적성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피험자로는 유방절제시술기간이 3년 이상이며 브래지어 사이즈 85에 컵사이즈 A컵인 여성 세 명을 선정하였다. 실험방법은 보정물을 삽입한 브래지어를 하루에 최소 15시간 이상 연속착용하도록 하고 실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피험자들의 일상과 그에 소요된 시간을 기록하도록 하였으며 이 때 착용한 브래지어와 보정물에 대한 느낌을 5점 척도로 표시하게 하였다. 실험기간은 다섯 종류의 브래지어를 하루에 한 가지씩 정해진 순서대로, 처음 5일은 옥보정물과 함께 착용하도록 하고 그 후 5일은 스펀지 보정물과 함께 착용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순서를 두 번 반복하게 하여 총 20일이 소요되었다. 각각의 피험자들에 대해서는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반복적인 면접을 통하여 진행상황을 기록하였으며 아울러 실험복에 대한 제언을 수렴하여 보다 나은 제품개발을 위한 기본 자료화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브래지어에 있어서는 세 명의 피험자가 일치된 결과를 나타내어 일반적인 브래지어 형태와 가장 유사하면서 어깨 끈과 하변밴드 폭만 약간 넓혀준 실험복이 착용감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착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앞트임으로 제작한 실험복의 경우에는 앞으로 구부렸을 때 밴드부분이 꺾이는 현상이 생겼으며 피험자들이 모두 뒤트임에 익숙하여 앞트임 브래지어 착용에 불편함을 나타내었다. 브래지어 착장평가에 있어서는 피험자들의 일상적인 행동이나 보정물의 종류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보정물 평가에 있어서는 모든 피험자가 옥가루 재질의 보정물만으로는 수술부위를 자극하는 느낌이 든다고 하였으나 3mm 두께의 스펀지와 함께 삽입했을 때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정물의 무게 조절이 가능하므로 실리콘재질의 보정물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무게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 피험자는 없었다. 그러나 스펀지로 제작된 보정물에 대해서는 무게가 너무 가벼워 모든 피험자들이 양 쪽 가슴의 균형이 잘 맞지 않는다고 답하였으며 특히, 운동을 즐기고 활동이 많은 피험자의 경우 스펀지로 제작된 보정물에 대해 큰불만을 표시하였다.

한국 경찰 범죄현장 출동 시 장비착용 개선방안 (Improving Equipment Wear in Korean Police Crime)

  • 정지덕;김영현;김성철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년 정기학술대회
    • /
    • pp.305-306
    • /
    • 2017
  • 한국도 더 이상 총기안전지대가 아니며, 강력범죄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경찰관의 신체 생명을 적극적으로 보호하면서 무기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경찰관 장비에 대한 개선점이 필요하다. 장비에 대한 지급이 미흡한 시점에서 경찰관의 안전과 치안유지를 담당하기 위해서는 장비에 대한 보급과 착용이 우선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경찰 출동차량에 반드시 방탄복, 방검복, 방검장갑, 안전헬멧 등을 필수 배치해서 범죄현장에 대처해야 한다.

  • PDF

발달 장애인을 위한 증강현실 기반 상황훈련 시스템 (A Situational Training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for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 최재인;김경래;김태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629-636
    • /
    • 2013
  •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복지수준이 발전함에 따라 일반인들을 위한 여러 인터페이스 장비나 훈련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발달 장애인을 위한 훈련 시스템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발달 장애인이 일상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인지능력과 상황대처 능력의 향상을 위한 증강현실 기반 실시간 상황 훈련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음식점 서빙'이라는 주제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시스템은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훈련자에게 다양한 상황에 대한 경험을 안전하게 반복 훈련 가능하도록 한다. 훈련자는 HMD를 착용하고 훈련 공간 주위를 볼 수 있으며, 시나리오에 따른 상황 훈련을 수행한다. 본 시스템을 3개월간 특수학교에서 실시한 결과 발달 장애 학생들은 HMD 착용에 대한 거부감 없이 흥미를 가지고 훈련에 참여했으며 점차 인지속도가 빨라지고 상황대처 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특수학교 교사들로부터 본 시스템이 교육적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는 피드백을 받았다.

감성 Inner-wear 착용을 위한 30 Avata Animation DB 구축 (Building DB of 3D animation avatar for wearing of sensible inner-wear)

  • 안찬식;정동암;이영숙;김순협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제13회 신호처리 합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627-630
    • /
    • 2000
  • 본 연구는 현 Inner-wear매장에서 판매되어지는 제품을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한계 즉, 시각적인 면에 국한된다는 것에 착안하여 현실이 아닌 가상공간에서의 구매 즉 물리적 현실적 제약으로부터 현재 존재하지 않는 미래의 상황을 연출, 미리 볼 수 있도록 가상의 상황을 입체적으로 연출하여 Inner-wear를 쉽게 착용하고 그 모습을 자유롭게 검색하여 볼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자신의 신체를 만들어 보고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골라 가상공간에서 자신의 신체에 직접 입혀보며 자신의 신체에 얼마나 잘 맞는지 직접 확인해 보고 구매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 시스템은 Wed상에서 구동 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일반 소비자들이 어디서나 사이트에 접속하여 구매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PDF

생활한복의 착용 상황에 따른 이미지와 구매의도 (Casual Hanbok's Image According to Wearing Situation and Purchasing Intention)

  • 심준영;김용숙
    • 복식
    • /
    • 제53권3호
    • /
    • pp.155-163
    • /
    • 200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the Casual Hanbok's image perception according to wearing situation and to certify factors affecting the Casual Hanbok's purchase.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he subjects were 596 women in Chonbuk Province and done during August. 2002. Proportion, percentage, mean, factor analysis, ANOVA and multi-regression were done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Factors in the Casual Hanbok's image perception were fashion, elegant, comfort, innovation and tradition. The total variences were 53.84%. Especially tradition and innovation factors were very Important. 2. Casual Hanbok's perceived image in formal situation were higher in factors of fashion, elegance, comfort, innovation, and tradition than the perceived image in mind. And the image of informal situation was higher in factors of fashion, elegant and innovation than the perceived image in mind. 3. Purchasing intention was affected by the Casual Hanbok's fashion, elegance, innovation, and tradition, and their influence was 18.10%. Casual Hanbok wearing frequencies affected the purchasing intention significantly.

감성 Inner-wear 착용을 위한 3D Avata Animation DB 구축 (Building DB of 3D animation avatar for wearing of sensible inner-wear)

  • 안찬식;정동암;이영숙;김순협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9권 2호
    • /
    • pp.67-70
    • /
    • 2000
  • 본 연구는 현 Inner-Wear매장에서 판매되어지는 제품을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한계 즉, 시각적인 연에 국한된다는 것에 착안하여 현실이 아닌 가상공간에서의 구매. 즉 물리적 현실적 제약으로부터 현재 존재하지 않는 미래의 상황을 연출, 미리 볼 수 있도록 가상의 상황을 입체적으로 연출하여 Inner-Wear를 쉽게 착용하고 그 모습을 자유롭게 검색하여 볼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자신의 신체를 만들어 보고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골라 가상공간에서 자신의 신체에 직접 입혀보며 자신의 신체에 얼마나 잘 맞는지 직접 확인해 보고 구매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 시스템은 Web상에서 구동 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일반 소비자들이 어디서나 사이트에 접속하여 구매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PDF